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유기농자재에 대한 농업인의 사용실태 및 인식도 조사
A Survey on the Use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Materials among Korean Farmer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7 no.1, 2013년, pp.41 - 49  

백민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박성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봉회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용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  오진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김두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  이제봉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전성부)

초록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사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사용실태, 부작용 경험 및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친환경유기농업에 종사하는 농업인이 친환경농업에 참여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안전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안전성에 대해 보통이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재배면적이 많은 농업인이 재배면적이 작은 농업인에 비해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이 더 낮았다. 친환경유기농업 인증을 받은 응답자의 23.6%와 인증을 받지 않은 응답자의 33.8%가 부작용을 경험함으로써 친환경유기농업 인증을 받은 농업인의 부작용 경험 비율이 낮았다. 친환경유기농자재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의 종류는 주로 '눈가려움', '손발가려움', '피곤함'으로 나타났으며, 부작용을 경험한 사람($3.79{\pm}1.15$)이 경험하지 않은 사람($4.15{\pm}0.86$)에 비해서 사용방법을 준수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남에 따라 부작용의 발생 여부는 포장지에 기재된 사용방법 준수 행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해서 정책 및 교육부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해서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정밀한 의견 수렴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ultivation pattern and perception, such as safety awareness, of environmentally-friendly organic materials among Korean farmers. The main reason for participation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was for the production of safe agricultural cr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유기농자재를 직접 사용하여 농작물을 경작하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친환경농업에서 사용되는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사용실태 및 부작용 발생,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도 등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친환경유기농자재의 안전성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농산물의 소비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건강과 환경을 중요시하는 웰빙문화가 확산되면서 친환경농산물의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Kim et al., 2011).
정부에서 추진하는 친환경농업육성 추진계획은 무엇이 있는가? 농업 환경측면에서도 우리나라에서는 농산물 경작에 따른환경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013년까지 2003년 대비 화학비료와 농약 사용량을 40% 감소시킨다는 계획 하에 병해충종합관리시스템 도입과 화학비료 줄이기 및 친환경농업 확대 등 친환경농업 육성시책을 펴고 있다(RDA, 2004a; RDA, 2004b). 이러한 친환경농업육성 추진계획에 의해 우리나라 친환경농업 실천농가는 2001년 5천호에서 2010년 184천호로, 친환경농업 실천면적 또한 5천ha에서 194천ha로 약 40배가 증가하는 등 급속한 발전을하고 있다(KEFAM, 2012).
유기농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로 응답자는 무엇이라 답변했는가? , 2011). 유기농식품 구매 실태조사에 따르면, 유기농을 이용하는 주된 이유로 전체 응답자의 75%가 건강에 좋을 것 같다고 응답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주로 건강을 위해 친환경농산물을찾고 있으며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가 높음을 알 수 있다(KFDA,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Ahn, I. (2010) Setting of evaluation criteria for safety management of organic farming materials in the major OECD nation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nnual report. Korea. 

  2. Cho, T. X. and Y. H. Moon (2000) Recognition of farmer and urban resident on pesticide toxicity. The Korean J. Pestic. Sci., 4(4):48-55. 

  3. Kim, N. R., Y. S. Cho and S. A. Kim (2011)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level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Cheong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6(1):75-81. 

  4. KEFAM (Korea Eco-friendly Agro-materials Association) (2012) Standard guidelines of environment-friendly organic materials. 

  5. KFDA (Korean Food and Drugs Administration) (2005) Survey of consumer awareness about organic food and organic food products. 

  6. Kim, K. W., K. H. Kim, N. S. Kim, Y. B. Ihm, H. D. Lee, H. G. Kim, O. J. You, B. Y. Oh, G. J. Im and G. H. Ryu (2006) Survey on Compliance or pesticide registration standard and pesticide usage of paddy rice and leaf vegetables in Korea. The Korean J. Pestic. Sci., 10(3):183-188. 

  7. Lee, J. J., Y. P. Jung and X. J. Jin (2011) A study on development plans of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through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regions service. J. of Agricultur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23(2):64-79. 

  8. Lee, M. G., J. M. Hwang and S. R. Lee (2005) The usage status of pesticide for vegetables under greenhouse cultivation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n. The Korean J. Pestic. Sci., 9(4):391-4002. 

  9. Lim, K. H., S. J. Kim, K. J. Choi, D. I. Kim, S. G. Kim and Y. H. Lee (2007) Survey of disease and weed control in organic and free-pesticide cultivation of Chunnam area 'Ssam' vegetables. Korean J. Org. Agric., 15(1):109-121. 

  10.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4a) Organic and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e method. P.600 

  11.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4b) Technical development plan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e on crops. P.1-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