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녹시딜을 내포한 용융형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의 길이에 따른 특성 및 발모 효능 관찰
Characteristics and Hair Growth Efficacy of Water Dissolving Micro-needles Containing Minoxidil Regarding Length of Micro-needles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7 no.3, 2013년, pp.393 - 398  

한미리 (중앙대학교 융합의약학과) ,  김은영 ,  정용현 ,  김명석 ,  박정환 (가천대학교 바이오나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선 미녹시딜을 함유한 수용성 고분자 젤로부터 solvent casting 방법으로 250과 $750{\mu}m$ 두 가지 길이의 미녹시딜이 함유된 용융형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micro-needle)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미녹시딜을 함유한 용융형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은 기계적 강도가 입증된 고분자 니들과 동일한 형태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냈으며, 성공적으로 피부를 투과함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의 경우 피부 적용 후 최소 30분 이상은 부착되어야 전체 니들의 50% (v/v) 이상이 피부 내로 용융되었으며, 니들 적용부위에서 서서히 약물의 방출 및 확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57BL/6 동물 모델을 통해 미녹시딜이 함유된 250, $750{\mu}m$ 길이의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이 무처리군 혹은 미녹시딜 처리군에 비해 발모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types of polymeric micro-needles with 250 and $750{\mu}m$ lengths were prepared by a micromolding process. The geometry of dissolving micro-needles with minoxidil was investigated and the mechanical property of polymer micro-needles was also evaluated. Water dissolving micro-needles c...

주제어

참고문헌 (25)

  1. K. McElwee, D. Tobin, J. C. Bystryn, L. King, and J. Sundberg, Exp. Dermatol., 8, 371-379 (2007). 

  2. D. Wasserman, D. A. Guzman-Sanchez, K. Scott, and A. McMichael, Int. J. Dermatol., 46, 121 (2007). 

  3. A. Gilhar and R. S. Kalish, Autoimmun. Rev., 5, 64 (2006). 

  4. N. Al-Mutairi, Dermatol. Surg., 33, 1483 (2007). 

  5. M. Waiz, A. Z. Saleh, R. Hayani, and S. O. Jubory, J. Cosmet. Laser Ther., 8, 27 (2006). 

  6. E. A. Olsen, F. E. Dunlap, T. Funicella, J. A. Koperski, J. M. Swinehart, E. H. Tschen, and R. J. Trancik, J. Am. Acad. Dermatol., 47, 377 (2002). 

  7. A. W. Lucky, D. J. Piacquadio, C. M. Ditre, F. Dunlap, I. Kantor, A. G. Pandya, R. C. Savin, and M. D. Tharp, J. Am. Acad. Dermatol., 50, 541 (2004). 

  8. D. A. Nelson and R. L. Spielvogel, Int. J. Dermatol., 24, 606 (2007). 

  9. J. L. Italia, V. Bhardwaj, and M. R. Kumar, Drug Discov. Today, 11, 846 (2006). 

  10. Y. K. Sung, S. Y. Hwang, S. Y. Cha, S. R. Kim, S. Y. Park, M. K. Kim, and J. C. Kim, J. Dermatol. Sci., 41, 150 (2006). 

  11. T. Fischer, U. Hipler, and P. Elsner, Int. J. Dermatol., 46, 27 (2007). 

  12. N. Otberg, A. Teichmann, U. Rasuljev, R. Sinkgraven, W. Sterry, and J. Lademann, Skin Pharmacol. Phys., 20, 195 (2007). 

  13. E. A. Olsen, A. G. Messenger, J. Shapiro, W. F. Bergfeld, M. K. Hordinsky, J. L. Roberts, D. Stough, K. Washenik, and D. A. Whiting, J. Am. Acad. Dermatol., 52, 301 (2005). 

  14. S. Mura, F. Pirot, M. Manconi, F. Falson, and A. M. Fadda, J. Drug Target., 15, 101 (2007). 

  15. Y. B. Lee, Y. S. Eun, J. H. Lee, M. S. Cheon, Y. G. Park, B. K. Cho, and H. J. Park, The Journal of Dermatology, 40, 81 (2013). 

  16. J. H. Park, S. O. Choi, S. Seo, Y. B. Choy, and M. R. Prausnitz, Eur. J. Pharm. Biopharm., 76, 282 (2010). 

  17. J. W. Lee, M. R. Han, and J. H. Park, Journal of Drug Targeting, DOI: 10.3109/1061186X.2012.741136 (2013). 

  18. C. S. Kolli and A. K. Banga, Pharm. Res., 25, 104 (2008). 

  19. G. Li, A. Badkar, S. Nema, C. S. Kolli, and A. K. Banga, Int. J. Pharmaceut., 368, 109 (2009). 

  20. Y. Ito, A. Murakami, T. Maeda, N. Sugioka, and K. Takada, Int. J. Pharmaceut., 349, 124 (2008). 

  21. J. W. Lee, S. O. Choi, E. I. Felner, and M. R. Prausnitz, Small, 7, 531 (2011). 

  22. K. Matsuo, S. Hirobe, Y. Yokota, Y. Ayabe, M. Seto, Y. S. Quan, F. Kamiyama, T. Tougan, T. Horii, and Y. Mukai, J. Control. Release, 160, 495 (2012). 

  23. S. Kommareddy, B. C. Baudner, S. Oh, S. Kwon, M. Singh, and D. T. O'hagan, J. Pharm. Sci., 101, 1021 (2012). 

  24. J. W. Lee, J. H. Park, and M. R. Prausnitz, Biomaterials, 29, 2113 (2008). 

  25. M. Y. Kim, B. Jung, and J. H. Park, Biomaterials, 33, 668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