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경주시 금곡산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Flora Distributed in Mt. Geumgok, Gyeongju-si, Gyeongsangbuk-do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6 no.2, 2013년, pp.248 - 270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금곡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서 식물생태계의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에 목적이 있다. 금곡산의 관속식물은 91과 298속 397종 4아종 46변종 6품종 등 총 453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변산바람꽃, 솜양지꽃, 노랑무늬붓꽃 등 3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한국특산식물은 서어나무, 변산바람꽃, 고광나무, 해변싸리, 노랑갈퀴, 병꽃나무 등 6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잣나무, 왕버들, 꿩의바람꽃, 홀아비꽃대, 대극, 대팻집나무, 조개나물, 빗살서덜취, 노랑제비꽃, 물박달나무, 좀목형, 승마 등 3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다닥냉이, 아까시나무, 토끼풀, 애기땅빈대, 둥근잎나팔꽃, 큰개불알풀, 울산도깨비바늘, 지느러미엉겅퀴, 큰도꼬마리, 큰이삭풀, 큰김의털 등 3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2분류 군이었다. 도시화지수(UI)는 11.2%, 귀화율(NI)은 7.9%, 교란율(DI)은 18.2%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the raw data for conservation of plant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of Mt. Geumgok located in Gyeongju-si, Gyeongsangbuk-do, Korea. The flora were summarized as 453 taxa including 91 families, 298 genera, 397 species, 4 subspecies, 46 varie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금곡산의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서 식물생태계의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 수집에 목적이 있다. 금곡산의 관속식물은 91과298속 397종 4아종 46변종 6품종 등 총 453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 따라서 금곡산은 보전상태가 양호한 지역이 있는 반면, 개발에 의해 훼손상태가 존재하므로 조속히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금곡산에 분포하고 있는 관속식물상을 체계적으로 조사함으로서 생물종다양성 회복과 산림생태보전을 위한 정보 구축을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주시의 평균기온은 몇 도인가? ,2011). 기후특성의 경우 평균기온 14.3℃, 평균최고기온 18.5℃, 평균최저기온 10.
경주시의 면적은? 경주시는 경상북도 동남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동해, 서쪽은 청도군과 영천시, 남쪽은 경상남도 울산광역시, 북쪽은 포항시와 접하고 울주군에서 발원한 형산강이 경주시를 관통하여 포항시 영일만으로 유입된다. 경주시의 면적은 1,325 km2로서 동단은 감포읍 오류리, 서단은 산내면 내원리, 남단은 산내면 대현리, 동단은 강동면 단구리이며, 연장거리의 경우 동서간 47.1 km, 남북간 45.
경주시의 지형적 특성은 무엇인가? 경주시의 지형적 특성은 평균 해발고도 199.3 m로 해발고도 100 m 이하의 저지대와 100~200 m의 구릉성 산지가 많으며, 경사방향은 동향, 경사도는 5° 이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완경사의 저지대 및 산지가 많다(Oh et al.,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Gyeongju City. 2012. Gyeongju Statistical Year Book. Gyeongju City, Gyeongju, Korea. pp. 43-44 (in Korean). 

  2. Gyeongju National Park Office. 2012. Gyeongju National Park Resource Monitoring. Gyeongju National Park Office, Gyeongju, Korea. pp. 5-19 (in Korean). 

  3. Han, J.S., K.S. Cheon, K.A. Kim and K.O. Yoo. 2012.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resources in Mt. Heungjeong (Pyeongchang-gun, Gangwon-do). Korean J. Plant Res. 25(4):416-432 (in Korean). 

  4. Kim, H.J., H.R. Jeong, J.J. Ku, K. Choi, K.W. Park and D.S. Cho. 2012.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of the natural habitats of Korean endemic plant Eranthis byunsanensis B.Y.Sun. Korean J. Environ. Biol. 30(2):90-97 (in Korean). 

  5. Kim, H.J., J.K. Hong, S.C. Kim, S.H. Oh and J.H. Kim. 2011. Plant phenology of threatened species for climate change in sub-alpine zone of Korea-especially on the summit area of Mt. Deogyusan-. Korean J. Plant Res. 24(5):549-556 (in Korean). 

  6. Kim, J.H., J.Y. Lee, B.Y. Lee, C.Y. Yoon and M.H. Kim. 2010. The vascular plants in Mt. Gaji (Gyeongsangnam-do). Korean J. Plant Res. 23(4):303-326 (in Korean). 

  7. Kim, J.H., Y.H. Kim. C.Y. Yoon and J.H. Kim. 2008. The flora of Mt. Biseul in Daegu. Kor. J. Env. Eco. 22(5):481-504 (in Korean). 

  8.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0-332 (in Korean). 

  9.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3-492 (in Korean). 

  10. Korea Forest Service. 2012. Korea Forest Service Homepage (http://www.nature.go.kr).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27-28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s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534 (in Korean). 

  13. Lee, S.C., S.H. Choi, W.K. Lee, T.J. Park, S.H. Oh and S.N. Kim. 2011.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distribution by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 Korean For. Soc. 100(2):256-265 (in Korean). 

  14. Lee, S.D., D.W. Kim, S.H. Choi. 2011.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of Seongsi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Kor. J. Env. Eco. 25(3):378-388 (in Korean). 

  15. Lee, S.K., J.S. Han and K.O. Yoo. 2011. Flora of Gitdae-bong (Gapyeong-gun, Gyeonggi-do). Korean J. Plant Res. 24(5):564-583 (in Korean). 

  16.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14 (in Korean). 

  17.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10 (in Korean). 

  18.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87-101 (in Korean). 

  19.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Germany. p. 666. 

  20.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10-36 (in Korean).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Invasive Alien Animals and Plants Sourcebook.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pp. 48-138 (in Korean). 

  22. Oh, H.K., J.H. Sagong and J.H. You. 2011. Analysis on environmental indices and naturalized plants distribution in Gyeryong-si, Korea. Kor. J. Env. Eco. 25(4):479-489 (in Korean). 

  23. Oh, J.H., J.H. You, K.T. Kim and W.S. Lee. 2011. Risk assessment of soil erosion in Gyeongju using RUSLE method. J. Environ. Impact Asses. 20(3):313-324 (in Korean). 

  24.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575 (in Korean). 

  25.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Botany 23(3-4):69-83 (in Korean). 

  26. You, J.H., S.J. Mun and W.S. Lee. 2011. Management plan and vascular plants of the Hwarang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Tech. 14(5):17-3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