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외상경험과 재발위험성의 관계에서 문제중심대처, 정서중심대처, 음주기대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Problem Focused and Emotion Focused Coping, Drinking Anticipation Between the Female Alcoholics Traumatic Experienced and Their Warning of Relaps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4, 2013년, pp.230 - 238  

우재희 (부산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체적, 성적 학대의 외상경험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들의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초점을 맞추어 알코올중독 재발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을 파악하여 여성알코올중독자들을 재발에 이르게 하는 스트레스대처와 음주기대의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고, 알코올중독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성적 외상경험관련 특성은 18세 이전 지인에 의한 신체적 성적 학대경험이 18세 이후의 경험보다 많았다. 둘째, 연구모형의 분석에서 총 10개의 직접경로 중 8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셋째,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영향에 대한 검증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문제 중심 대처, 정서 중심 대처, 음주기대를 매개로 하는 6개의 간접경로 중 4개의 경로가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적 방안과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purposes to investigate parameters which effect on the relapse of alcoholism, to underst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stress control and drinking anticipation which lead to the relapse of female alcoholism and to seek practical ways in social welfare for alcoholism, focusing on the 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재발에 대한 고위험상황에서 대처 능력과 음주기대가 재발을 예측해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알코올중독자에게 재발의 스트레스상황인 신체적, 성적학대 외상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재발위험성의 매개변인인 스트레스 대처와 음주기대를 재발에 대한 개입 시 고려되어져야 할 중요한 변수로 살펴볼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적, 성적 학대의 외상경험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들의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초점을 맞추어 알코올중독 재발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을 파악하여 여성알코올중독자들을 재발에 이르게 하는 스트레스대처와 음주기대의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고, 알코올중독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분석한 결과는? 본 연구는 신체적, 성적 학대의 외상경험이 있는 여성알코올중독자들의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초점을 맞추어 알코올중독 재발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을 파악하여 여성알코올중독자들을 재발에 이르게 하는 스트레스대처와 음주기대의 심리적 요인을 이해하고, 알코올중독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성적 외상경험관련 특성은 18세 이전 지인에 의한 신체적 성적 학대경험이 18세 이후의 경험보다 많았다. 둘째, 연구모형의 분석에서 총 10개의 직접경로 중 8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셋째,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영향에 대한 검증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문제 중심 대처, 정서 중심 대처, 음주기대를 매개로 하는 6개의 간접경로 중 4개의 경로가 유의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적 방안과 함의를 제시하였다.
외상경험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은 무엇이 있나? 국내 연구에서도 여성 고위험 음주의 원인을 어릴적 학대경험으로 인한 낮은 자아존중감, 우울 및 스트레스 등의 개인적인 문제경험을 가장 큰 요인으로 보았다[5]. 외상경험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는 정서조절영역, 자기인식영역, 가해자에 대한 인식영역, 신체화 증상 영역, 삶의 의미 영역 등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차원에서 그 영향이 있다[16]. 따라서 외상경험으로 인해 정서적으로 취약한 여성 알코올중독자들에게는 외상경험의 내용과 정도가 알코올중독과정에서 다루어 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외상경험이란?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신체적, 성적 학대 외상경험에 관한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외상경험은 특정 사건으로 인해 충격을 받은 경험으로 성적, 신체적 학대, 정서적 모욕, 지속되는 폭행, 전쟁, 자연재해 등 개인에게 강한 공포감, 두려움 및 무기력을 유발할 수 있는 경험을 말한다[12]. 외상경험은 다양한 심리적, 행동적 부적응을 유발하는데 그 중 알코올 및 약물중독은 대표적인 자기 파괴 행동중 하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보건복지부, 파랑새플랜 2010: 알코올 문제없는 건강한 국민, 행복한 가정을 위한 종합계획, 2006. 

  2. National Institute of Alcohol Abuse Alcoholism, NIAAA. Alcohol: A Women's Health Issue. U. S. Deap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3. 

  3. J. Liebschutz, B. Savetsky, R. Saitz, N. J. Horton, C. Lloyd-Travahlini, and J. H. Samet,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nd physical abuse and substance abuse consequences," Substance abuse Treatment, Vol.22, pp.121-128, 2002. 

  4. L. S. Bensley, J. V. Eenwyk, and K. W. Simmon, "Self-reportted childhood sexual and physical abuse and adult HIV-risk behaviors and heavy drinking," Drug and Abuse, Vol.16, pp.297-308, 2000. 

