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판 마감형 조립식 벽패널 복사냉난방시스템의 냉난방 방열 특성 평가
Evaluation of Heating and Cooling Thermal Output Characteristics of Prefabricated Steel Wall Panel System for Radiant Heating and Cooling 원문보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v.33 no.2, 2013년, pp.70 - 77  

임재한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구보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성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송승영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radiant panel heating and cooling system has been regarded as an alternative of low temperature heating and high temperature cooling by applying the renewable energy sources to the heating and cooling of buildings. Especially this system can be used as HVAC system alternatives in sup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강판마감형 조립식 벽패널 복사냉난방시스템의 냉난방 성능평가를 위하여 3차원 전열해석을 실시하였다.전열해석에 이용된 툴은 Physibel사에서 만든 상용,범용의 3차원 비정상상태 전열해석 시뮬레이션 툴인 Voltra 6.
  •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복합빌딩에서 기존 활용해 오던 공조시스템의 대안으로서 조립식 벽패널 복사냉난방시스템을 통합 적용하기 위해 강판 마감형 조립식 벽패널 복사냉난방시스템을 시제품으로 제작 및 시공하여 냉난방 운전 조건별로 성능평가를 진행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성능평가에 앞서 냉난방 운전시 방열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3차원 비정상상태 전열해석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추후 실험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는 사전 성능 평가 데이터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복합빌딩에서 이용 가능한 조립식 벽패널 복사냉난방시스템 적용을 위하여 강판 마감 벽패널 복사냉난방시스템 시제품을 대상으로,3차원 비정상상태 전열해석 프로그램을 이용,난방 및 냉방 조건시 특성을 평가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0w이다.본 프로그램은 열평형방정식을 유한차분법에 의해 이산화하여 풀어줌으로써 복잡한 건물 부위에서의 정밀 전열해석이 가능한 신뢰도가 매우 높은 프로그램이다. 해석 대상 부위는 벽패널 모듈 4개를 나란히 테스트 셀의 가로 3.
  •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복합빌딩에서 기존 활용해 오던 공조시스템의 대안으로서 조립식 벽패널 복사냉난방시스템을 통합 적용하기 위해 강판 마감형 조립식 벽패널 복사냉난방시스템을 시제품으로 제작 및 시공하여 냉난방 운전 조건별로 성능평가를 진행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성능평가에 앞서 냉난방 운전시 방열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3차원 비정상상태 전열해석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추후 실험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는 사전 성능 평가 데이터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난방조건 시 실내온도는 20℃,인접공간의 실 온은 테스트 셀이 설치된 조건을 비난방 공간으로 가정하여 5℃로 설정하였고,표면 열전달율의 경우 외기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벽패널의 내외측 모두 8.29W/㎡K3)로 설정하였다.
  • 냉방조건 시 실내온도는 26℃,인접공간의 실온은 테스트 셀이 설치된 조건에서 냉방이 이뤄진다고 가정하여4)26℃로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며,표면 열전달율은 벽패널 내외측 모두 8.29W/㎡K로 하였다.이는 벽패널 복사냉난방시스템이 실내-복도 사이에 위치하는 간막이벽으로 가정한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될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냉수 공급온도는 15,17,19℃로 가정하였으며,공급 유량은 1,1.5,2LPM으로 난방조건의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시뮬레이션 결과로는 난방시 실내로 공급되는 열량, 냉방시 실내에서 제거되는 열량,각 조건에서 온수 및 냉수의 공급-환수온도차,패널 표면 온도(측정 포인트:Fig.
  • 온수 공급온도는 40,45,50℃로 가정하였으며,공급 유량은 1,1.5,2LPM으로 가정하여 각 온도대별 유량별 방열량,표면온도분포와 환수온도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으로 하였다.Voltra프로그램에서 온수의 흐름을 모델링하기 위해 BC_FRE_S조건을 설정하였다.
  • 해석 대상 부위는 벽패널 모듈 4개를 나란히 테스트 셀의 가로 3.8m ×높이 2.25m 벽면에 시공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이를 위해 테스트 셀에서의 설계안과 동일하게 테스트 셀의 벽체와 실제 시공된 벽패널 복사냉난방시스템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모델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재생에너지나 미활용에너지의 특징은? 세계적으로 건물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존 화석에너지를 대신하여 신재생에너지나 미활용에너지를 건물에 적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재생에너지나 미활용에너지의 경우,대부분 40~60℃ 범위의 저위에 에너지 원이기 때문에 산업분야에서는 그 활용이 제한적이다.이에 최근 국제 에너지기구(IEA)를 비롯한 주요 선진국에서는 기존의 고위 열원을 저위 열원으로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적극 검토되고 있으며,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건물 냉난방에 저온 난방 및 고온 냉방(low temperatureheating,hightemperaturecooling)을 통한 저엑서지(Low exergy)시스템 기술개발과 다양한 보급 활성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내부 온열환경이 사무공간에서는 어떤 특징을 갖는가? 초고층 복합빌딩의 공조설비의 경우,공조기의 난방코일에 85∼90°C의 온수가 공급되며,부적절한 실내 공기 순환으로 인해 내부 온열환경에 불쾌적이 야기되기도 한다.그러나 사무공간의 천장이나 바닥,벽체에 조립식 복사냉난방 패널시스템을 설치하여 냉난방으로 활용함으로써 초고층 건물에서 덕트의 크기를 줄이고 층고를 낮출 수 있으며,열매체의 반송 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나아가 신재생에너지나 미활용온도차에너지를 건물의 냉난방에 적용함으로써 저온난방 및 고온 냉방이 가능하여 건물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건물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 고조로 변화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건물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기존 화석에너지를 대신하여 신재생에너지나 미활용에너지를 건물에 적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신재생에너지나 미활용에너지의 경우,대부분 40~60℃ 범위의 저위에 에너지 원이기 때문에 산업분야에서는 그 활용이 제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김광우, 초고층 오피스용 냉난방 및 다기능 조립식 패널시스템 개발, 건축환경설비 제5권 제2호,2011. 

  2. 강재식, 최경석, 이승언(2004), 저온난방에 의한 IHCS 온돌시스템의 열특성,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계획계 24(2), 2004. 

  3. 조정식, 손병후, 임성균, 백성권, 지열원 저온 복사난방의 적용을 위한 해석적 고찰, 지열에너지저널 7(2),2011. 

  4. 홍희기, 김영균, 저온 온돌 난방에 의한 제어특성과 온열쾌적성,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2011. 

  5. 이영주, 김오봉, 김광우, 여명석, 폴리프로필렌 모세유관 냉방시스템의 적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설비공학회 논문집 17(9), 2005. 

  6. Jan Babiak, Bjarne W. Olesen, Dusan Petras, Low temperature heating and high temperature cooling, REHVA Guidebookno.7, REHVA, 2007. 

  7. Physibel, Physibel Voltra Manual, 2009. 

  8. Shigeru Okamoto et al., A simplified calculation method for estimating heatflux from ceiling radiant panels, Energy and Buildings Vol.42 Issue1,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