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scribes the identification of Panax species using mitochondrial consensus primers. Initially, a total of thirty primers were tested in ten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two foreign Panax species, P. quinquefolius and P. notoginseng. In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삼의 종 판별을 위하여 고려인삼, 미국삼 및 중국삼의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분자생물학적 판별을 시도하였으며, 향후 다양하게 가공된 다량의 인삼원료제품을 대상으로 단위시간당 처리 능력 (through put)이 향상된 종판별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DNA 단편의 증폭 크기를 줄인 효율적인 마커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외 인삼시장에서 고려인삼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외국삼으로부터 고려인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판별을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공우성 (Co-dominant)인 PQ91, PN418 마커는 미토콘드리아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agarose gel에서 쉽게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대량의 샘플을 대상으로 종 판별에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토콘드리아의 특징은 무엇인가? 미토콘드리아는 핵 DNA에 비해 크기가 작아 조작이 용이하며 돌연변이율도 높고 재조합이 거의 없어 오랜 세월 진화해 오는 과정동안 수많은 변이를 축적하여 다른 어느 genome 보다 5내지 10배의 변이를 가진다 (McClean and Hanson, 1986). 뿐만 아니라 비멘델성 유전을 하기 때문에 양친의 염색체가 재조합하여 일어나는 복잡성을 피할 수 있어 식물의 종을 분류하는 연구에 많이 적용되어 왔다.
DNA 마커를 이용한 인삼의 종 판별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DNA 마커를 이용한 인삼의 종 판별연구는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와 5.8S 부위의 염기서열 변이를 이용한 방법 (Wen and Zimmer, 1996; Ngan et al., 1999; Park et al., 2006; Kim et al., 2007), 엽록체 DNA의 변이를 이용한 PCR-RFLP (Choi and Wen, 2000), universal primer를 적용시킨 RAPD (Um et al., 2001, Shim et al., 2003; Bang et al., 2004) AFLP (Ha et al., 2002), ISSR (In et al., 2005) 등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선행된 연구결과들은 제한적인 품종의 적용과, PCR 이후의 추가적인 실험으로 인한 오랜 시간 소요와 임의 프라이머를 이용함으로써 발생되는 재현성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Bang et al.
인삼의 과학적인 판별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웰빙과 천연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으로 인삼 가공품 시장 규모와 원료삼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값싼 외국삼이 밀수입되어 국내산 인삼으로 불법 유통되고 있다. 향후 중국, 미국, 캐나다 등 인삼산업 경쟁국과의 자유무역협정이 발효되면 더욱 더 그 피해가 심각해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Bang et al., 2011a). 또한 홍콩 등 해외시장에서 한국산 고려인삼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좋아 국내 인삼 제품의 모조품까지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인삼 재배농가들의 안정적인 소득 보장과 인삼의 유통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인삼의 과학적인 판별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kker FT, Culham A, Pankhurst CE and Gibby M. (2000). Mitochondrial and chloroplast DNA-based phylogeny of Pelargonium(Gerani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4:727-734. 

  2. Bang KH, Lee SW, Hyun DY, Cho JH, Cha SW, Seong NS and Huh MK. (2004). Molecular authentication and genetic polymorphism of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by inter-simple sequence repeats(ISSRs) markers. Journal of Life Science. 14:425-428. 

  3. Bang KH, Chung JW, Kim YC, Lee JW, Jo IH, Seo AY, Kim OT, Hyun DY, Kim DH and Cha SW. (2011a). Development of SSR markers for identification of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 A. Mey.) cultivar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185-190. 

  4. Bang KH, Jo IH, Chung JW, Kim YC, Lee JW, Seo AY, Park JH, Kim OT, Hyun DY, Kim DH and Cha SW. (2011b). Analysis of genetic polymorphism of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foreign accessions using SSR marker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347-353. 

  5. Bang KH, Seo AY, Chung JW, Kim YC, Jo IH, Kim JU, Kim DH, Cha SW, Cho YG and Kim HS. (2012). Analysis of genetic polymorphism and relationship of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breeding lines using EST-SSR mark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277-285. 

