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홍수 취약성의 공간적 분포 -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
Spatial Patterns of Urban Flood Vulnerability in Seoul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19 no.4, 2013년, pp.615 - 626  

김지수 (이화여자대학교 지리학전공) ,  성효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 ,  최광용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최근 5년간(2006~2010) 서울시 행정동 단위별로 도시 홍수를 유발하는 기후요인, 홍수에 노출된 정도를 나타내는 민감도, 홍수피해를 저감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적응도 요소들을 종합한 서울 도심지역의 홍수 취약도 지수의 공간적 분포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취약성 모델에 기반을 둔 상관성 분석 결과 서울 도심의 홍수피해 건수는 여러 홍수취약성 관련 변수 중 빗물저류조 용량, 1일 최대강우량, 빗물펌프장 토출량 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도심지역의 홍수 취약도 공간분포도를 분석한 결과 안양천과 중랑천 등 도심하천 주변의 광범위한 행정동 지역에서는 공통적으로 높은 민감도가 홍수 취약도를 높이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중랑천 주변지역은 높은 민감도 이외에도 높은 기후요인에 의해 홍수 취약도가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국지적으로 홍수 취약성이 높게 나타난 강동구와 송파구 일부 행정동 지역에서는 적응도가 낮아 홍수 취약도가 높게 나타났고, 강남구 일부 행정동 지역에서는 극한강수현상과 같은 기후요인과 민감도가 높아 홍수 취약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고해상도 행정구역인 행정동 단위에서 도출된 홍수 취약성 분포도는 도심 내부의 지역별 적합한 홍수 대응, 관리 및 예방 정책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patial patterns of the urban flood vulnerability index in Seoul are examined by considering climate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ability associated with floodings for recent 5 year (2006~2010) period by the smallest administrative unit called Do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아가 검증된 모델을 사용하여 도시 방재전략, 토지이용계획 등의 수립 등 궁극적으로 홍수에 대한 잠재 위험을 억제하는 기반으로서 적용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IPCC의 취약성 평가 개념틀을 적용해 기후요인, 민감도, 적응도와 홍수 취약도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여 기존의 연구들이 지닌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특히, 홍수 취약도 산정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인에 있어 본 연구는 연구지역의 자연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사회경제적 특성을 취약도 지표의 구성요소에 모두 반영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 홍수 재해에 접근하는 데 있어 IPCC(2001) 취약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기후요인, 민감도, 적응도의 개념적 틀을 이용해 최근 5년간(2006~2010) 서울시 행정동 단위의 고해상도 취약성 지수를 산출 및 지도화하여 이를 바탕으로 서울 지역의 홍수 취약성의 공간적 분포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동별 홍수 취약도를 산정 및 분석하기 위해 IPCC(2001)가 정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취약성을 개념적 틀로 적용하여 홍수 위험 분석의 일부로서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과거에 취약성 개념은 식량안보, 자연재해 및 재난 연구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자연재해, 재난 및 위험의 관리와 평가, 공중보건, 기후변화 등 다양한 영역에까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UNDP, 2004).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를 중심으로 행정동 단위에서 도시 홍수 취약성의 공간적 분포 특징을 밝히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1)의 취약성 개념적 틀을 토대로 행정동 단위별 홍수와 관련된 기후요인, 민감도, 적응도 변수로부터 홍수 취약도 모형을 도출하였다.
  • 기존 연구의 한계점은 공간분석단위가 세밀하지 못한 점과 검증단계를 거치지 않은 모델을 사용하여 홍수 취약성의 공간적 분포를 연구하였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세밀한 행정구역 단위인 행정동 단위에서 홍수 취약성을 정량화하여 취약성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도시 내 세부 지역에 좀 더 적합한 홍수 대응 및 관리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검증된 모델을 사용하여 도시 방재전략, 토지이용계획 등의 수립 등 궁극적으로 홍수에 대한 잠재 위험을 억제하는 기반으로서 적용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 취약성을 산출하는데 사용되는 요소의 범주별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기 위해 다수의 변수를 사용하여 대표성을 확보하고자 했으며 그 중에서 자료의 취득이 용이한 변수들을 중심으로 홍수 취약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표 1). 그 결과, 서울시 행정동별 침수피해건수 자료가 남아있는 동시에 424개 모든 행정동에 대해 모든 변수의 데이터가 구축될 수 있는 2006년부터 2010년을 시간적 범위로 하여 총 15개의 변수가 행정동 단위로 구축되었다(표 2).
  • 과거에 취약성 개념은 식량안보, 자연재해 및 재난 연구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자연재해, 재난 및 위험의 관리와 평가, 공중보건, 기후변화 등 다양한 영역에까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UNDP, 2004). 특히, IPCC(2001)의 취약성 개념은 자연환경적 측면과 사회ㆍ경제적 측면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어 홍수 취약성의 정량적 분석 시 자연적 요인과 인문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려는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 IPCC(2001)에서 제시한 자연재해의 취약성 개념은 크게 기후요인, 민감도, 적응도 등 세 가지 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 또한, 본 연구는 IPCC의 취약성 평가 개념틀을 적용해 기후요인, 민감도, 적응도와 홍수 취약도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여 기존의 연구들이 지닌 한계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특히, 홍수 취약도 산정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인에 있어 본 연구는 연구지역의 자연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사회경제적 특성을 취약도 지표의 구성요소에 모두 반영하고자 하였다.
  • 표준화되어 구축된 변수들 중 홍수 취약성과 유의미한 관계를 지닌 변수와 변수별 개별적 중요도로서 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간 수집된 동별 홍수피해 건수와 동별 15개의 홍수 취약성 관련 변수의 피어슨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5년간 총 1105개의 경우에 달하는 연도별 행정동별 침수피해건수 자료(표 2)와 그에 상응하는 연도 및 행정동별 15개 변수의 값이 이용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Z-스코어 방법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준화 방법인 Z-스코어(Z-score) 방법을 적용하였다. Z-스코어 방법은 모든 자료들을 평균이 0, 표준편차가 1이 되도록 만드는 방법이다(식 2). 이 방법은 자료의 수치가 그 분포의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의 몇 배 정도나 떨어져 있는지를 표준화된 확률변수인 Z값으로 나타낸다.
IPCC(2001)가 제시한 홍수 취약성의 세 가지 요소는 각각 무엇인가? 세 가지 요소 중 첫째, 기후요인은 홍수피해를 일으키는 외부자극을 의미한다. 둘째, 민감도는 그러한 외부자극에 시스템이 영향을 받는 정도를 말한다. 셋째, 적응도는 시스템이 피해를 완화하고 주어진 기회를 활용하여 결과에 대처하는 정도를 가리킨다.
IPCC(2001)에 따르면 특정 지역이 지닌 홍수 취약성의 개념은 무엇인가? IPCC(2001)에서 제시한 자연재해의 취약성 개념은 크게 기후요인, 민감도, 적응도 등 세 가지 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IPCC(2001)에 따르면 특정 지역이 지닌 홍수 취약성은 그 지역에 가해지고 있는 기후요인과 홍수피해에 노출된 정도인 민감도로 구성된 홍수피해의 잠재적 영향에서 이를 낮추는 지역의 대처 능력으로서의 적응도를 상쇄한 개념이다(식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