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도상승에 의한 H-형강 압축재의 내력과 파괴온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Resistance Forces and the Failure Temperatures of H-Shaped Steel Compressive Members by Elevated Temperatures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5 no.2 = no.123, 2013년, pp.131 - 139  

최현식 (계명대학교 건축공학과) ,  강성덕 ((주)현대종합설계건축사사무소) ,  김재억 ((주)포스코에이앤씨, 계명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H-형강 압축재의 온도상승에 따른 파괴거동을 중심으로 압축력과 파괴온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는 것이다. SS400 강재로 제작된 H-형강의 시험체를 선정하여, ISO 834의 재하가열 시험방법에 따라 온도 상승에 대한 실험을 한국방재시험연구원(FILK)에서 수행하였다. 고온상태의 강재에 대한 항복강도 및 탄성계수의 감소계수는 EC3 (Eurocode3) Part 1.2 (1993) 관계식을 근거로 하여 파괴온도시 국부 및 전체좌굴 응력도와 항복응력도를 실험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조건은 세장비 45.4이고 상온에서의 항복내력에 대한 50%, 70%, 80%를 재하압축력으로 설정하여 파괴온도를 측정하였다. 파괴온도와 재하압축력에 대한 실험결과로 부터 온도상승에 따른 내력은 탄성 좌굴강도보다는 항복내력에 근접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perform the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resistance forces and the failure temperatures on the failure behaviors of H-shaped steel compressive members. H-shaped members(SS400) were used for the test models and the tests for the elevated temperat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재의 항복강도 및 탄성계수는 온도상승에 따라 감소하며 고온에서 성능저하현상이 심화된다. 구조체의 내화성능 및 안전성확보 등과 연관하여 고온에서의 부재가 갖는 구조적 거동과 파괴온도를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 접근 및 실험결과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H형강 압축재의 내력과 파괴온도와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이에 대한 EC3 기준의 적용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 시험체 B(S-1)은 표준 화재 시간-온도곡선에 따라 가열하였으나 시험체 A(S-2)는 시험체 온도의 균등화를 위하여 표준 화재 시간-온도곡선보다 가열 속도를 늦게 하였다 . 본 실험은 내화시간과는 직접적 연관이 없이 파괴온도 측정이 주목적이며 가열로 내부온도 및 시험체의 온도 분포에 대한 균등화를 목적으로 시험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Fig.
  • 은 표준 화재 시간-온도곡선 (Standard Time-Temperature Curve)에 의해 건축물의 구조부재는 가열로에서 표준화재 곡선으로 알려진 시간, 온도곡선의 화재 가혹도 (Fire Severity)에 맞추어 수행된다. 본 연구는 내화 시간과는 무관한 피복이 없는 철골부재의 파괴강도 및 온도를 평가하는 목적이므로 최종 화재시간 및 온도 특성과는 연계될 필요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가열속도는 ISO 표준화재 시간곡선과 임의로 설정한 가열 속도의 두가지 경우로 실험하였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H형강 압축재의 내력과 파괴온도와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이에 대한 EC3 기준의 적용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온도상승에 따른 철골부재의 내력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구조체의 내화성능 및 안전성확보 등과 연관하여 고온에서의 부재가 갖는 구조적 거동과 파괴온도를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 접근 및 실험결과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H형강 압축재의 내력과 파괴온도와의 관계를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이에 대한 EC3 기준의 적용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온도상승에 따른 철골부재의 내력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이론적 배경에 의한 해석 및 내화성능과 연관된 기초적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본 논문은 온도상승시 H-형강 압축재의 내력과 파괴온도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써 실험을 수행하고 및 이론적 접근을 위한 EC3[9] 기준의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 실험 결과의 파괴온도를 EC3 기준에 적용한 탄성계수, 탄성의 국부 및 전체좌굴응력도, 항복응력도와 재하 압축응력도를 비교하였다. 재하 압축응력도의 변화에 따른 시험체의 파괴온도를 실험적으로 평가함과 동시에 강재로 된 압축재의 파괴온도 예측에 활용될 수 있는 EC3 기준의 적용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축 구조 재료로써 강재는 어떠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가? 건축 구조 재료로써 강재는 콘크리트 대비 강도(Strength)와 강성(Stiffness)이 우수한 재료로서 공기 단축이라는 시공상의 중요한 장점뿐 만 아니라 요즘 빈번하게 발생되는 지진에 대해 저항능력이 우수한 구조적 성능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 시험체에 적용하는 파괴온도에 의하여 변화하는 것은 무엇인가? 시험체의 파괴온도 결정에 있어 전체 열전대 게이지의 평균온도와 대 변형이 발생한 부근인 Group 5의 국소적 평균온도에 대해 적용 가능성이 있다. 적용하는 파괴온도에 의하여 EC3 기준의 탄성계수, 항복응력도가 변화된다. Table 4.
강재에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재료의 강도는 어떻게 변하는가? 강재의 항복강도는 상온 대비 350℃에서 67%정도, 600℃에서 50%이하로 저하되기 때문에 강구조물의 내화력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화중(2001) 철골구조물의 내화기술, 한국강구조학회지, 한국강구조학회, 제13권, 제4호, pp.22-30. Kim, W.J. (2001) Fire - Resistance Technology in Structural Steel Building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13, No 4, pp.22-30 (in Korean). 

