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주댐 방류에 따른 댐 상하류 홍수위 영향 분석
Effect of Chungju Dam Operation for Flood Control in the Upper Han River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2, 2013년, pp.537 - 548  

김상호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김지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06년 홍수시 충주댐 운영에 따른 댐 상 하류의 홍수위 상승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팔당댐 상류의 한강 본류에 위치한 충주댐을 기준으로 상류구간과 하류구간으로 구분하고, 1995년부터 2008년까지의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모형을 검보정함으로써 수리학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충주댐의 유무를 가정하여 충주댐의 홍수조절효과를 검토하고, 방류량의 변화에 따른 상 하류 주요지점의 수위 상승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6년 홍수시 충주댐의 운영이 비교적 적절하게 수행되었음을 확인하였으나, 충주댐의 홍수조절효과는 댐 하류구간에 집중되어 있어 댐 상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댐 배수구간 상류 하천의 기점수위 결정방법의 한계를 검토하였으며, 댐 배수구간과 상류 하천의 계획홍수량 불연속을 반영할 수 있는 기점수위 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댐 상류하천의 홍수피해 저감을 위한 설계 및 홍수피해 발생시 피해원인 분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hydraulic channel routing model was constructed to analysis the effect of flood control with the operation of Chungju Dam for 2006 flood. Study area was divided with up- and downstream of Chungju Dam in the upper Han River of Paldang Dam.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6년 홍수시 충주댐 운영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충주댐을 기준으로 영월2 수위관측소에서 충주댐까지의 상류구간과 충주댐에서 팔당댐까지의 하류구간으로 나누어 수리학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수리학적 모형은 4대강 사업 이전 가용한 최신의 하도측량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최근 홍수자료인 2006년, 2007년, 2008년 홍수사상의 실측자료와 시행착오법으로 추정된 조도계수를 사용한 계산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모형을 보정하였고, 1995년부터 2005년까지의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검증을 실시하였다.
  • 이후 댐 유입량 산정 방법을 검토하고, 검증된 수리학적 모형으로 2006년 홍수시 충주댐 방류량을 조절할 경우 충주댐 상류 및 하류 주요 지점의 수위변화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하천설계기준의 기점 홍수위 결정 방법을 검토함으로써 댐으로 인한 배수영향을 받는 댐 상류 하천의 기점 홍수위 결정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Figure 11(b)와 같이 본류 계획홍수위가 지류로 전파되는 양상은 횡방향으로 동일한 수위를 가정할 수 있는 것에 반하여, 댐 배수구간의 계획홍수위는 종방향으로 경사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200년 빈도 댐 수몰지 설계와 50~80년 빈도의 댐 상류 하천설계 시 하천의 기점수위 지정에는 Figure 11(a) 방법의 사용이 타당할 것으로 제안한다. 한강하천정비기본계획(충청북도, 1991)에는 본 연구대상 구간인 충주댐 상류 남한강의 계획홍수위 결정과정이 수록되어 있으며, 80년 빈도 홍수량을 계획홍수량으로 결정하였고 기점수위는 동일 빈도인 149.
  • 다만 본 연구에서는 당시 충주댐의 방류량 결정이 댐 상하류 주요지점의 수위영향을 고려할 때 적절하였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7월 16일 오후 4시부터 실제 방류량의 –40%에서 +60%까지 변화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이에 상응하는 충주호 저수위의 변화를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기 댐 운영의 목적은 무엇인가? 홍수기 댐 운영의 목적은 댐의 계획홍수위를 초과하지 않으면서 댐 방류로 인하여 영향을 받는 지점의 홍수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선형계획법(LP), 동적계획법(DP), 비선형계획법(NLP) 등의 최적화기법과 다양한 단일댐 운영기법(ROM)을 홍수추적모형에 연계한 모의(Simulation)기법으로 구분된다(이길성과 정동국, 1985). 국내의 경우 최적화기법을 이용한 댐 연계운영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이수목적에 적용되었으며, 홍수기 치수목적으로 적용된 사례는 극히 제한적이다.
한강유역은 수위조절은 무엇에 의해 조절되는가? 한강유역은 주로 북한강 수계 소양강 댐과 한강 수계 충주댐에 의해 홍수위가 조절되므로 집중호우시 서울과 여주, 양평 등 주요 지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충주댐과 소양강댐의 방류량 조절을 최적화하여야 한다. 특히 남한강의 주요 홍수조절용 다목적 댐인 충주댐은 댐 상류구간에 단양군, 하류구간에 여주군이 위치하여 댐 운영에 따라 상·하류 주요 도시구간의 홍수위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강유역 중 남한강의 충주댐은 어느 지역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한강유역은 주로 북한강 수계 소양강 댐과 한강 수계 충주댐에 의해 홍수위가 조절되므로 집중호우시 서울과 여주, 양평 등 주요 지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충주댐과 소양강댐의 방류량 조절을 최적화하여야 한다. 특히 남한강의 주요 홍수조절용 다목적 댐인 충주댐은 댐 상류구간에 단양군, 하류구간에 여주군이 위치하여 댐 운영에 따라 상·하류 주요 도시구간의 홍수위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댐의 운영은 가상의 계획빈도 유입량에 의해 수립된 홍수기 운영계획에 따라 운영되지 못하고, 예상 유입량에 따른 저수지의 수위상승과 수문 방류량에 따른 댐 상·하류의 수위영향에 대한 실시간 검토를 통한 운영이 불가피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K.H., Park, S.G. and Kim, Y.S. (2006) Concentrated heavy rain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July 2006 and flood forecasting. Water for Future, KWRA, Vol. 39, No. 8, pp. 31-37 (in Korean). 

