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의 미기상인자 계절변화
Seasonal Changes in Micrometeological Factors of a Costal Sand Dune Grassland Ecosystem in Hakampo,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5 no.1, 2013년, pp.9 - 16  

이나연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최인영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안사구해양생태계에서 내륙생태계로 이행하는 생태 이행대(ecotone)로서 중요한 생태계이다. 이러한 독특한 생태계의 서식지 특성 분석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 사구가 가장 넓게 분포하는 지역인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미기상 요인(기온, 지온, 상대습도, 토양수분함량, 강우량 및 일사량, 풍향 및 풍속)의 통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변화를 분석하였다.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에서 미기상 요인의 계절변화는 산림생태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 다습하며 6월과 7월에 집중 강우를 보였다. 토양온도는 기온보다 평균 $2{\sim}3^{\circ}C$ 높은 상태로 계절변화 하였으며 토양수분함량은 연중 10% 미만으로 매우 건조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2011년 최고 풍속은 156.72m $s^{-1}$(10월 7일)를 기록하였고 현지 측정한 풍향과 기상청 자료는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의 서식지 특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미기상 요인의 통년 장기관측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astal sand dune area is an important ecosystem as an ecotone which is located between coastal area and terrestrial a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sand dune ecosystem in terms of its habitat characteristics, micrometeorolog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in a coastal sand dune in Hakampo, Taeanhae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사구가 가장 넓게 분포하는 지역인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학암포를 대상으로 해안 사구 초지생태계라는 독특한 서식지에 기상관측기를 설치하고 미기상 요인(기온, 습도, 강우량, 지온 및 토양수분함량, 일사량, 풍향 및 풍속)의 통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는 해안사구 초지 생태계에서 미기상 요인이 식물 군락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서식지 특성 분석의 일환이다.
  • 2). 기온 및 습도는 지상 150cm 높이에 설치하였고 각각의 센서를 radiation shelter에 넣어 측정하였다. 대기에서 지표면에 입사되는 태양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해 Quantum Light Sensor (STL_SSYR, STL, Seoul, Korea)를 이용하였다.
  • 기온 및 습도는 지상 150cm 높이에 설치하였고 각각의 센서를 radiation shelter에 넣어 측정하였다. 대기에서 지표면에 입사되는 태양에너지를 측정하기 위해 Quantum Light Sensor (STL_SSYR, STL, Seoul, Korea)를 이용하였다. 회전형 풍속계(풍향·풍속센서, STL_DWSD, Stevens Water Monitoring Systems, Inc.
  • , Portland, OR)와 일사량 측정센서는 180cm 높이에서 설치하였다. 강우량은 강우량 센서(STL_SRC, Stevens Water Monitoring Systems, Inc., Portland, OR)를 100cm에 설치하여 0.5mm 이상의 우량을 측정하였다. 지온은 Thermistor (STL_SHT75, STL, Seoul, Korea) 온도센서를, 토양수분함량은 토양 수분센서(STL_SSM, Spectrum Technologies, Plainfield, IL)를 지중에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 5mm 이상의 우량을 측정하였다. 지온은 Thermistor (STL_SHT75, STL, Seoul, Korea) 온도센서를, 토양수분함량은 토양 수분센서(STL_SSM, Spectrum Technologies, Plainfield, IL)를 지중에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토양에 설치한 각각의 센서는 식물 뿌리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소로 고려하여 표면으로부터 10cm 깊이에 수평으로 설치하였다.
  • 지온은 Thermistor (STL_SHT75, STL, Seoul, Korea) 온도센서를, 토양수분함량은 토양 수분센서(STL_SSM, Spectrum Technologies, Plainfield, IL)를 지중에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토양에 설치한 각각의 센서는 식물 뿌리의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소로 고려하여 표면으로부터 10cm 깊이에 수평으로 설치하였다.
  • 센서가 1분 간격으로 측정한 값은 자료수집장치(STL08, STL, Seoul, Korea)를 통해 기록하고 60분 간격으로 평균 또는 누적하여 저장한 값을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OriginPro 9.
  • 자료분석기간은 2011년 1월 1일 1:00부터 2011년 12월 31일 24:00까지 이며 1시간 간격 자료와 일 간격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측기간은 10일(9월 28일부터 10월 7일)로 이 기간은 서산기상청 자료를 보간하여 분석하였다.
  • 특히 계절변화와 함께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의 생육기간인 5월, 6월, 7월을 상세히 살펴보기 위해 온도(기온과 토양)와 토양수분함량의 일변화 특성 분석하였다(Fig. 4). 5월의 일변화는 지온이 기온보다 높으며 지온의 일변화가 뚜렷함을 알 수 있다(Fig.
  • 해안사구는 해양생태계에서 내륙생태계로 이행하는 생태 이행대(ecotone)로서 중요한 생태계이다. 이러한 독특한 생태계의 서식지 특성 분석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 사구가 가장 넓게 분포하는 지역인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미기상 요인(기온, 지온, 상대습도, 토양수분함량, 강우량 및 일사량, 풍향 및 풍속)의 통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변화를 분석하였다. 해안사구 초지생태계에서 미기상 요인의 계절변화는 산림생태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고온 다습하며 6월과 7월에 집중 강우를 보였다.

대상 데이터

  • 자료분석기간은 2011년 1월 1일 1:00부터 2011년 12월 31일 24:00까지 이며 1시간 간격 자료와 일 간격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측기간은 10일(9월 28일부터 10월 7일)로 이 기간은 서산기상청 자료를 보간하여 분석하였다. 수증기압포차(Vapor pressure deficit, VPD)는 측정한 기온(T)과 상대습도(RH)를 이용하여 산출 하였다(Murray, 1967).

