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체진동을 이용한 함정의 수중방사소음 예측
Estimation of the Underwater Radiated Noise of a Naval Vessel Using Hull Vibration 원문보기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23 no.5, 2013년, pp.394 - 400  

한형석 (DTaQ) ,  이경현 (DTaQ)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water radiated noise is one of the important performances related to stealth of the naval vessel. However, the evaluation can't be performed frequently due to the cost. Therefore, the estimation method of the underwater radiated noise with average hull vibration is suggested in this paper assu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캐비테이션 발생 속도 이전에서 함정의 수중방사소음을 수면하 선체의 굽힘 진동에 의한 전달소음만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선체의 진동 속도를 이용하여 수중방사소음을 예측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 및 단순화 가정을 바탕으로 수면하 선체를 여러 개의 단순지지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수중방사소음은 이들 강판의 진동에 의한 굽힘파로만 구성된다고 가정하여 수중방사소음을 예측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선체 구성 기본 강판은 4개의 에지가 모두 보강재로 둘러싸인 강판(0.6 m×2.4 m×15 mm)으로 가정한다.
  • 선체는 “다” 에서 언급한 여러 개의 기본강판의 배열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선체 진동에 의한 수중방사소음은 선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강판의 진동에 의한 소음의 합으로 가정한다.
  • 나. 수중방사소음은 선체의 구조전달소음으로만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공기 투과소음 무시, 캐비테이션 발생속도 이전에서만 유효).
  • 여기서 방사 면적은 함의 수면 하 면적을 사용하였으며 음향방사효율은 전절의 Hattori식(식 (13)~(16))을 사용하였다. 음압의 계산은 전절에서 선체를 무한강판 및 유한강판 조합으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하여 각각 계산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선체진동을 이용하여 수중방사 소음을 예측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단순화 가정을 설정하였다.
  • 이와 같이 측정 및 계산 결과로부터 선체진동 측정을 통해 수중방사소음을 근사적으로 예측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음향방사효율은 Hattori식을 사용하고 선체를 여러 개의 무한강판의 조합으로 가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진동 신호를 통한 소음 예측은 fHz 이하의 저주파에서는 실제 측정 소음 레벨과의 오차가 큼을 알 수 있었다.
  • 하지만 시험 사정 상 원거리 계측이 어려워 선체로부터 1 m 떨어진 좌, 우현 각각 2개의 다른 지점에서 소음을 계측하고 평균값을 구한 다음, 이를 점음원에 의한 방사 소음값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정의 수중방사소음을 통해 할 수 있는 것은? 함정의 수중방사소음은 함정의 스탤스 성능과 연관되어 매우 중요한 성능 지표 중 하나이며 이를 저감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함정의 수중방사소음은 적함의 음향 탐지 체계 및 어뢰가 탐지하는 주요 소음 원이며 함정 수중방사 소음의 전반적인 에너지 수준의 측정을 통해 아함의 피탐 위험도 평가가 가능하고 음향 징표 획득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의한 피·아 식별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중방사소음을 저감하는 연구의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선체진동을 이용하여 수중방사 소음을 예측하기 위해 설정한 단순화 가정은? 가. 수중방사소음은 보통 선체를 점음원으로 간주할 수 있을 만큼 원거리에서 측정된다. 나. 수중방사소음은 선체의 구조전달소음으로만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공기 투과소음 무시, 캐비테이션 발생속도 이전에서만 유효). 다. 선체 구성 기본 강판은 4개의 에지가 모두 보강재로 둘러싸인 강판(0.6 m×2.4 m×15 mm)으로 가정한다. 라. 선체는 “다” 에서 언급한 여러 개의 기본강판의 배열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선체 진동에 의한 수중방사소음은 선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강판의 진동에 의한 소음의 합으로 가정한다.
함정의 수중방사소음은 어떤 소음원입니까? 함정의 수중방사소음은 함정의 스탤스 성능과 연관되어 매우 중요한 성능 지표 중 하나이며 이를 저감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함정의 수중방사소음은 적함의 음향 탐지 체계 및 어뢰가 탐지하는 주요 소음 원이며 함정 수중방사 소음의 전반적인 에너지 수준의 측정을 통해 아함의 피탐 위험도 평가가 가능하고 음향 징표 획득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의한 피·아 식별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중방사소음을 저감하는 연구의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im, J. S., Kim, H. S. and Kim, S. R., 2001, Transfer Function of Structure-borne Noise to Underwater Radiated Noise, Autumn Conference of KSNVE in 2001, pp. 138-142. 

  2. Kazuo, H., Kazuo, N. and Masanobu, S., 1985, Prediction of Underwater Sound Radiated from Ship's Hull by Using Statistical Energy Analysis, Internoise-85, pp. 645-648. 

  3. Lee, Y. S., Sur, J. N., Park, Y. I. and Kim, J. S., 1999, A Study on the Underwater Radiated Noise Predictions of the Surface Ship, Proceedings of the KSNVE Annual Spring Conference, pp. 669-676. 

  4. Bae, S. R., Jeon, J. J. and Lee, H. G., 1993, Waterborne Noise Prediction of the Reinforsed Cylindrical Shell Using the SEA Techniqu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3, No. 2, pp. 155-161. 

  5. Kim, S. S., Cho, D. S, Ahn, H. I. and Chung, S. M., 1998, Optimal Adherent Position of Viscoelastic Material for the Reduction of Sound Power Radiated from the Stiffened Plat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 Engineers, Vol. 12, No. 2, pp. 22-32. 

  6. Laulagnet, B., 1998, Sound Radiation by a Simply Supported Unbaffled Plate, The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103, No. 5, pp. 2451-2462. 

  7. Ver, I. L. and Beranek, L. L., 2006, Noise and Vibration Control Engineering, Wiley, New Jersey, USA. 

  8. Maidanik, G., 1962, Response of Ribbed Panels to Reverberant Acoustic Fields, The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34, No. 6, pp. 809-826. 

  9. Hattori, K., Nakamachi, K. and Sanada, M., 1985, Prediction of Underwater Sound Radiated From Ship's Hull by Using Statistical Energy Analysis, Internoise-85, pp. 645-648.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