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유 내 내냉성 미생물의 계절별, 지역별 분포 및 동정
Seasonal, regional distribution and identification of psychrotrophic bacteria in milk 원문보기

농업과학연구 =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40 no.1, 2013년, pp.27 - 34  

신용국 (서울우유협동조합중앙연구소) ,  이현아 (서울우유협동조합중앙연구소) ,  오남수 (서울우유협동조합중앙연구소) ,  남명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원유의 내냉성 미생물의 계절별 분포에 관해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내냉성 미생물은 최적 생장온도가 $30^{\circ}C$ 근처이지만, $7^{\circ}C$ 이하에서도 생존가능한 균으로 Pseudomonas, Achromobacter, Aeromonas 속 등이 있다. 원유로부터 분리한 총 내냉성 미생물 균수는 다른 계절에 비해 겨울철 원유에서 $3.0{\times}10^4$ CFU/mL로 가장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다른 지역에 비해 B 지역에서 $2.4{\times}10^5$ CFU/mL로 유의적으로 높은 균수가 측정되었다(p<0.05). 분리한 총 706개의 균을 동정한 결과는 Gamma-proteobacteria 강이 전체의 81.02%로 가장 우세하였고, 그 중 Pseudomonas 속이 32.34%로 가장 높은 검출 빈도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Pseudomonas fluorescens가 39.46%로 가장 우세하였다. 동정된 내냉성 미생물의 지역별 분포는 A 지역은 12개의 Acinetobacter johnsonii, B 지역은 21개의 Pseudomonas fluorescens, C 지역은 13개의 Enterobacter amnigenus, D 지역은 19개의 Psychrobacter maritimus, E 지역은 19개의 Acinetobacter johnsonii, F 지역은 8개의 Acinetobacter haemolyticus, G 지역은 20개의 Pseudomonas fluorescens, H 지역은 9개의 Acinetobacter johnsonii, I 지역은 17개의 Pseudomonas mucidolens가 높은 검출 빈도수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psychrotrophic bacteria, raw milk was collected from farms in nine different regions located around Kyunggi province in South Korea at four different seasons. Psychrotrophic counts were higher in winter than in other seasons as $3.0{\times}10^4$ CFU/m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원유의 내냉성 미생물의 계절별 분포에 관해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내냉성 미생물은 최적 생장 온도가 30℃ 근처이지만, 7℃ 이하에서도 생존가능한 균으로 Pseudomonas, Achromobacter, Aeromonas 속 등이 있다.
  • , 1966), Flavobacterium(Andrey and Frazier, 1959), Serratia (Ingraham, 1962) 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유에 존재하는 계절별 및 지역별 내냉성 미생물의 분포 및 종류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유의 미생물학적 품질은 어떤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우유의 미생물학적 품질은 원유의 품질, 살균조건, 2차 오염 및 저장과 유통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IDF, 1993). 유제품에서 나타나는 미생물은 열처리를 함에도 불구하고 사멸되지 않고 살아있는 내열성 미생물과 우유의 포장용기와 공기로부터의 2차 오염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유제품의 품질은 주로 시유의 내냉성 미생물과 내열성 미생물수에 의하여 평가할 수 있다(Kwon et al.
유제품에서 나타나는 미생물 살균을 해도 오염될 수 있는 요인은? 우유의 미생물학적 품질은 원유의 품질, 살균조건, 2차 오염 및 저장과 유통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IDF, 1993). 유제품에서 나타나는 미생물은 열처리를 함에도 불구하고 사멸되지 않고 살아있는 내열성 미생물과 우유의 포장용기와 공기로부터의 2차 오염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유제품의 품질은 주로 시유의 내냉성 미생물과 내열성 미생물수에 의하여 평가할 수 있다(Kwon et al., 1998).
우유의 원유가 발생하는 내냉성 미생물은? 최근 우리나라 목장에도 냉각기가 설치되고 탱크로리에 의한 콜드체인시스템(cold chain system)이 도입되면서 원유의 미생물학적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으나, 여전히 내냉성 미생물의 오염으로 인한 원유의 품질에는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원유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는 내냉성 미생물로는 그람 음성균인 Pseudomonas 속이며(Martins et al., 2006), 그 외 Achromobacter(Credit et al., 1972), Acinetobacter (Milliere and Veillet-Poncet, 1979), Enterobacter (Andrey and Frazier, 1959), Escherichia(Jayashankar et al., 1966), Flavobacterium(Andrey and Frazier, 1959), Serratia (Ingraham, 1962) 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유에 존재하는 계절별 및 지역별 내냉성 미생물의 분포 및 종류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drey J, Frazier WC. 1959. Psychrophiles in milk held two days in farm bulk cooling tanks. Journal of Dairy Science 42:1781-1784. 

