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두 연-아연 광상의 산출광물과 화학조성
Mineralogy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Dangdu Pb-Zn Deposit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6 no.2, 2013년, pp.123 - 140  

임온누리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유재형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고상모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  허철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자원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당두 연-아연 광상 주변의 지질은 선캠브리아 기반암류인 변성암류와 그 상부를 피복하는 오르도비스기돌로마이트, 석회암, 석회규산염암, 혼펠스, 그리고 이를 관입한 중생대와 백악기의 화강암류 및 암맥들로 구성되어있다. 광상은 오르도비스기의 석회암층 내 열극을 따라 $N20{\sim}40^{\circ}W$방향으로 교대한 연-아연 스카른광상이다. 당두광상에서 주로 개발된 광체는 -30 m level의 연장 10 m, 폭 3 m규모의 $N20^{\circ}E$, $50^{\circ}NW$방향으로 발달한 광체와 연장 15 m, 폭 3 m 규모의 $N30^{\circ}E$, $50^{\circ}NW$방향으로 발달한 광체, 포켓상 광체가 있으며, -63 m level의 폭 2 m, 연장 20 m규모의 $N20^{\circ}E$, $45^{\circ}NW$방향으로 발달한 광체가 있다. 주요 광석광물로는 섬아연석, 황동석, 자류철석, 방연석, 자철석, 황철석이 있으며, 자연창연, 휘창연석, 헤사이트, 코살라이트, 백철석이 소량 수반된다. 섬아연석의 정량분석 결과 평균 FeS 14.14~18.08 mole%, CdS 0.44~0.70 mole%, MnS 0.52~1.13, 1.53~2.09 mole%의 범위를 갖는다. 방연석은 평균 0.54 wt.%의 소량의 은을 함유하며, 일부 시료에서는 1.47 wt.%에 이르는 은을 함유하기도 한다. 코살라이트는 평균 Ag 2.43 wt.%, Bi 44.36 wt.%, Pb 35.05 wt.%의 조성을 보이며, 평균 화학식 $Pb_{1.7}Bi_{2.1}Ag_{0.2}S_5$ 로 Bi가 소량 부화되었으며, Ag를 소량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카른광물로는 녹렴석, 녹니석, 석류석, 단사휘석, 투각섬석, 석영, 방해석이 있다. 광체는 중심부로부터 외곽부로 대칭적인 분포를 보이며, 중심부로부터 녹렴석-단사휘석대, 녹렴석-단사휘석-녹니석대, 녹렴석-석류석-단사휘석대 순으로 분포한다. 석류석의 화학조성은 광체 중심부에 해당하는 녹렴석-단사휘석대에서 외곽부인 녹렴석-단사휘석-녹니석대 및 녹렴석-석류석-단사휘석대로 감에 따라 그로술라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단사휘석은 투휘석-헤덴버자이트 고용체로 산출되며, 녹렴석-단사휘석대에서 녹렴석-단사휘석-녹니석대, 녹렴석-석류석-단사휘석대로 감에 따라 요한세나이트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광화작용은 단일광화작용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조기는 스카른광물 정출기, 중기는 광석광물 정출기, 말기는 저온성 광석광물의 정출기이다. 주요 광석광물은 중기~말기에 걸쳐 형성되었다. 자류철석의 변질산물인 백철석-황철석의 공존 온도와 코살라이트의 형성온도로 미루어보아 저온성 광물 정출기의 온도는 $125{\sim}300^{\circ}C$로 생각된다. 광화작용에 따른 광석광물의 형성 온도에 의하면 조기에서 말기로 감에 따라 $600^{\circ}C$에서 $300^{\circ}C$ 이하의 환경까지 온도가 낮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angdu Pb-Zn deposit is located at approximately 10 km south of Jecheon, Korea. Geology of Dangdu deposit area consists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Ordovician sedimentary rocks, Jurassic and Cretaceous igneous rocks. The ore deposit is developed along the fracture trending $N20{\si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두 연-아연 광상의 주요 광석광물은? 당두광상에서 주로 개발된 광체는 -30 m level의 연장 10 m, 폭 3 m규모의 $N20^{\circ}E$, $50^{\circ}NW$방향으로 발달한 광체와 연장 15 m, 폭 3 m 규모의 $N30^{\circ}E$, $50^{\circ}NW$방향으로 발달한 광체, 포켓상 광체가 있으며, -63 m level의 폭 2 m, 연장 20 m규모의 $N20^{\circ}E$, $45^{\circ}NW$방향으로 발달한 광체가 있다. 주요 광석광물로는 섬아연석, 황동석, 자류철석, 방연석, 자철석, 황철석이 있으며, 자연창연, 휘창연석, 헤사이트, 코살라이트, 백철석이 소량 수반된다. 섬아연석의 정량분석 결과 평균 FeS 14.
당두 연-아연 광상의 주변 지질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당두 연-아연 광상 주변의 지질은 선캠브리아 기반암류인 변성암류와 그 상부를 피복하는 오르도비스기의 돌로마이트, 석회암, 석회규산염암, 혼펠스, 그리고 이를 관입한 중생대와 백악기의 화강암류 및 암맥들로 구성되어있다. 광상은 오르도비스기의 석회암층 내 열극을 따라 $N20{\sim}40^{\circ}W$방향으로 교대한 연-아연 스카른광상이다.
낙동 비소-비스무스 광상에서 산출되는 코살라이트의 특징은? 12S5이다(Shin, 2006). 본 광상의 코살라이트는 언급한 타 광상에 비해 Ag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낙동광상과 비교하였을 때 본 광상의 코살라이트는 Bi2S3와 PbS는 각각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rnold, R.G. (1966) Mixtures of hexagonal and monoclinic pyrrhotite and the measurement of the metal content of pyrrhotite by X-ray diffraction. The American mineralogist, v.51, p.1221-1227. 