  6. Choi HK and Wen J. (2000). A phylogenetic analysis of Panax(Araliaceae): Integrating cpDNA restriction site and nuclear rDNA ITS sequence data.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24:109-120. 

  7. Duminil J, Pemonge MH and Petit RJ. (2002). A set of 35 consensus primer pairs amplifying genes and introns of plant mitochondrial DNA. Molecular Ecology Notes. 4:428-430. 

  8. Guo YL and Ge S. (2005). Molecular phylogeny of Oryzeae(Poaceae) based on DNA sequences from chloroplast,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omes. American Journal of Botany. 9:1548-1558. 

  9. Ha WY, Shaw PC, Liu J, Yau CF and Wang J. (2002). Authentication of Panax ginseng and Panax quinquefolius using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AFLP) and directed amplification of minisatellite region DNA(DAMD).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7:1871-1875. 

  10. Hu SY. (1976). The genus Panax(ginseng) in Chinese medicine. Economic Botany. 30:11-28. 

  11. Hwang TY, Seo MJ, Lee SK, Park HM, Jeong KH, Lee YY, Kim SL, Yun HT, Lee JE and Kim DW. (2012). Discrimination of 110 Korean soybean cultivars by sequence tagged sites(STS)-CAPS markers.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3:258-272. 

  12. In DS, Kim YC, Bang KH, Chung JW, Kim OT, Hyun DY, Cha SW, Kim TS and Seong NS. (2005). Genetic relationships of Panax species by RAPD and ISSR analyse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3:249-253. 

  13. Kim OT, Bang KH, In DS, Lee JW, Kim YC, Shin YS, Hyun DY, Lee SS, Cha SW and Seong NS. (2007). Molecular authentication of ginseng cultivars by comparison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5.8S rDNA sequences. Plant Biotechnology Reports. 1:163-167. 

  14. Lee C and Wen J. (2004). Phylogeny of Panax using trnC-trnD intergenic region and the utility of trnC-trnD in interspecific studies of plants. Molecular Phylogenetics Evolution. 31:894-903. 

  15. McClean PE and Hanson MR. (1986). Mitochondrial DNA sequence divergence among lycopersicon and related Solanum species. Genetics. 3:649-667. 

  16. Merckx V, Schols P, Van de kamer HM, Maas P, Huysmans S and Smets E. (2006). Phylogeny and evolution of Burmanniaceae(Dioscoreales) based on nuclear and mitochondrial data. American Journal of Botany. 11:1684-1698. 

  17. Ngan F, Shaw P, But P and Wang J. (1999). Molecular authentication of Panax species. Phytochemistry. 50:787-791. 

  18. Park MJ, Kim MK, In JG and Yang DC. (2006). Molecular identification of Korean ginseng by amplif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PCR. Food Research International. 5:568-574. 

  19. Schaefer H and Renner SS. (2011). Phylogenetic relationships in the order Cucurbitales and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ourd family(Cucurbitaceae). Taxonomy. 60:122-138. 

  20. Shim YH, Choi JH, Park CD, Lim CJ and Cho JH. (2003). Molecular differentiation of Panax species by RAPD analysis.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8:601-605. 

  21. Shim YH, Park CD, Kim DH, Cho JH, Cho MH and Kim HJ. (2005). Identification of Panax species in the herbal medicine preparations using gradient PCR method.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8:671-676. 

  22. Um JY, Chung HS, Kim MS, Na HJ, Kwon HJ, Kim JJ, Lee KM, Lee SJ, Lim JP, Do KR, Hwang WJ, Lyu YS, An NH and Kim HM. (2001). Molecular authentication of Panax ginseng species by RAPD analysis and PCR-RFLP.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4:872-875. 

  23. Wang H, Sun H, Kwon WS, Jin H and Yang DC. (2009).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Korean ginseng cultivar "Chunpoong" using the mitochondrial nad7 intron 4 region. Mitochondrial DNA. 20:41-45. 

  24. Wen J and Zimmer EA. (1996).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Panax L.(the ginseng genus, Araliaceae): Inferences from ITS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6:167-1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