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엽록체 DNA 염기서열에 근거한 물여뀌 종집단(마디풀과)의 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f the Polygonum amphibium L. complex (Polygonaceae) based on chloroplast DNA sequence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3 no.1, 2013년, pp.34 - 45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  박진희 (서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박종욱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디풀과물여뀌 종집단(Polygonum amphibium L. complex)은 육상 및 수중 환경 모두에 서식할 수 있는 분류군으로, 서식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 변이를 나타내어 현재까지 많은 분류군들이 기재되어 왔다. 아시아 및 북미산 107개체로부터 측정한 11개 형태형질을 사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수행한 결과, 본 종집단에서 존재하는 수생형 및 육생형 개체들은 모든 지역집단에서 잎의 형태 및 크기, 엽병의 길이 등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 개체군 또는 동일 지역내에서 채집된 수생형과 육생형 개체들은 엽록체 DNA 4개 구간(matK, psbA-trnH IGS, rbcL-accD IGS, trnL-trnF)에서 완전히 동일한 염기서열을 공유하는 것으로 밝혀져 유전적으로는 분기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본 종집단에서 나타나는 생육형간의 형태적 차이는 서식지 환경에 따른 개체 변이인 것으로 판단된다. 형태분석 및 엽록체 4구간 염기서열 유합자료의 계통분석 결과, 한국, 일본, 중국, 몽골, 극동 러시아 지역 등에 분포하는 아시아산 개체들은 북미지역집단 개체들 및 유럽의 영국산 개체와 형태적, 유전적으로 뚜렷이 구분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따라서 한반도산 개체들을 포함하는 아시아 지역집단 개체들은 P. amphibium의 하나의 변종(P. amphibium var. amurense Korsh.)으로 인식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olygonum amphibium complex (Poygonaceae) is a highly polymorphic taxon that can grow in aquatic environments as well as in moist terrestrial habitats. Aquatic and terrestrial plants of the P. amphibium complex vary significantly in morphology and exhibit very complicated patterns of morpholog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를 포함한 아시아, 북미, 유럽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는 물여뀌 종집단 개체군을 대상으로 엽록체 DNA(cpDNA) matK, psbA-trnH IGS, rbcL-accD IGS 및 trnL-trnF 구간의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여, 본 종집단에서 나타나는 육생형과 수생형 간의 유전적 변이 양상을 파악하고, 지역집단 간의 형태적, 유전적 분기 정도를 밝히며, 이를 근거로 한반도에 분포하는 본 종집단 개체들의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물여뀌 종집단에서 나타나는 형태 변이 양상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아시아와 북미에서 채집된 수생형과 육생형 107개체를 대상으로 상기 외부형태 분석에서 얻어진 11개 형질(Table 3) 값을 사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 한편, 본 연구에서는 수생형 16개체군 24개체 및 육생형 18개체군 31개체를 포함하는 물여뀌 종집단 개체들을 대상으로, 염기변이 속도가 비교적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는 cpDNA 4개 구간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여 수생형과 육생형간의 유전적 분기 여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동일 개체군 또는 동일 지역내에서 채집된 수생 형과 육생형 개체들은 분석된 cpDNA 4개 구간에서 완전히 동일한 염기서열을 공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Table 7,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물여뀌는 분류학상 어디에 속합니까? 물여뀌(Polygonum amphibium L.)는 마디풀속 여뀌절 [Polygonum L. sect.
물속에서 자라는 물여뀌의 형태적 특징은? 물여뀌는 서식지에 따라 매우 복잡한 양상의 형태 변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itchell, 1968, 1971a, b, 1976; Mitchell and Dean, 1978; Partridge, 2001). 식물체의 대부분이 물속에 잠겨서 생육하는 수생형(aquatic form)은 식물체 전체가 거의 무모이고, 잎이 좁은 장타원형 내지 장타원형이며, 엽선은 약한 예두 또는 둔두 내지 원두이고, 엽저는 약한 심장저이며, 엽병이 길게 발달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반면, 물가의 뭍 또는 양지바른 땅에서 생육하는 육생형(terrestrial form)은 식물체에 털이 많고, 잎이 선형, 피침형 또는 타원형 내지 좁은 난형이며, 엽선은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엽저는 예저, 둔저 또는 원저이며, 엽병이 짧은 특징을 갖는다(Standford, 1925a; Mitchell, 1968; Mitchell and Dean 1978; Partridge, 2001).
물여뀌는 어떤 환경에 서식합니까? , 2003). 본 종은 주로 늪, 호수, 연못가, 강가,습지 등 습기가 많은 곳에 서식하며, 한반도의 경우 주로 낙동강 수계를 중심으로 하는 경상도 지역의 강가, 배후 습지 또는 저수지와 북한의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W. T.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oleman, N. 1874. Catalogue of Flowering Plants of the Southern Peninsula of Michigan, with a Few of the Cryptogamia. Dygert Bro's & Co., Grand Rapids. 

  2.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y: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3. Forbes, F. B. and W. B. Hemsley. 1891. An enumeration of all the plants known from China proper, Formosa, Hainan, Corea, the Luchu Archipelago, and the Island of Hongkong, together with their distribution and synonymy.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Botany 26: 317-396. 

  4. Gray, A. 1873. Miscellaneous botanical notes and character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8: 282-294. 

  5. Hara, H. 1952.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variations in the Japanese plants closely related to those of Europe or North America, Part 1. Journal of the Faculty of Science, University of Tokyo. Section III. Botany 6: 29-96. 

  6. Hinds, H. R. and C. C. Freeman. 2005. Persicaria (Linnaeus) Miller. In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Vol. 5. Flora of North America Editorial Committee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574-594. 

