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양 석문봉 측백나무군락지의 식물상 및 보전방안
Conservation Methods and Vascular Plants of Thuja orientalis Community in Seokmun-bong, Danyang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6 no.2, 2013년, pp.75 - 92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한반도생태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ascular plants of Thuja orientalis community in Seokmun-bong, Danyang were listed 222 taxa (4.5% of all 4,881 taxa of vascular plants); 67 families, 150 genera, 163 species, 2 subspecies, 43 varieties and 14 forms. Limestone plants, 29 taxa; Asplenium rutamuraria, Celtis koraiensis, Goodyera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생태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이라고 판단된 단양 석문봉 측백나무군락지의 식물상 및 희귀식물 보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생태 · 경관보전지역 지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생태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이라고 판단된 단양 석문봉 측백나무군락지의 식물상 및 희귀식물 보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한바 다음과 결론을 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Korea National Arboretum(2012)이 꼭지연잎꿩의다리(Thalictrum ichangense)를 언급하여 우리나라 석회암지대에 있는 연잎꿩의다리는 대부분이 이 종이라고 하였으나, 아주 드물게 연잎꿩의다리도 생육한다고 하였다. 이는 연잎꿩의다리와는 달리 기는줄기를 통해 무성생식을 한다고 하였으나, 본 저자는 형태적으로 기는줄기의 차이점을 파악하지 못해 연잎꿩의다리로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양지역의 지질 중 지하자원의 매장과 관련이 깊은 퇴적암층은 무엇이 있는가? 단양지역의 지질은 지하자원의 매장과 관련이 깊은 퇴적암층으로 조선누층군과 평안누층군이 있는데, 이중 조선누층군은 옥천지향사대를 중심으로 퇴적된 지층으로서 주로 두꺼운 석회암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원도 동남부와 이에 인접한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에 분포하며, 삼척․동해․단양․영월․문경 등지의 시멘트 공업은 조선누층군의 석회암을 배경으로 발달하였다(http://100.
단양지역은 어느 지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가? 단양지역은 충북 제천과 경북 영주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천지역의 연평균 기후자료 (1981년∼2010년)를 살펴보면, 평균기온은 10.2°C, 최고기온은 16.
단양 석문봉 측백나무군락지의 정상은 해발 몇 m인가? 45″에 해당된다. 본 연구대상지의 정상은 해발 282.3m 이며, 이 지역이 석회암지대로 북쪽으로는 시멘트공장인 성신광산(주)이 있어 대부분이 훼손되었다. 남쪽으로는 남한강이 흐르고 있어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전형적인 하식애(河蝕崖)의 지형․지질을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ek, W. G. Shin, C. M. and Han, S. G. 2005a. Flora of Danyang and Yecheon. The whole country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 investig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2. Baek, W. G. Shin, C. M. and Han, S. G. 2005b. Flora of Jecheon and Danyang. The whole country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 investig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0. Map of nature cultural heritage. (in Korean) 

  4. Hyun, J. H. 2003a. Flower blooming in spring 386. Seoul : Shingumunhwasa. (in Korean) 

  5. Hyun, J. H. 2003b. Flower blooming in summer 386. Seoul : Shingumunhwasa. (in Korean) 

  6. Kim, C. 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I. Selection of plant taxa-. Kor. J. Environ. Biol. 18(1) : 163-19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Kim, C. H. and Han, M. K. 1998. Flora of Dosolbong (Chungbuk Danyang and Kyeongbuk Yeongju). The whole country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 investig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8. Kim, J. S. and Kim, T. Y.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Seoul : Dolbegae. (in Korean) 

  9. Kim, J. 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 D. Thesis. Wien University. 

  10. Kim, S. N. and Lee, K. S. 1997. The orchids of Korea in color. Seoul : Kyohaksa. (in Korean) 

  1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2. Distributions of naturalized alien plants in Korea. (in Korean) 

  12.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in Korean) 

  14. Korea National Arboretum.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in Korean) 

  1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The plants in limestone areas. Seoul : Geobook. (in Korean) 

  16. Lee, J. H. Han, S. Y. Choi, K. and Cho, H. J. 2000. Measuring preservation value of Oriental Arber forest in Taegu city. J. of For. Rec. 4(1,2) : 55-6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Lee, N. S. 2011. Illustrated flora of Korean orchids. Seoul : Publication department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Korean) 

  18. Lee, T. B. 2003. Illustrated flora of Korea. Seoul : Hyangmunsa. (in Korean) 

  19. Lee, W. T.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Seoul : Academy Press. (in Korean) 

  20. Lee, W. T. and Yim, Y. 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Appendix) : 1-3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1. Lee, Y. G. 1999. Riparian vegetation of community classification. Keimy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2. Lee, Y. G. and Kim, J. W. 2005. Riparian vegetation of South Korea. Daegu : Publication department of Keimyung University. (in Korean) 

  23. Lee, Y. M. Park, S. H. Jung, S. Y. Oh, S. H. and Yang, J. 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4.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Seoul : Kyohaksa. (in Korean) 

  25. Lee, Y. N. and Oh, Y. C. 1970. Limestone flora of Todam, province Chung Buk in South Korea. J.K.R.I.B.L. 5 : 101-11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6.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Berlin : Gebruder Bornteaeger. 

  27. Numata. 1975. Naturalized plants. Tokyo : Japanese books. 

  28. Park, J. U. and Lee, H. W. 1999. Flora of Sobaeksan (Yeongju and Danyang). The whole country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 investig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29. Park, J. U. and Lee, S. J. 2007. Flora of Danyang-Cheonguibong. The whole country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 investig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n) 

  30. Park, S. H. 1994. A study on naturalized plants introduced into Korea. Nature Conservation 85 : 39-5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1. Yim, Y. J. and Jeon, E. 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3-4) : 69-8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2. Yim, Y. J. and Kira, T.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 25 : 77-88. 

  33. Yoo, C. M. Lee, J. K. and Chun, Y. G. 2008. A Study on the current protection and improvement device for the plant colony of the natural monument-Focusing on Thuja orientalis area-. J. of the Kor. Ins. of Tra. Lan. Arc. 26(1) : 85-9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4. Yun, M. B. Seo, M. H. and Lee, Y. M. 1998. Natural monuments of Korea in color. Seoul : Kyohaksa. (in Korean) 

  35. http://100.daum.net 

  36. http://local.daum.net 

  37. http://terms.naver.com 

  38. http://www.kma.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