  2. Choi, S.G. (1993) Compositional variations of sphalerites and their genetic characteristics from gold and/or silver deposits in central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v.26, p.135-144. 

  3. Chon, H.T. and Shimazaki, H. (1986) Iron, manganese and cadmium contents of sphalerites and their genetical implications to hydrothermal metallic ore deposi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v.19, p.139-149. 

  4. Craig, J.R. (1967) Phase relations and mineral assemblages in the Ag-Bi-Pb-S system, Mineralium deposita, v.1, p.278-306. 

  5. Einaudi, M.T. (1971) The intermediate product of pyrrhotite alteration. American mineralogist, v.56, p.1297- 1302. 

  6. Kihm, Y.H., Kim, J.H. and Lee, J.U. (1999)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Choseon and Ogcheon supergroups in the Deogsan-Cheongpung area, Jecheon-gun Chungcheongbuk- do,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35, p.233-252. 

  7. Kihm, Y.H., Kim, J.H. and Cheong, S.W. (2000)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Southern Jecheon, Korea: Uplift process of Dangdusan metamorphic complex and its implication. Jour. Korean Earth Sciences Society, v.21, p.302-314. 

  8. Kim, C.J. and Park, H.I. (1984) Mineral paragenesis and fluid inclusions of Geoje copper ore deposi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v.17, p.245-258. 

  9. Kim, K.W., Park, B.S. and Lee, H.K. (1967) Geological map of Jecheon sheet, Sheet 6825-III,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46p. 

  10. Kim, O.J., Min, K.D. and Kim, K.H. (1986)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of the Okchon Zone-The boundary between the Okchon and Choson systems in the South of Jechon, and the geology in its vicin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v.19, p.225-230. 

  11. KORES (1973) Geophysical prospecting, v.1, p.305-306. 

  12. KORES (1977) Report of drilling survey on ore deposit, v.3, p.523-524. 

  13. KORES (1979) Report of drilling survey on ore deposit, v.4, p.442-443. 

  14. KORES (1980) Geophysical prospecting, v.2, p.416-418. 

  15. KORES (1982) Report of drilling survey on ore deposit, v.5, p.314-315. 

  16. KORES (2012) Report of drilling survey on the Dangdu(Au-Ag) deposit. 

  17. Lusk, J. and Ford, C.E. (1978) Experimental extension of the sphalerite geobarometer to 10kbar. American mineralogist, v.63, p.516-519. 

  18. Park, H.I. and Lee, C.H. (1992) Mode of occurrences and depositional conditions of Sb, Bi sulfosalt minerals from South ore deposits, Dunjeon gold min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v.25, p.17-25. 

  19. Qian, G., Xia, F., Brugger, J., Skinner, W.M. and Bei, J. (2011) Replacement of pyrrhotite by pyrite and marcasite under hydrothermal conditions up to 200: An experimental study of reaction textures and mechanisms. American mineralogist, v.96, p.1878-1893. 

  20. Shibata, K., Park, N.Y., Uchiumi, S. and Ishihara, S. (1983), K-Ar Ages of the Jecheon Granitic Complex and related molybdenite deposits in South Korea. Mining Geology, v.33, p.193-197. 

  21. Shin, D.B. (2006) Occurrence and mineral chemistry of Pb-Ag-Bi-S system minerals in the Nakdong As-Bi deposits, South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39, p.643-651. 

  22. Yun, S.K., Kim, K.H. and Woo, J.S. (1986) Studies on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of the Okcheon belts- Mineralization in the vicinity of the Muamsa granite stoc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v.19, p.3-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