  2. Chen L, Daniel RM, Coolbear T. 2002. Detection and impact of protease and lipase activities in milk and milk powders. International Dairy Journal 13:255-275. 

  3. Cousin MA. 1981. Presence and activity of psychrotrophic microorganisms in milk and dairy products: A review. Journal of Food Protection 45:172-207. 

  4. Credit C, Hedeman R, Heywood P, Westhoff D. 1972. Identification of bacteria isolated from pasteurized milk following refrigerated storage. Journal of Milk Food and Technology 35:708-709. 

  5. Elionora H. Malka H. 2007. Culturable psychrotrophic bacterial communities in raw milk and their proteolytic and lypolytic trait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3:7162- 7168. 

  6. Gunasekera TS, Dorsch MR, Slade MB, Veal DA. 2003. Specific detection of Pseudomonas spp. in milk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using ribosomal RNA directed probes.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94:936-945. 

  7. IDF. 1993. Catalogue of tests for the detection of postpasteurization contamination of milk. Bulletin of the IDF 281:13-34. 

  8. Ingraham JL. 1962. Temperature relationships. In The bacteria, edited by Gunsalus I. C. & Stanier R. Y. pp. 265-296. New York: Academic Press. 

  9. Jayashankar SR, Dundani AT, Iya KK. 1966. Studies on psychrophilic bacteria in milk. International Dairy Congress 17:539-545. 

  10. Kato Y, Shimazaki K-I. Sukegawa K. 1976. Examination on bacteria in raw milk stored in bulk cooler. Research Bulletin. Obihiro University. 10:165-171. 

  11. Kikuchi M, Matsui Y. 1974. Transition of the number of bacteria and bacterial flora in bulk-cooled milk. Japanise Journal of Dairy Science 45:592-596. 

  12. Kwon SH, Ahn JJ, Kwak HS. 1998. Quality changes in various heat-treated market milks during storage. Korean Dairy Technology 16:90-97. 

  13. Lee KC, Shon SK, Ahn DW. 1990a. A study on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raw milk in the north of Kyungnam area.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13:27-31. 

  14. Lee YY, So YM, Yoon, SS, Oh DH. 1990b. Occurance of psychrotrophic bacteria and isolation of protease producing psychrotrophs in raw milk. Korean Journal of Dairy Science 12:342-349. 

  15. Maria FBLN, Rosane SCF, Rita DNW, Eduardo CT, Adriano B. 2010. Proteolytic activity among psychr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refrigerated raw milk. International Journal of Dairy Technology 63:41-46. 

  16. Martins ML, Pinto CL, Rocha RB, Araujo EF, Vanetti MC. 2006. Genetic diversity of gram-negative, proteolytic, psychrotropic bacteria isolated from refrigerated raw milk. Int.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111:144-148. 

  17. Milliere JB. Veillet-Poncet L. 1979. Determination de la flore bacterienne caseolytique psychrotrophe des laits crus rerigeres. Le Lait 59:56-78. 

  18. Shin YK, Kwak HS, Kim JW. 1993. Identification of psychrotrophic bacteria in raw milk. Korean Journal of Dairy Science 15:87-94. 

  19. So MH, Yoon SS, Kim YB. 1992. Psychrotrophic microflora in raw milk and their proteolytic and lipolytic ability. Korean Journal of Dairy Science 14:43-51. 

  20. Sutherland AD, Murdoch R. 1994. Seasonal occurrence of psychrotrophic Bacillus species in raw milk, and studies on the interactions with mesophilic Bacillus sp.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21:279-292. 

  21. Touch V. Deeth HC. 2009. Microbiology of raw and market milks. In Milk processing and quality management, edited by Adnan Y. T. pp. 50-58. Blackwell publishing. 

  22. Wehr HM, Frank JF. 2004. Standards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dairy products. pp.153-168. Washinton DC: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3. Wiedmann M, Weilmeier D, Dineen SS, Ralyea R, Boor KJ. 2000. Molecular and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Pseudomonas spp. isolated from milk.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66:2085-20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