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 왕실 복식의 염색 문화
The Dyeing Culture of Royal Garmen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5 no.2, 2013년, pp.192 - 201  

김순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culture surrounding the dyeing of royal garmen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veral dyes were used to color royal garments, such as jicho, honghwa, danmok, simhwang, sambo, goehwa, chija, and namjong. Mordants such as maesi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 후기 왕실 복식의 염색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어떤 내용을 연구하였는가?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후기 왕실 복식에 사용된 염색 재료의 종류를 살펴보고, 염색 재료의 공급 체계를 이해한다. 둘째, 염색 장인의 소속과 신분 및생산 활동을 고찰하고, 왕실 복식 염색의 기술적 특징을 분석 한다. 본 연구는 문헌적 연구로서, 연구 자료는 조선 후기 왕실 복식의 염료 및 염색에 관한 내용을 찾아 볼 수 있는 조선 후기의 사서류이다.
상의원은 무엇을 하던 기관인가? 『상방정례』는 영조 26-27년(1750-51), 왕실 물품의 절용을목적으로 왕의 교명에 의해 간행된 상의원의 제식 준거이다(Lee, 2012). 상의원은 조선시대의 왕실 복식뿐만 아니라 왕실에서 사용했던 모든 물품들을 조달하고 관리했던 기관이다.『상방정례』 는 곧 상의원의 규칙이라 하겠다.
조선 후기의 왕실 복식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조선 후기의 왕실 복식은 단아하고 소박한 일반의 평상복과는 달리 매우 화사하고 세련된 색채미를 자랑한다. 남자 복식의 경우 왕의 조복인 강사포와 상복인 대홍 곤룡포를 비롯하여 세자의 상복인 자적 용포 등에서 화려한 색채의 위용을 볼 수있고, 여자 복식의 경우 왕비의 적의, 내명부의 원삼, 활옷, 당의 등 각종 예복에서 다양한 아름다운 색을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ibyeonsa Deungrok [備邊司謄錄, The records of the bibyeonsa]. (1990).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rans.). Gwacheo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Original work published 1617-1892) 

  2. Chun, H. H. (2005). A study on the paints of Dancheong on royal palace in Joseon peri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3. Dongguk Yeoji Bigo [東國輿地備考]. (1956). (Seoul Sisa Pyeonchan Wiwonhoe, Trans.). Seoul: Seoul Sisa Pyeonchan Wiwonhoe. (Original work published 1865-83) 

  4. Hanguk Jeongsin Munhwa Yeonguwon. (1985). Gyeongguk Daejeon [經國大典, the national code of the Joseon dynasty] (Hanguk Jeongsin Munhwa Yeonguwon, Reprint). Seongnam: Hanguk Jeongsin Munhwa Yeonguwon. (Original work published 1485) 

  5. Ilseongrok [日省錄, The records of daily reflections]. (1998-2007). (Minjok Munhwa Chujinhoe, Trans.). Seoul: Minjok Munhwa Chujinhoe. (Original work published 1752-1800) 

  6. Jeon, S. Y. (2004). Sanga Yorok [山家要錄].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trans.). Suw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riginal work published 1459) 

  7. Jo, G. R., Mun, G. H., & Buddhist priest Daean. (2000). 전통염색의 이해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dyeing]. Pusan: Bogwang Chulpansa. 

  8. Jo, G. R. (2007). 규합총서에 나타난 전통염색법 해설 [Commentary on the method of the traditional dyeing shown in the Gyuhap Chongseo]. Paju: Hanguk Haksul Jeongbo. 

  9. Kim, D. H. (1993). A study on the process of making costumes and providing for royal family in late Joseon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kmyeong Women's University, Seoul. 

  10. Kim, S. H. (2007). A study on the Sanguiwon to make royal attire in Chosu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2), 11-28. 

  11. Kim, S. Y. (2004). Color naming structure of red-series and purpleseries in the clothing of Joseon dynasty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Kim, S. Y. (2008). The transition of the indigo dyeing method identified through the agricultural archives in the latter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8), 1286-1298. 

  13. Kim, S. Y. (2010). Dyes and dyeing in Korea, from 1876 to 19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9), 77-94. 

  14. Kim, W. (1986). Historic study on the dyeing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5. Lee, M. E. (2003). Study on royal ceremonies and costumes on Goonjoongbalkee in the Joseon dynas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ungin. 

  16. Lee, M. J. (2012). The process of compiling Sangbang Jeongrye and it's characteristics. Jangseogak, 27, 71-108. 

  17.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 Myeongaju. Species Korea. Retrieved November 9, 2012, from http://www.nibr.go.kr/species 

  18.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5). Joseon Wangjo Sillok [朝鮮王朝實錄,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Retrieved July 17 to August 20, 2012, from http://sillok.history.go.kr 

  19.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0-2011). Seungjeongwon Ilgi [承政院日記,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Retrieved July 17 to August 20, 2012, from http://sjw.history.go.kr 

  20. Sanguiwon. (1750-51). Sangbang Jeongrye [尙方定例]. A microfilm (kyu 11) held at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21. Seo, Y. B., & Sim, S. G. (1971). Mangi Yoram [萬機要覽] (Minjok Munhwa Chujin Wiwonhoe, Trans.). Seoul: Minjok Munhwa Chujin Wiwonhoe. (Original work published 1808) 

  22. Seoul Daehakgyo Kyujanggak. (1999). Yukjeon Jorye [六典條例]. Seoul Daehakgyo Kyujanggak, Reprint). Seoul: Seoul Daehakgyo Kyujanggak. (Original work published 1867) 

  23. So, H. O. (1984). A philological study on the traditional dyeing and weaving of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24. Takji Junjeol [度支準折]. (late 1870s). A microfilm (garam 古 336.2-T126t) held at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25. Yang, U. J. (1988). A philological study on the history of dyeing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kmin University, Seoul. 

  26. Yeongjo Jeongsunhu Garye Dogam Uigwe [英祖貞純后 嘉禮都監儀軌]. (1994).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Reprint.). Seoul: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Original work published 1759) 

  27. Yi, B. (1975). Gyuhap Chongseo [閨閤叢書]. (Y. W. Jung, Trans.). Seoul: Bojinjae. (Original work published 1809) 

  28. Yun, J. (2006-2011), Myeongjae Yugo [明齋遺稿].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rans.). Seoul: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Original work published 17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