  2. 백태순, 강문명(2004) 압축을 받는 H-형강 기둥의 온도 상승에 따른 국부 및 전체좌굴,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0권, 제9호, pp.63-70. Baek, T.S. and Kang, M,M. (2004) Local & Overall Buckling of H-shaped Steel Column under Compression at Elevated Temperatur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Vol. 20, No 9, pp.63-70 (in Korean). 

  3. 장명웅, 강문명, 강성덕(2003) 온도상승에 따른 Steel Beam의 국부좌굴해석,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한국공간구조학회, 제3권, 제1호, pp.69-75 (in Korean). Jang, M.W., Kang, M.M., and Kang, S.D. (2003) Local Buckling analysis of steel Beams at Elevated Temperatur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hell and Spatial Structures, Vol. 3, No 1, pp.69-75 (in Korean). 

  4. 구본율, 강문명, 강성덕(2004) 온도상승에 따른 H-형강 보의 국부좌굴에 관한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제16권, 제1호, pp.103-111. Koo, B.Y., Kang, M.M., and Kang, S.D. (2004) A Study on the Local Buckling of H-Beam at Elevated Temperatur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16, No 1, pp.103-111 (in Korean). 

  5. Hancock, G.J. (1977) Local, Distortional and Lateral Buckling of I-Sections, Research Report R312, School of Civil Engneering, Sydney, University of Sydney, Australia. 

  6. Wadee, M.A. (1995) Local Instability Phenomena in Fire, The Steel Construction Institute RT533, Version 01. 

  7. 권인규, 지남용, 이세현(2002) 철골 기둥 및 보부재의 허용온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8권, 제10호, pp.45-52. Kwon, I.K., Jee, N.Y., and Lee, S.H. (2002) Experimental Study on the Critical Temperature for Structural Elements such as Column and Beam Exposed to Fire Condition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IK, Vol. 18, No 10, pp.45-52 (in Korean). 

  8. 이승재, 강성덕, 오명호, 김명한, 김상대(2007) SC합성기둥의 내화성능에 대한 실험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19권, 제4호, pp.425-434. Lee, S.J., Kang, S.D., Oh, M.H., Kim, M.H., and Kim, S.D. (2007)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Resistance of SC Composite Colum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 19, No 4, pp.425-434 (in Korean) 

  9. Eurocode 3 (1993) Design of Steel Structures Part12 Structural Fire Design,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Brussels. 

  10. ISO (1999) ISO 834-1 Fire Resistance Tests -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materials 

  11. KS (1999) KS F 2257-1, 건축 구조 부재의 내화 시험 방법-일반요구사항. KS (1999) KS F 2257-1, Methods of fire resistance test for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general requirements (in Korean) 

  12. KS (2004) KS F 2257-4, 건축 구조 부재의 내화 시험 방법-수직 내력 구획 부재의 성능 조건. KS (2004) KS F 2257-4, Methods fire resistance test for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specific requirements for loadbearing vertical separating elements (in Korean) 

  13. KS (2006) KS F 2257-7, 건축 구조 부재의 내화 시험 방법-기둥의 성능조건. KS (2006) KS F 2257-7, Methods fire resistance test for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specific requirements for columns (in Korean) 

  14. Ramberg, W. and Osgood, W. (1942) Description of Stress-Strain Curves by Three Parameters, National Advisory committee for Aeronautics, Technical Note #902. 

  15. Bleich (1952) Buckling Strength of Metal Structures, McGrow-Hill, New-York. 

  16. Timoshenko, S.P. and Gere, J.M. (1961) Theory of Elastic Stability, McGraw-Hil Book Co. Inc,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