데이터처리

  • 센서가 1분 간격으로 측정한 값은 자료수집장치(STL08, STL, Seoul, Korea)를 통해 기록하고 60분 간격으로 평균 또는 누적하여 저장한 값을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는 OriginPro 9.0 (OriginLab Co. Northampton, M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결측기간은 10일(9월 28일부터 10월 7일)로 이 기간은 서산기상청 자료를 보간하여 분석하였다. 수증기압포차(Vapor pressure deficit, VPD)는 측정한 기온(T)과 상대습도(RH)를 이용하여 산출 하였다(Murray, 196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사구의 생태계에서의 지위는 어떠한가? 해안사구(coastal sand dune)는 해양생태계에서 내륙생태계로 이행하는 생태 이행대(ecotone)로서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내재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또한 해안사구를 포함한 연안생태계는 백두대간과 비무장지대(DMZ)와 더불어 한반도 자연환경관리를 위한 3대 핵심 생태축이기도 하다(Jo et al.
학암포 해변의 기후적 특징은 어떠한가? 우리나라 중부 서해안에 자리하여, 해양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대륙성 온대기후인 아시아 계절풍 지대의 해안지역으로 한서의 차가 심하게 나타난다. 기상청 통계(서산)에 따르면 지난 30년간(1981~2010년) 최한 월(1월) -2.0o C, 최난월(8월) 25.1o C로서 연평균 기온은 11.9o C, 연평균 강우량은 1,286mm으로 나타났다. 강우량은 8월이 296mm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KMA, 2011). 30년 평균자료로 온량지수와 한랭지수를 산출하면, 온량지수 99.2o C·month, 한랭지수-16.7o C·month로서 온대남부산림대가 분포하며, 식물 구계로 보면 한반도 남부아구에 속한다(Lee et al., 1995)(Fig.
한반도 자연환경관리를 위한 3대 핵심 생태축은 무엇인가? 해안사구(coastal sand dune)는 해양생태계에서 내륙생태계로 이행하는 생태 이행대(ecotone)로서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내재하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또한 해안사구를 포함한 연안생태계는 백두대간과 비무장지대(DMZ)와 더불어 한반도 자연환경관리를 위한 3대 핵심 생태축이기도 하다(Jo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Y. H., 2003: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Sand Dune in Shindoori Seashore.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6(6), 29-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Grange, R. I., and D.W. Hand, 1987: A review of the effects of atmospheric humidity on the growth of horticultural crops.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62(2), 125-134. 

  3. Ihm, B. S., and J. S. Lee, 1998: Soil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mmunities of Wetland 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1(4), 321- 328. 

  4. Jeon, J. Y., H. H. Myeong, and J. S. Lee, 2012: The distribution of coastal sand dune flora and vegetation in Gwanmaedo.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24(1), 173-189. 

  5. Jo, K. W., J. H. Maeng, Y. J. Ju, H. H. Shin, and K. H. Kim, 2006: Study on the Effective Mitigation Measures of Coastal Erosion due to Coastal Development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oul. 23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ung, Y. K., and J. W. Kim, 1998: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Kyungpook Province. Korea Journal of Ecology 21(3), 257-2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315pp. (in Korean) 

  8. KNP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5: Natural Resources Survey of Taeanhaean National Park,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mwon. 619pp. (in Korean) 

  9. Laiju, N., D. Otieno, E. Y. Jung, B. R. Lee, J. Tenhunen, J. H. Lim, J. H. Sung, and S. K. Kang, 2012: Environmental controls on growing-season sap flow density of Quercus serrata Thunb in a temperate deciduous forest of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5(3), 213-2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H. J., C. J. Jeon, J. H. Kim, Y. M. Jeon, H. R. Jung, and B. H. Ryu, 1995: Forest vegetation in Anmyon-do Island. Nature conservation 92, 39-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W. T., and S. K. Chon, 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 Floristic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on the Southern Coast-. Korea Journal of Ecology 6(3), 177-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MMAF (Ministry of Marine Affairs and Fisheries) Staff, 2003: Survey of Tidal Wetland Ecosystem and Research for Sustainable Use: Management Plan of Shinduri Coastal Sand Dune. Ministry of Marine Affairs and Fisheries Publication, Seoul. 59pp. (in Korean) 

  13. MOE (Ministry of Environment) Staff, 2001: The Study of the Statu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and Dunes in Korea: List of Korean Sand Dunes. Ministry of Environment Publication, Seoul. 275pp. (in Korean) 

  14. Murray, F. W., 1967: On the Computation of Saturation Vapor Pressure.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6(1), 203-204. 

  15. Park, J. W., S. K. Oh, S. J. Seo, and J. C. Seo, 2012: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of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using VRS/RTK GPS - a case of Hakampo and Anmyeon beach-.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9(2), 161-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Ranwell, D. S., 1972: Ecology of Salt Marshes and Sand Dunes. Chapman and Hall London, 258pp. 

  17. Seo, J. C., 2002: Analysis of Geomorphological Changes using RS and GIS techniques in Shinduri coastal dunefile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8(1), 98-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Shin, J. S., N. H. Yu, H. G. Kang, and H. T. Shin, 2011: A study on the plants for phenology of the Mt. Jiri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earch Technology, 14(2), 47-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Song, H. K., G. S. Park, H. R. Park, E. K. Seo, S. K. So, and M. Y. Kim, 2005: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the coastal sand dune in Sinduri, Taean-Gun.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8(6), 59-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Wilson, E. O., 1988: Biodiversit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 C., 538p.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