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pyrifluquinazon의 살충 및 행동장애
Insecticidal Activity and Behavioral Disorders by Pyrifluquinazon to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Bemisia tabaci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7 no.1, 2013년, pp.33 - 40  

이선우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송명규 (충북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안기수 (충북농업기술원 친환경연구과) ,  김영재 (충남산림환경연구소) ,  문일성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  구현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  김길하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식물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의 살충과 행동에 미치는 pyrifluquinazon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ifluquinazon은 가루이류의 성충에 대해 50 ppm부터 12.5 ppm까지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알과 약충에는 효과가 없었다. 뿌리와 잎을 통한 침투이행효과는 없었으나, 잔효성 검정에서 처리 후 5일차까지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고,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접촉독성과 섭식독성에 의한 가루이류의 행동과 발현속도를 조사한 결과, 접촉 1시간 이후부터 가루이류는 바닥에 떨어져 심한 날개경련과 마비를 일으키는 증상을 나타내었으며, 섭식 3시간 이후부터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선택시험에서 가루이류는 방사 1시간 이후부터 기피행동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pyrifluquinazon는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속효적으로 작용하고 날개 경련과 마비증상을 유발하여 식물체로부터 바닥으로 떨어져 아사하는 효과를 나타내지만, 직접적인 섭식억제효과는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yrifluquinazon is known to act as a feeding inhibitor in several insect spec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yrifluquinazon on the whiteflies,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Bemisia tabaci. Pyrifluquinazon showed high insecticidal activity (> 90%) against adult T. vaporariorum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0)의 연구에 의하면, 토마토에 thiamethoxam을 처리하였을 때 잎의 황화를 유발시키는 TYLCV의 전염이 억제되는데, 이것은 잎에 남아있던 약액이 담배가루이의 섭식저해 또는 기피효과를 유발시켜 바이러스 획득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라 보고하였다. Pyrifluquinazon에 의한 기피여부는 가루이 종류로 인한 바이러스 전염에 효과 유무와 관련 있을 것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pyrifluquinazon에 의한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의 기피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온실가루이의 경우 pyrifluquinazon 처리 후 12시간 대에 83.
  • 따라서 본 연구는 신규 살충제인 pyrifluquinazon의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살충활성 및 행동반응을 조사하여 작용기작과 방제제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담배가루이 중 채소 시설하우스에서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 것은? , 1998), 32종의 biotype 중 B와 Q가 가장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채소 시설하우스에서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 biotype-Q는 TYLCV 등 40여 종의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uñiz, 2000; Navas-Castillo et al., 2000; Zhang et al.
온실가루이는 식물에 어떻게 피해를 입히는가? , 1990). 온실가루이의 각 충태가 작물을 직접 가해하며, 체관을 흡즙하여 작물의 생육을 저해하고, 감로를 분비하여 그을음병 등을 유발 시켜 상품 가치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병을 전파하는 매개충으로 인식되어 있다(Coffin and Coutts, 2008; Jones, 2003).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며, 직접적인 흡즙 피해와, 바이러스 매개를 통하여 시설재배 작물의 수량과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Bedford et al.
온실가루이란?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는 전 세계의 온대지역에 서식하며, 채소와 과일뿐만 아니라 장식용 식물을 가해하는 주요 해충이다(Byrne et al.,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bott, W. S. (1925) A method of computing the effectiveness of an insecticide. J. Econ. Entomol. 18:265-267. 

  2. Ahn, K. S., M. G. Oh, H. G. Ahn, C. Yoon and G. H. Kim (2008) Evaluation of toxicity of pesticides against honeybee (Apis mellifera) and bumblebee (Bombus terrestris). Kor. J. Pestic. Sci. 12(4):382-390. 

  3. Bedford, I. D., R. W. Briddon, J. K. Brwon, R. C. Rosell and P. G. Markham (1994) Geminivirus transmission and biological characterisation of Bemisia tabaci (Gennadius) biotypes from different geographic regions. Ann. Appl. Biol. 125:311-325. 

  4. Byrne, D. N., T. S. Bellows and M. P. Parrella (1990) Whiteflies in agricultural systems. Whiteflies: their bionomic, pest status and management. Grling D(ed.). Intercept Ltd. Andover, UK. pp. 226-261. 

  5. Cho, S. R., H. N. Koo, C. Yoon and G. H. Kim (2011) Sublethal effects of flonicamid and thiamethoxam on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and feeding behavior analysi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6:889-898. 

  6. Coffin, R. S. and R. H. A. Coutts (2008) Relationships among Trialeurodes vaporariorum-transmitted yellowing viruses from Europe to North America. J. Phytopathol. 143: 375-380. 

  7. Colomer, I., P. Aguado, P. Medina, R. M. Heredia, A. Fereres, J. E. Belda and E. Vinuela (2011) Field trial measuring the compatibility of methoxyfenozide and flonicamid with Orius laevigatus Fieber (Hemiptera: Anthocoridae) and 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 (Acari: Phytoseiidae) in an commercial pepper greenhouse. Pestic. Sci. 67:1236-1244. 