  5. 서미경, 최은진, 김동진, 박순우, 여성 흡연과 음주의 요인 및 정책대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8. 

  6. C. Colleen and M. S. Youngt, "Autcomes of mandated treatment for women with histories of abuse and co-occurring disorder," Substance Abuse Treatment, Vol.4, No.2, pp.192-218, 2009. 

  7. M. M. Velasquez, G. G. Maurer, C. Crouch and C. Diclemente, 알코올 및 약물중독환자를 위한 집단치료, (다사랑병원 알코올 중독연구소 역). 하나의학사, 2003. 

  8. 신행우, 성격과 음주 동기가 음주 문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9. 탁진국, "개인의 성격특성과 생활사건이 음주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 건강, 제5권, 제1호, pp.97-125, 2000. 

  10. G. A. Marlatt and J. R. Gordon, Relapse Prevention: Maintenance Strategies in the tratment of additive behaviors, Guilford, 1985. 

  11. 한상암, 신성원, "우리나라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이 음주 및 흡연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컨텐츠학회, 제8권, 제7호, pp.195-200, 2008. 

  12. America Psychiatric Association. DSM-IV-TR(Diagnostic and Statistical Mental Disorders Forth Edition., 2000. 

  13. C. Colleen and M. S. Youngt, "Autcomes of mandated treatment for women with histories of abuse and co-occurring disorder," Substance Abuse Treatment, Vol.4, No.2, pp.192-218, 2009. 

  14. S. C. Wilsnack, N. D. Vogeltanz, A. D. Klassen, and T. R. Harris, "Childhood sexual abuse and women's substance abuse: National survey finding," Studies on Alcohol, Vol.58, pp.264-271, 1997. 

  15. W. R. Miller, V. S. Westerberg, R. J. Harris, and J. S. Tonigan, "What predicts relapse? Prospective testing of antecedent models," Journal of Addiction Vol.91, pp.155-172, 1996. 

  16. R. G. Blair,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TSD major depression among Cambodian refugees in Utah," of Health and Social Work, Vol.25, No.10, pp.23-30, 2000. 

  17. S. L. Morrow and M. L. Smith, "Constructions of survival and coping by women who have survived childhood sexual abuse," Psychology, Vol.42, pp.24-33, 1995. 

  18. P. C. Britton, "The relation of coping strategies to alcohol consumption and alcohol-related consequences in a college sample," Addiction research and theory, Vol.12, No.2, pp.103-114, 2004. 

  19. L. W. Galen, and W. M. Rogers, "Religiosity, alcohol expectancies, drinking motives and their interaction in the prediction of drinking among college students," Studies on Alcohol, Vol.65, pp.469-476, 2004. 

  20. 임영란, 알코올의존 환자를 위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 검증 및 심리적 위험인자에 대한 구조모형1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21. 김인석, 음주 및 음주문제의 위험요인과 취약성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델링.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22. C. J. Lowman and W. R. Miller, "Perspectives on precipitants of relapse," Addiction, Vol.9, pp.394-417, 1996. 

  23. 한은미, 여성 알코올 의존자의 외상경험과 부정적 정서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24. E. B. Foa, T. M. Keane, and N. J. Fridnman, Effective Treatments for PTSD: Practice Guidelines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raumatic Society for Traumatic Stress Studies, Guilford Pub, 2000. 

  25. S. Folkman and R. S. Lazarus,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 community sample,"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1, pp.219-239, 1980. 

  26. 조성은,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과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27. B. C. Leigh and A. W. Stacy, "Alcohol outcome expectancies: Scale construction and predictive utility in higher order confirmatory models," Psychological Assessment, Vol.5, pp.216-229, 1993. 

  28. 김석도, 음주기대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29. M. Bottlender and M. Soy, "Outpatient alcoholism treatment: predictors of outcome after 3year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Vol.80, No.1, pp.83-89, 2005. 

  30. 성상경, 문황선, 김한오, 이규항, "알코올리즘 입원치료프로그램 참가자들의 퇴원 후 단기경과", 중독정신의학, 제1권, 제2호, pp.7-27, 2003. 

  31. S. E. Kauffman, S. Paula, and P. John, "Gender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Alcohol, Tobacco, and Other Drugs," Social Work, Vol.42, No.3, pp.231-234,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