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득이>의 상업전략과 사회질서의 유지·재생산 - 부르디외의 이론을 중심으로-
Commercial Strategy and Reproduction of Social Order on Punch -A Study on Bourdieu's Theor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5, 2013년, pp.71 - 81  

계운경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초록

<완득이>는 우리사회의 소외계층이 겪어내야 하는 다양한 문제들의 제시와 가난한 완득이가족 및 외국인노동자를 돕는 이동주의 행위가 중심이 된다.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 성적중심의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 기존 사회시스템의 변화 촉구 등의 메시지를 통해 이 영화가 전복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영화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객관적 관찰자로서의 이동주의 제시와 그에 대한 관객의 동의가 사회의 변화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가'하는 의문을 시작으로, 작품을 둘러싼 다양한 주체들의 관계가 만들어내는 상징폭력의 재생산의 양상에 관하여 분석을 시도한다. <완득이>는 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과 대중성 확보를 위한 가장 큰 전략으로 '웃음의 효과'와 '낭만적인 시선'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이 영화가 관객의 변화를 통한 사회변화의 필요성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가지고 있더라도 피해자 스스로 폭력을 정당한 것으로 인정하게 하면서 공모에 의한 사회질서 유지와 재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nch awakens the audience of necessity of social change related to the poverty and prejudice toward the underprivileged. However Bourdieu claims individuals such as Dong-Ju Lee can not change existing dominant order even if they struggle for social change. In particular, laughter effect and roman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논문은 위와 같이 우리사회에서 가시적으로 나타나는 물리적 폭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에 부르디외의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비가시적으로 작용하는 상징폭력의 문제와 재생산의 관계에 관하여 짚어 내고자한다.
  • 본 논문에서는 사회변화를 위해 관객들의 변화를 촉구하는 전복의 입장을 가지고 있는 영화 (2011)를 통해 전복투쟁이 사회의 변화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의 내용상 드러나는 비가시적폭력인 상징폭력의 작동방식과 더불어 이 영화가 상업전략으로서 선택한 ‘웃음의 효과’와 ‘낭만적인 시선’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의문을 풀기 위한 틀로서 사회시스템의 작동방식을 보다 근원적인 차원에서 분석할 수 있게 하는 부르디외의 이론을 에 적용하고자 한다.
  • 낭만적인 시선은 <완득이>가 추구하는 상업전략을 넘어서 기존 사회의 유지와 재생산과도 깊게 관련되기 때문에 짚고 넘어가할 필요가 있다. 이 영화는 어려운 환경에 있지만 끈끈한 가족애로 그것을 극복하려고 노력하는 완득이 가족을 제시하며 관객들의 감성을 자극한다. 완득이 가족이 처한 현실 보다 끈끈한 가족애에 더 초점을 두고 그들의 삶을 아름답게 바라보게 한다.
  • 이동주의 행위는 있을 수도 있는 일이긴 하지만 여전히 현실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낭만적이다. 한 발 더 나아가, 완득이의 킥복싱과 관련하여 이 영화는 관객으로 하여금 그의 선택과 노력을 감상적으로 바라보게 한다. 그러나 그 감상적인 시선 뒤에는 언제나 극복하기 힘든 현실이 있으며, 낭만적 시선은 그 중요한 부분을 가려버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말하는 상징폭력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는 ‘상징폭력’(symbolic violence)과 ‘장’(champ)의 작동 원리를 통해 지배 권력이 재생산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가 말하는 상징폭력은 “피해자들조차도 감지하거나 깨닫지 못하게 하는, 유연한 폭력”으로 부드럽고 은밀하게 장 내에 작용하면서 지배 권력이 재생산되는 데 기여한다[1]. 이 때 장은 구별짓기를 통해 정체성을 부여받은 개인을 통제하는 사회적 구조이다.
피에르 부르디외는 무엇을 통해 지배 권력이 재생산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는가?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는 ‘상징폭력’(symbolic violence)과 ‘장’(champ)의 작동 원리를 통해 지배 권력이 재생산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가 말하는 상징폭력은 “피해자들조차도 감지하거나 깨닫지 못하게 하는, 유연한 폭력”으로 부드럽고 은밀하게 장 내에 작용하면서 지배 권력이 재생산되는 데 기여한다[1].
<완득이>는 무엇을 통해 관객들의 동의를 이끌어 내고 있는가? <완득이>가 전복의 입장에 있는 영화라는 것을 뒷받침하는 것은 이동주가 소외계층의 위치에서 그들을 지원하는 것, 현재 유지되고 있는 성적중심의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 약자를 착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사회시스템의 변화를 촉구하는 일련의 행위를 통해서이다. 그리고 이 영화는 그런 이동주의 행위를 정의롭게 그려냄으로써 관객들의 동의를 이끌어 내고 있다. 그러나 과연 이동주의 그러한 행위와 그에 대한 관객의 동의가 사회변화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인가.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P. Bourdieu, Masculine Domination, Stanford: Stanford UP, pp.1-37, 2001. 

  2. 이상길, "문화생산과 지배-피에르 부르디외의 '장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론과사회, 제9권, 제1호, pp.11-15, 2001. 

  3. 계운경,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미학과 윤리의 관계, 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 박사논문, p.38, 2009. 

  4. P. Bourdieu, 예술의 규칙, 하태환 역, 동문선, p.286, 1999. 

  5. 정병언, "여성공간과 상징폭력: 미국 여성극을 중심으로", 현대영미드라마, 제23권, 제2호, p.88, 2010. 

  6. P. Bourdieu,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정일준 역, 새물결, p.26, 1995. 

  7. http://tvdaily.mk.co.kr/ 

  8. P. Bourdieu, Masculine Domination, Stanford: Stanford UP, p.109, 2001. 

  9. P. Bourdieu,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trans. Richard Nice, Cambridge: Harvard UP, pp.97-244, 1984. 

  10. P. Bourdieu, Masculine Domination, Stanford: Stanford UP, p.37, 2001. 

  11. 최원규, 박현정,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10권, p.77, 2009. 

  12. 김려령, 완득이, 창비, p.26, 2008. 

  13. P. Bourdieu, 구별짓기, 최종철 역, 새물결, p.283, 2005. 

  14. M. Foucault, 감시와 처벌, 오생근 역, 나남, pp.298-333, 2003. 

  15. 계운경, "학생 인권문제와 상징폭력: 에 대한 학생들의 비평문을 중심으로", 문학과영상, 제12권, 제2호, p.18, 2011 

  16. P. Willis, 학교와 계급재생산, 김찬호, 김영훈 역, 이매진, p.29, 2004. 

  17. E. Wright, Postmodern Brecht: a Representation, London; Routledge, p.50, 1989. 

  18. H. Bergson, 웃음/창조적 진화/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이희영 역, 동서문화사, p.81, 2008. 

  19. 김남석, 한국 문예영화 이야기, 살림, p.10,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