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면 투과 레이더(GPR) 기반의 지뢰 탐지 시스템을 위한 표적 후보 검출 기법
A Preprocessing Method for Ground-Penetrating-Radar based Land-mine Detection Syste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 전자공학회논문지, v.50 no.4, 2013년, pp.171 - 181  

공혜정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  김성대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  김민주 (한국과학기술원 전기 및 전자공학과) ,  한승훈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금속을 포함하여 다양한 재질의 지뢰를 탐지할 수 있는 지면 투과 레이더 (Ground Penetrating Radar, GPR)가 지뢰 탐지 분야에서 주목 받고 있으며 지면 투과 레이더를 이용한 지뢰 탐지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1차원 지면 투과 레이더 배열을 이용하여 지뢰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후보 지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기법은 먼저 지면 투과 레이더에 수신되는 신호 세기의 비선형적 감쇠 특성을 반영하여, 지연 시간에 따른 지면 투과 레이더 응답 신호의 세기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회귀 모델을 추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면 투과 레이더 응답 신호를 분석해보면, 토양 신호들은 주로 회귀 모델의 근처에 밀집되어 있고, 지뢰일 가능성이 있는 후보 신호들은 회귀 모델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분포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사실을 기반으로, 지면 투과 레이더의 측정값과 회귀 모델의 예측 값에 대한 예측 오차를 계산하여 토양 신호로부터 지뢰일 가능성이 있는 후보 신호들을 분리하였다. 후보 신호에는 잡음과 표적 신호가 섞여 있으므로 표적 신호가 갖는 고유한 기하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표적 신호를 검출하였다. 성능 검증을 위해 실내 환경에서 획득한 지면 투과 레이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하는 전처리 기법의 지뢰 탐지율 대비 오경보율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ground penetrating radar(GPR) has been widely used in detecting metallic and nonmetallic buried landmines and a number of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reported. A novel preprocessing method is proposed in this paper to flag potential locations of buried mine-like objects from GPR array me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뢰의 특징은? 제 2차 세계 대전이 종료되고 60여년이 흐른 현재에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및 아시아 등 전 세계 60여개 국가에 6~7천만 개로 추산되는 지뢰들이 남아 있다[1]. 지뢰는 땅에 파묻힌 채로 발견이 어렵기 때문에 폭발사고로 이어져 수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민간인을 지뢰의 피해로부터 보호한다는 인도주의적 취지에서 지뢰 제거의 필요성이 고조되었고 많은 지뢰들이 민간인 및 군인에 의해 수작업으로 제거되어 왔다.
금속을 포함하여 다양한 재질의 지뢰를 탐지할 수 있는 지면투과레이더가 지뢰 탐지 장비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현재 개발이 완료되어 실용화된 지뢰탐지 장비는 대부분 EMI(Electromagnetic Induction)를 이용한 금속 탐지기류이다[2]. 하지만 금속탐지기는 비금속 재질의 지뢰를 탐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뢰를 탐지함에 있어 큰 제약을 받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금속을 포함하여 다양한 재질의 지뢰를 탐지할 수 있는 지면투과레이더가 지뢰 탐지 장비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뢰 제거는 어떻게 수행되어왔는가? 지뢰는 땅에 파묻힌 채로 발견이 어렵기 때문에 폭발사고로 이어져 수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민간인을 지뢰의 피해로부터 보호한다는 인도주의적 취지에서 지뢰 제거의 필요성이 고조되었고 많은 지뢰들이 민간인 및 군인에 의해 수작업으로 제거되어 왔다. 그러나 지뢰제거 작업은 다른 여타의 작업보다 인간이 직접 하기에 매우 위험하며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제거 비용 또한 매우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dopt a Minefield Association, "Adopt a minefield." 

  2. C. V. Nelson, C. B. Cooperman, W. Schneider, D. S. Wenstrand, and D. G. Smith, "Wide band width time-domain electromagnetic sensor for metal target classification," IEEE Trans. Geosci. Remote Sens., vol. 39, no. 6, pp. 1129-1138, Jun. 2001. 

  3. D. J. Daniels, "Ground penetrating radar (2nd Ed.)," IEE press, 2004. 

  4. J. D. Taylor(Ed.), "Introduction to Ultra-Wide Radar Systems," CRC press, 1995. 

  5. A. G. Yarovoy, B. Sai G. Hermans, P. van Genderen, L. P. Ligthart, A.D. Schukin, I. V. Kaploun, "Ground penetrating impulse radar detection of small and shallow buried objects," Proc. of IGA RSS'99, Vol.5, pp.2468-2470, 1999. 

  6. Jol, H.M., "Ground penetrating radar: theory and applications," Elsevier Ltd., pp. 80, 2009. 

  7. Ratto, C. R., Torrione, P. A., and Collins, L. M., "Exploiting Ground-Penetrating radar phenomenology in a Context-Dependent frame work for landmine detection and discrimination,"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PP(99), 1-12, 2010. 

  8. P. Chiang, S. L. Tantum, and L. M. Collins, "Signal processing of ground-penetrating radar data for subsurface object detection," Proc. SPIE, vol. 4394, pp. 470-475, 2001. 

  9. Torrione, P. A., C. S. Throckmorton, L. M. Leslie, J. F. Clodfelter, S. Frasier, I. Starnes, S. S. Bishop, P. Gugino, P. Howard, R. C. Weaver, E. Rosen, "Feature-based processing of prescreener-generated alarms for performance improvements in target identification using the NIITEK ground-penetrating radar system," *-+Proc. SPIE., 2004. 

  10. L. Kleinmann, J. Laugks, and K.-P. Nick, "Image processing and pattern recognition in ground penetrating radar data," in Better Understanding of Earth Environment IGARSS, 4, pp. 1903-1906, August 1993. 

  11. Q. Zhu and L. Collins, "Applications of feature extraction methods for landmine detection using the Wichmann/NIITEK Ground Penetrating Radar," IEEE Transaction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3(1), pp. 81-85, 2005. 

  12. Torrione, P., and Collins, L. M., "Texture Features for Antitank Landmine Detection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5, 2374-2382. Proc. SPIE, 2007 

  13. Frigui, H., A. Fadeev, A. Karem, P. Gader,. "Adaptive edge histogram descriptor for landmine detection using GPR," Proc. of SPIE., 2009. 

  14. I. Pitas, "Digital Image Processing Algorithms," Prentice-Hall, 1993. 

  15. A.K. Jian, "Fundamentals of digital image processing, Chapter 9 on Image Analysis and Computer Vision," Prentice Hall International, 1989 

  16. http://users.ece.gatech.edu/-wrscott/ 

  17. Counts, T., Cafer, A.J., Scott, W.R., Jr., McClellan, J.H., and Kim, K, Multistatic ground-penetrating radar experiment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45, No. 8, August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