  7. Hulten, O. E. G. 1971. The circumpolar plants. II. Dicotyledons. Kungliga Svenska Vetenskapsakademiens Handlingar 13: 1-463. 

  8. Kim, S.-T. and M. J. Donoghue. 2008a. Molecular phylogeny of Persicaria (Persicarieae, Polygonaceae). Systematic Botany 33: 77-86. 

  9. Kim, S.-T. and M. J. Donoghue. 2008b. Incongruence between cpDNA and nrITS trees indicates extensive hybridization within Eupersicaria (Polygon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95: 1122-1135. 

  10.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s of base substitutions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ournal of Molecular Evolution 16: 111-120. 

  11. Komarov, V. L. 1936. Polygonum L. In Flora of the U. S. S. R. Vol. 5. Komarov, V. L. (ed.), Izdatel'stvo Akademii Nauk SSSR, Moscow-Leningrad. Translated from Russian by N. Landau, 1970. Israel Program for Scientific Translations, Jerusalem and the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 C. Pp. 594-701. 

  12. Korshinsky, S. 1892. Plantas amurenses in itinere anni 1891 collectas enumerat novasque species describit. Trudy Imperatorskago S.-Peterburgskago Botaniceskago Sada 12: 287-431. 

  13. Kwak, M.-H. 2001. A Systematic Study on Polygonum sect. Persicaria (Polygonaceae) in Korea. M. 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in Korean) 

  14.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15. Lee, Y. J. 1996. Polygonaceae. In Flora Coreana. Vol. 1. Im, R. J. (ed.),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Pp. 270-342. (in Korean) 

  16.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Kyo-Hak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17. Li, A.-J., B. Bojian, A. E. Grabovskaya-Borodina, S.-P. Hong, J. McNeill, S. L. Mosyakin, H. Ohba and C.-W. Park. 2003. Polygonaceae. In Flora of China. Vol. 5. Wu, Z. and P. H. Raven (eds.), Science Press, Beijing and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Pp. 277-350. 

  18. Linnaeus, C. 1753. Species Plantarum. Ed. 1. Vol. 1. Impensis Laurentii Salvii, Stockholm. 

  19. Maire, R. 1961. Flore de l'Afrique Du Nord. Vol. VII. Dicotyledonae. Paul Lechevalier, Paris. 

  20. Michaux, F. A. 1803. Flora Boreali-Americana. Paris. 

  21. Mitchell, R. S. 1968. Variation in the Polygonum amphibium Complex and its Taxonomic Significanc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and Los Angeles. 

  22. Mitchell, R. S. 1971a. A guide to aquatic smartweeds (Polygonum) of the United States. Virginia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Bulletin 41: 1-52. 

  23. Mitchell, R. S. 1971b. Comparative leaf structure of aquatic Polygonum species. American Journal of Botany 58: 342-360. 

  24. Mitchell, R. S. 1976. Submergence experiments on nine species of semi-aquatic Polygonum. American Journal of Botany 63: 1158-1165. 

  25. Mitchell, R. S. and J. K. Dean. 1978. 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of New York State. New York State Museum Bulletin 431: 1-79. 

  26. Moench, C. 1777. Enumeratio Plantarum Indigenarum Hassiae. Kassel. Pp. 188-193. 

  27. Nieuwland, J. A. 1912. Our amphibious persicarias. American Midland Naturalist 2: 201-247. 

  28. Park, C.-W. and S. P. Hong. 2007. Polygonaceae.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334-360. 

  29. Partridge. J. W. 2001. Persicaria amphibia (L.) Gray (Polygonum amphibium L.). Journal of Ecology 89: 487-501. 

  30. SAS Institute Inc. 2011. SAS(R) 9.3 for Windows. SAS Institute Inc., Cary. 

  31. Simmons, M. P. and H. Ochoterena. 2000. Gaps as characters in sequence-based phylogenetic analysis. Systematics Biology 49: 369-381. 

  32. Sojak, J. 1974. Bemerkungen zur Gattung Truellum Houtt. (Polygonaceae). Preslia 46: 139-156. 

  33. Stanford, E. E. 1925a. The amphibious group of Polygonum, subgenus Persicaria. I. Adaptaion in Polygonum amphibium L. Rhodora 27: 109-112. 

  34. Stanford, E. E. 1925b. The amphibious group of Polygonum, subgenus Persicaria. II. The American amphibious persicarias. Rhodora 27: 125-130, 146-152, 156-166. 

  35. Swofford, D. L. 2003. PAUP*.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 and other methods), version 4.0b 10.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36. Thompson, J. D., T. J. Gibson, F. Plewniak, F. Jeanmougin and D. G. Higgins. 1997. The CLUSTAL 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earch 25: 4876-4882. 

  37. Voroshilov, V. N. 1966. Flora Sovetskogo Dal'nego Vostoka. Nauka, Moscow. (in Russian) 

  38. Webb, D. A. 1993. Polygonaceae. In Flora Europaea. Vol. 1. Tutin, T. G., N. A. Burges, A. O. Chater, J. R. Edmondson, V. H. Heywood, D. M. Moore, D. H. Valentine, S. M. Walters and D. A. Webb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Pp. 91-108. 

  39. Werle, E., C. Schneider, M. Renner, M. Volker and W. Fiehn. 1994. Convenient single-step, one tube purification of PCR products for direct sequencing. Nucleic Acids Research 22: 4354-4355. 

  40. Willdenow, C. L. 1809. Enumeratio Plantarum Horti Regii Botanici Berolinensis. Taberna Libraria Scholae Realis, Berlin. 

  41. Yonekura, K. 2006. Persicaria Mill. In Flora of Japan. Vol. IIa. Iwatsuki K., D. E. Boufford and H. Ohba (eds.), Kodansha Ltd., Tokyo. Pp. 148-1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