$\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태풍의 이동경로에 따른 해양환경변화관측을 위한 해색 자료 분석
Analysis of Ocean Color Data for Observation on the Ocean Environment Change Caused by Typhoon Path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6 no.1, 2013년, pp.59 - 66  

정종철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풍이 해양을 이동할 때 해양환경은 물리 생물학적으로 한반도 주변해역에 영향을 미친다. 태풍이동의 결과로써 해양의 수직적 혼합과 용승작용은 해양 표층수 냉각을 유도하고 태풍의 경로에 따라 식물플랑크톤의 증가를 초래하며, 태풍 전과 후의 해양환경은 해양표층의 생물학적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록 태풍 이동의 원인으로 해양 표층수의 냉각이 확대되지만, 엽록소, K490, SST와 같은 다른 물리-생물리적 반응은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주변해역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 이동경로와 해색센서에 의해 관측된 해양환경변수를 비교하는데 있다. 부유물질, 흡광계수(K490), 엽록소와 같은 해양환경변수는 2002년부터 2005년 MODIS 자료가 적용되었다. 태풍이동 후 동해에서는 평균 엽록소 농도가 1-4배 증가하였고, 태풍 이동경로를 따라 태풍 이후 MODIS 엽록소의 평균 농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제주도 해역은 동해역과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the typhoons are passing over the ocean, the ocean environment has both physical and biological impacts on the East, South sea and Yellow sea of Korea. As a result of typhoon path, vertical mixing and upwelling injured colder subsurface water, and leaded to phytoplankton blooming along the typh...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풍의 발생으로 한반도 주변해역을 통과하는 태풍 중에서 유사한 이동경로를 가진 태풍을 선택하여 태풍의 이동경로에 따른 해양환경변화를 해색위성관측 자료인 엽록소, 흡광계수(K490) 등을 비교하여 태풍 경로에 따른 해양환경의 지역적 변화 경향을 해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태풍 전-후의 기초해양생물학적인 변화를 MODIS 해색위성자료로 분석하여 해양생태계의 변동요인에 대한 기초 자료를 생산하였다. 향후 정지궤도 관측에 의한 GOCI 해색자료에 의해 엽록소, K490, TSS, CDOM 변수를 이용하여 태풍 전-후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일어나는 기후해양환경의 변화 인자를 시-공간적 변화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를 통해 태풍이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기후 해양 환경변화를 일으키는 변화 요인을 해색위성자료에 위해 공간적으로 해석하는 연구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풍의 기상관측이 가지는 제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태풍의 기상관측과 해양관측장비에 의한 영향 분석은 관측 장비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지역적인 해양환경변화를 파악하는데 제한적이며, 특히 위성관측으로 획득할 수 있는 광범위한 공간 규모의 해양환경을 파악하는데는 기술적 제약이 많았다. 특히 태풍이 한반도 주변해역으로 이동하는 경로에 따른 태풍에 의한 해양환경변화에 대해서는 해양관측 자료 수집이 쉽지 않아 아직까지도 연안 정점의 해양자료를 제외하고는 현장관측 해양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Behrenfeld and Falkowski, 2001). 태풍에 관한 많은 이론 및 수치실험 연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밝혀진 태풍 이동경로에 따른 해양변화 특성들은 양질의 현장관측 자료를 통한 검증과 보정을 필요로 하지만 현장자료를 위한 조사선 관측은 태풍의 영향권에 의한 연구 제약으로 다양한 위성자료에 의한 평가(Hoge and Lyon, 2002)가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MODIS의 해색자료 활용에 의한 태풍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 2001). 그러나 태풍 이동경로와 태풍이 통과한 이후 해양생물학적인 이상 발생 시기에 대한 현상(Lee and Lee, 2012)을 해양환경변수를 통해 흡광계수(K490)와 식물플랑크톤의 정량적 지시자인 엽록소(Chlorophyll-a), 표층수온(Sea Surface Temperature; SST)의 시-공간적 변화를 비교하는 연구는 자료의 적용단계이며(Lee et al., 2002; Lin et al., 2003), 특히 MODIS 해색관측위성에 의해 한반도 해양환경을 비교 관측하여 해양 표층의 해양환경변화를 판단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양환경에서 일어나는 태풍의 영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양환경에서 일어나는 태풍의 영향을 시·공간적으로 비교 평가하기 위해서는 해양환경관측 위성에 의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이 필요하며, 다양한 해양위성 관측 자료의 해석을 통해(Hu and MullerKarger, 2007) 태풍에 의한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가 이루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abin, S.M., J.A. Carton, T.D. Dickey and J.D. Wiggert. 2004. Satellite evidence of hurricane-induced phytoplankton blooms in an oceanic deser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9(C03043) DOI:10.1029/2003JC001938. 

  2. Baith, K., R. Lindsay, G. Fu, C.R. McClain. 2001. SeaDAS: data analysis system developed for ocean color satellite sensors. EOS Trans Am Geophys Union 82(18):202. 

  3. Behrenfeld, M.J. and P.G. Falkowski. 1997. Photosynthetic rates derived from satellite based chlorophyll concentration. Limnology and Oceanography 42(1):1-20. 

  4. Hoge, F.E. and P.E. Lyon. 2002. Satellite observation of Chromophoric Dissolved Organic Matter (CDOM) variability in the wake of hurricanes and typhoon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9(19): 1908. 

  5. Hu, C.M. and F.E. Muller-Karger. 2007. Response of sea surface properties to Hurricane Dennis in the eastern Gulf of Mexico.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L07606. 

  6. Lee, Z.P., K.L. Carder and R.A. Arnone. 2002. Deriving inherent optical properties from water color: a multiband quasi-analytical algorithm for optically deep waters. Applied Optics 41(27):5755-5772. 

  7. Lee, Kwon-Ho and So-Hyun Lee. 2012. Monitoring of floating green algae using ocean color satellite remote sens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137-147. 

  8. Lin, I., W. T. Liu, C.-C. Wu, G. T. F. Wong, C. Hu, Z. Chen, W.-D. Liang, Y. Yang and K.-K. Liu. 2003. New evidence for enhanced ocean primary production triggered by tropical cyclone.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0(13): 1718. 

  9. Price, J.F.. 1981. Upper ocean response to a hurricane. Journal of Physical Oceanography 11:153-175. 

  10. Siswanto, E., J. Ishizaka, K. Yokouchi, K. Tanaka and C.K. Tan. 2007. Estimation of inter annual and inter decadal variations of typhoon induced primary production: a case study for the outer shelf of the East China Se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 L03604. 

  11. Yoon, Dong-Young and Hyun-Woo Choi. 2012.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vertical temperature profile in the south sea of Jeju.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162-1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