  2. Chungcheongbuk-do (1991) The Han River Maintenance General planning Report. Korea (in Korean). 

  3. Fread, D.L. (1978) National Weather Service Operational Dynamic Wave Model, National Weather Sevice, Silver Springs, MD. 

  4. Kim, S.H. and Kim., W. (2002) Establishment of hydraulic model for flow analysis of the lower Han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5, No. 5, pp. 485-500 (in Korean). 

  5. KMLTM (2009) River Design Guideline. Kore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MLTM), Korea (in Korean). 

  6. KMLTM (2009) Dam Design Guideline. Kore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MLTM), Korea (in Korean). 

  7. KMOCT (1992) The Han River Maintenance General planning Report. Korean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MOCT), Korea (in Korean). 

  8. Lee, H.R., Han, K.Y., Kim, S.H. and Choi, H.S. (1998a) Numerical model for flood inundation analysis in a river (I): GIS applic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1, No. 4, pp. 415-427 (in Korean). 

  9. Lee, H.R., Han, K.Y. and Kim, S.H. (1998b) Numerical model for flood inundation analysis in a river (II): Uncertainty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1, No. 4, pp. 429-437 (in Korean). 

  10. Lee, J.H., Lee, K.S. and Jeong, D.K. (1992) An optimal operation of multi-reservoirs for flood control by incremental DP.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25, No. 2, pp. 47-59 (in Korean). 

  11. Lee, K.S. and Chung, D. (1985) A comparison study of reservoir operations for flood control of the Chungju da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18, No. 3, pp. 225-233 (in Korean). 

  12. Lee, K.S. and Jun, K.S. (1986) Simulation for the optimal operation of Soyanggang dam and Hwachon dam in the flood perio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KSCE, Vol. 6, No. 1, pp. 13-24 (in Korean). 

  13. Shim, J.H., Kim, J.T., Cho, W. and Kim, J.Y. (2004) Multipurpose dam operation models for flood control using Fuzzy control technique (III) - Multi reservoir operation methods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4, No. 3. pp. 61-72 (in Korean). 

  14. Shin, Y.L., Maeng, S.J., Ko, I.H. and Lee, H.K. (2002) Development of reservoir operation model using simulation technique in flood season(II).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5, No. 6, pp. 797-80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