  8. Devine, G. J. and I. Denholm (1998) An unconventional use of piperonyl butoxide of managing the cotton whitefly,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Bull. Entomol. Res. 88:601-610. 

  9. Ha, T. G., I. C. Hwang, J. K. Kim, Y. H. Song, G. H. Kim and Y. M. Yoo (2003) Insecticidal effects and control effects of development stages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omoptera: Aleyrodidae) of insecticides. Kor. J. Pestic. Sci. 7(3):207-215. 

  10. Horowitz, A. R., S. Kontsedalov, V. Khasdan and I. Ishaaya (2005) Biotypes B and Q of Bemisia tabaci and their relevance to neonicotinoid and pyriproxyfen resistance. Arch. Insect Biochem. Physiol. 58:216-225. 

  11. Horowitz, A. R., Z. Mendelson, P. S. Weintraub and I. Isshaaya (1998) Comparative toxicity of foliar and systemic applications of acetamiprid and imidacloprid against the cotton whitefly,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Bull. Entomol. Res. 88:437-442. 

  12. Jones, D. R. (2003) Plant viruses transmitted by whiteflies. Eur. J. Plant Pathol. 109: 195-219. 

  13. Kang, M. A., M. J. Seo, I. C. Hwang, C. Jang, H. J. Park, Y. M. Yu and Y. N. Youn (2012) Insecticidal activity and feeding behavior of the green peach aphid, Myzus persicae, after treatment with nano types of pyrifluquinazon. J. Asia-Pacific Entomol. 15:533-541. 

  14. Karatolos, N., K. Gorman, M. S. Williamson and I. Denholm (2011) Mutations in the sodium channel associated with pyrethroid resistance in the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Pest Manag. Sci. 68:834-838. 

  15. KCPA. (2012) User's manual of pesticides.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16. Kim, G. H., Y. S. Lee, I. H. Lee and K. Y. An (2000) Susceptibility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omoptera: Aleyrodidae)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Kor. J. Pestic. Sci. 4:51-58. 

  17. Kontsedalov, S., Y. Gottlieb, I. Ishaaya, R. Nauen, R. Horowitz and M. Ghanim (2009) Toxicity of spiromesifen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Bemisia tabaci biotype B. Pest Manag. Sci. 65:5-13 

  18. Lee, Y. S., S. Y. Lee, E. C. Park, J. H. Kim and G. H. Kim (2002) Comparative toxities of pyriproxyfen and thiamethoxam against the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omoptera: Aleyrodidae). J. Asia-Pacific Entomol. 5:117-122. 

  19. Mason, G., M. Rancati and D. Bosco (2000) The effect of thiamethoxam, a second generation neonicotinoid insecticide, in preventing transmission of tomato yellow leaf curl geminivirus (TYLCV) by the whitefly Bemisia tabaci (Gennadius). Crop Prot. 19:473-479. 

  20. Morita, M., T. Ueda, T. Yoneda, T. Koyanagi and T. Haga (2007) Flonicamid, a novel insecticide with a rapid inhibitory effect on aphid feeding. Pest Manag. Sci. 63:969-973. 

  21. Muniz, M. (2000) Host suitability of two biotypes of Bemisia tabaci on some common weeds. Entomol. Exp. Appl. 95:63-70. 

  22. Navas-Castillo, J., R. Camero, M. Bueno and E. Moriones (2000) Severe yellowing outbreaks in tomato in spain associated with infections of Tomato chlorosis virus. Plant Dis. 84:835-837. 

  23. Pluschkell, U., A. R. Horowitz and I. Ishaaya (1999) Effect of milbemectin on the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Phytoparasitica. 27:183-191. 

  24. Prabhaker, N., N. C. Toscano and T. J. Hennenberry (1999) Comparison of neem, urea, and amitraz as oviposition suppressants and larvicides against Bemisia argentifolii (Homoptera: Aleyrodidae). J. Econ. Entomol. 92:40-46. 

  25. Rubinstein, G., S. Morin and H. Czosnek (1999) Transmission of tomato yellow leaf curl geminivirus to imidacloprid treated tomato plants by the whitefly Bemisia tabaici (Homoptera: Aleyrodidae). J. Econ. Entomol. 92: 658-662. 

  26. SAS Institute. (2008) Sas/STAT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9.1 Institute Cary, N.C., U.S.A. 

  27. Secker, A. E., I. D. Bedford, P. G. Markham and M. E. C. Williams. (1998) Squash, a reliable field indicator for the presence of B biotype of tobacco whitefly, Bemisia tabaci. In: Brighton crop protection conference-pests and Diseases.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Farnham, UK. pp. 837-842. 

  28. Zar, J. H. (1996) In biostatistical analysis, (3rd ed.). Prentica 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29. Zhang, L. P., Y. J. Zhang, Q.J. Wu, B. Y. Xu and D. Chu (2005)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among different geographical populations and determination of biotypes of Bemisia tabaci in China. J. Appl. Entomol. 129: 121-1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