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GC-MS를 이용한 계절에 따른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의 부위별 향기 성분 비교 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Essential Oils Composition in Difference Parts from Lindera obtusiloba BL. according to the Season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4 no.1 = no.172, 2013년, pp.30 - 40  

황승환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세진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영선 (한림대학교 화학과) ,  임순성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ssential oils of stems, roots, fruits and leaves of Lindera obtusiloba BL. were collected in the winter and summer extrac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SDE) apparatus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In present study, 58 kinds of volatile components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유 성분을 분리 · 추출하는 방법으로 동시 연속 수증기 증류 추출법(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과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GC-MS)과 Gas Chromatography(GC)를 이용하여 생강나무의 겨울(1월)에 채취한 줄기, 뿌리와 여름(7월)에 채취한 줄기, 뿌리, 열매, 잎 등의 다양한 부위로부터 정유 성분의 수율과 조성 및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생강나무의 계절별/부위별 유용한 자원을 찾고 식품 및 향료 산업에서 응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강나무란?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는 우리나라 전역 및 일본, 중국에서 자생하고 있는 녹나무과의 활엽소교목으로 높이는 약 3~5 m, 양지에서 보다 음지에서 많이 자생하며 생강나무의 잎, 목질 부위에서 생강냄새가 발산하여 생강나무로 불려졌다.11,12) 또한 오래전부터 민간에서는 생강나무 종자의 기름을 짜서 등화유나 두발유로 사용하고 가지 부위를 건조한 후 달여서 복용하여 복통, 해열, 거담, 한열청간등 다양한 효능으로 사용하였고 어린 순을 건조시켜 차로 음용할 정도로 약리적 효능이 널리 알려져 있다.
정유의 구성 성분과 함량은 무엇에 의해 차이를 보일 수 있는가? 1) 식물의 거의 모든 부위에서 존재하는 정유는 식물의 종류와 부위에 따라 독특한 향기와 향미를 나타낸다. 그러나 같은 식물 종일지라도 기후, 토양조건 및 자생하는 지역에 따라 구성 성분이나 함량에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식물의 정유는 주로 monoterpene류, sesquiterpene류, amoratic aldehyde류, ketone류, alcohol류 및 ester류의 화합물 등으로 존재한다.
식물의 정유는 어떤 화합물로 존재하는가? 그러나 같은 식물 종일지라도 기후, 토양조건 및 자생하는 지역에 따라 구성 성분이나 함량에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식물의 정유는 주로 monoterpene류, sesquiterpene류, amoratic aldehyde류, ketone류, alcohol류 및 ester류의 화합물 등으로 존재한다.2,3)특히 정유 성분은 스트레스 감소 및 심신안정 효과에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6) 근래에는 생활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정유들의 독특한 향기와 생리적 기능을 지닌 식물성 천연 정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면역성 증가,7) 항암효과,8) 항산화 및 항균9) 등의 연구결과가 보고됨에 따라 천연 정유를 산업적으로 응용하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범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ang, S. J., Kim, Y. H., Kim, M. K. and Yun, S. E. (2002) Essential oil composition from leaves, flowers, stems, and fruits of Vitex rotundifolia L. fil. J. Kor.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01-107. 

  2. Ha, B. J. (2006) Korea Aromatherapy, 11-16, SooMoonSa publishing, Seoul. 

  3. Lim, S. S., Lee, Y. S., Kim, H. M., Ahn, Y. H., Shin, K. H. and Lee, S. H. (2008) GC/MS analysis of volatile constituents from broad-leaved indeciduous trees. Korean J. Plant. Res. 21: 237-248. 

  4. Ahn, K. M. (2007)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method using sweet orange essential oil on stress. J. Kor. Soc. Cosm. 13: 1121-1129. 

  5. Seo, H. K. and Park. K. S. (2003) A study on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method using Claysage essential oil on stress in middleaged women. Kor. J. Women Health Nuts 9: 61-69. 

  6. Lim, S. S., Lee, Y. S., Han, S., Chung, K. H., Lee, S. H. and Shin, K. H. (2008) GC/MS analysis of volatile constituents from native schizandra chinensis. Kor. J. Hort. Sci. Technol. 26: 476-483. 

  7. Buchbauer, G., Jirovetz, L. and Jager, W. (1991) Aromatheraphy : evidence for sedative effects of the essential oil of lavemder after inhalation. Z. Naturforschc. 46: 1067-1072. 

  8. Zheng, G. Q., Kenny, P. M. and Lam, L. K. T. (1993) Potential anticarcino genic natural products isolated from lemongrass oil and galanga root oil. J. Agr. Food Chem. 41: 153-156 

  9. Park, S. J., Yu, M. H., Kim, J. E., Lee, S. P. and Lee, I. S. (2012)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and marc extracts from Cinnamomum verum. J. Life. Sci. 22: 373-379. 

  10. Lawless, J. (1995)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essential oils. Element Books ltd. Shafesbury, UK. 

  11. 이창복 (1985) 대한식물도감, 376, 향문사, 서울. 

  12. 육창수 (1990) 원색한국약용식물도감, 134, 카데미서적, 서울. 

  13. 강경식, 김윤식 (1988) 원색식물도감, 92, 카데미서적, 서울. 

  14. 최영전 (1992) 한국민속식물, 205, 카데미서적, 서울. 

  15. Hwang, K. A., Shin, S. R. and Kim, K. S. (2005) Changes on the flavor components in the leaf teas of lindera obtusiloba BL. by process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2: 68-74 

  16. 강찬구, 박상용, 육창수 (1995)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BL. 열매의 정유성분. 생약학회지 26: 105-106. 

  17. Moon, H. I. and Lee, J. H. (1997) Volatile aromatic components of ginger(Zingiber officinalis Roscoe) rhizomes and japanese spice bush(Lindera obtusiloba BL). Korean J. Crop Sci. 42: 7-13. 

  18. Park, S. H. and Kim, J. H. (2004) Composition monoterpenoids from branch of Lindera obtusiloba. J. Basic Science 19: 93-97. 

  19. Kim, J. S., Koh, M. S., Kim, Y. H., Kim, M. K. and Hong, J. S. (1991)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41-149. 

  20. Kwon, D. J., Kim, J. K. and Bae, Y. S. (2007) Essential oils from leaves twigs of Lindera obtusiloba. Jour. Korean for. Soc. 96: 65-69. 

  21. M, Kelen. and B, Tepe. (2008)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the essential oils of three Salvia species from Turkish flora. Bio. Technology 99: 4096-4104. 

  22. Nakatani, N. (1997). Antioxidants from spices and herbs. In: F. Shahi (ed.). Natural antioxidant; chemistry, health effects and applications. AOCS Press. USA. 

  23. Crowell, PL. (1997). Monoterpenes in breast cancer chemoprevention. Breast. Cancer. Res. Treat 46: 191-197. 

  24. Kim, J. O., Kim, Y. S., Lee, J. H., Kim, M. N., Rhee, S. H., Moon, S. H. and Park, K. Y.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mugwort (Artemisia asictic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1: 308-313. 

  25. Park, K. W., Mok, M. G. and Woo, J. H. (2007) Essential oil components of Lindera obtusiloba BL. by dry methods. Kor. J. Hort. Sci. Technol. 16: 116-1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