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온 소성한 MgO 분말을 함유한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의 장기재령에서의 내구특성
Long-term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Fly ash Concrete Containing Lightly Burnt MgO Powder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3, 2013년, pp.909 - 916  

장봉석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최슬우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이광명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온에서 소성된 산화마그네슘 분말을 치환한 MgO 콘크리트는 장기적인 팽창성을 가진다. 또한 MgO의 수화반응이 느린 속도로 장기재령까지 일어나기 때문에 매스콘크리트의 온도수축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저온 소성한 MgO는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인 댐에 주로 적용되었다. 최근 수화열 저감을 위해 매스콘크리트에 많이 사용되는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MgO 콘크리트의 팽창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이러한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에 저온 소성한 MgO 분말을 치환하여 MgO 분말 치환에 따른 장기재령에서의 내구특성을 확인하였다. 재령 360일까지 20, $50^{\circ}C$에서 수중 양생을 실시한 후 탄산화, 동결융해 및 염화물 확산, 황산염 침투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MgO 분말을 치환한 시편에서 탄산화 저항성 및 염해 저항성, 황산염 침투 저항성이 다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동결융해 저항성은 MgO 분말 치환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crete containing lightly burnt MgO has long term expansibility. It also could compensate for the thermal shrinkage of mass concrete, because the hydration of MgO proceeds at a slow pace to long-term age. Thus, lightly burnt MgO has been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mass concrete such as dams.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이 연구에서는 목표 강도 12, 24, 45MPa의 총 3가지 배합을 기준으로 플라이애시를 20% 수준으로 치환하였다. MgO 분말은 기존 연구인 Jang et al.,(2011) 및 Du(2005)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적정량의 최대치로 사료되는 결합재 질량비 5% 수준으로 치환하였으며, 실험에 사용한 6 종류의 콘크리트 배합비는 Table 3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MgO 분말 치환에 따른 장기 재령에서의 내구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저온 소성한 MgO 분말을 5% 수준으로 세 가지 강도의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배합에 치환하여 재령 360일까지 20, 50℃에서 수중 양생을 실시하였다. 그 후 탄산화, 동결융해 및 염화물 확산, 황산염 침투 저항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MgO 분말을 치환하지 않은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 탄산화 실험용 시편은 Φ 100 × 200mm의 공시체를 Φ 100 ×100mm 크기로 절단하여 만들었으며, 실험은 KS F 2584(콘크리트의 촉진 탄산화 실험방법)를 따라 수행하였다. 그리고 탄산화 환경 노출 후 재령 28, 90, 180 일에서 KS F 2596(콘크리트 탄산화 깊이 측정방법)에 의해 탄산화 깊이를 측정하였다.
  • 질량변화는 100 × 100 × 400mm의 시편을 사용하였으며, 압축강도 변화는 φ 100 × 200mm 크기의 시편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시편을 10% 황산나트륨에 침지하여 침지 전후 질량변화 및 압축강도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결과는 침지 전 시편의 질량 및 압축강도에 대한 변화율로 나타내었다.
  • 염소이온 확산 실험은 Φ 100 × 200mm의 공시체를 φ 100 ×50mm 크기로 절단하여 진행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MgO 분말 치환에 따른 장기 재령에서의 내구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저온 소성한 MgO 분말을 5% 수준으로 세 가지 강도의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배합에 치환하여 재령 360일까지 20, 50℃에서 수중 양생을 실시하였다. 그 후 탄산화, 동결융해 및 염화물 확산, 황산염 침투 저항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MgO 분말을 치환하지 않은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와 비교, 분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MgO 분말을 치환하지 않은 FA 콘크리트(MgO-0) 와 MgO 분말을 5% 수준으로 치환한 콘크리트(MgO-5)에 대하여 장기 재령에서의 내구성 평가를 위해 재령 360일까지 각각 20, 50℃로 유지되는 항온수조에서 양생한 뒤 탄산화, 동결융해, 염화물 확산 및 황산염 침지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 연구에서는 목표 강도 12, 24, 45MPa의 총 3가지 배합을 기준으로 플라이애시를 20% 수준으로 치환하였다. MgO 분말은 기존 연구인 Jang et al.
  • 제작한 시편은 온도가 20 ± 1℃이고, 습도가 60±3%인 항온 항습실에서 24시간 동안 양생한 후 탈형을 실시하였다. 이후 내구성 실험을 실시할 때까지 20, 50℃의 항온수조에서 재령 360일까지 수중 양생을 실시하였다.
  • 제작한 시편은 온도가 20 ± 1℃이고, 습도가 60±3%인 항온 항습실에서 24시간 동안 양생한 후 탈형을 실시하였다.
  • 질량변화는 100 × 100 × 400mm의 시편을 사용하였으며, 압축강도 변화는 φ 100 × 200mm 크기의 시편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대상 데이터

  • 콘크리트 배합에 사용한 골재의 성질은 Table 2에 정리하였다. 굵은 골재는 콘크리트의 목표 강도에 따라 최대치수가 다른 골재를 사용하였는데 12MPa인 콘크리트에는 최대 치수 40mm, 24MPa과 45MPa 인 콘크리트에는 최대 치수가 25mm 인 굵은 골재를 사용하였다. 화학 혼화제로는 유동성 확보와 공기량 조절을 위하여 국내 H사의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AE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 염소이온 확산 실험은 Φ 100 × 200mm의 공시체를 φ 100 ×50mm 크기로 절단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은 NT Build 492을 따라 실시하였으며, 양극용액은 0.3N NaOH을 사용하였고 음극용액은 10% NaCl을 사용하였다. 염소 이온의 침투 깊이는 KS F 2737(지시약에 의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깊이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식에 대입하여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산정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KS L 5201(포틀랜드 시멘트)을 만족하는 국내 S사의 1종 시멘트(밀도 : 3.14g/cm3)와 국내 S사의 플라이애시(밀도 : 2.20g/cm3), 중국의 료녕해성에서 수리구조물 전용으로 저온소성한 MgO 분말(밀도 : 3.56g/cm3)을 결합재로 사용하였으며, 그 화학조성 및 물리적 성질은 Table 1에 정리되어 있다. 콘크리트 배합에 사용한 골재의 성질은 Table 2에 정리하였다.
  • 콘크리트 시편은 각각의 내구성 실험 조건에 따라 100 × 100× 400mm의 휨 몰드와 Φ 100 × 200mm의 실린더 몰드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 굵은 골재는 콘크리트의 목표 강도에 따라 최대치수가 다른 골재를 사용하였는데 12MPa인 콘크리트에는 최대 치수 40mm, 24MPa과 45MPa 인 콘크리트에는 최대 치수가 25mm 인 굵은 골재를 사용하였다. 화학 혼화제로는 유동성 확보와 공기량 조절을 위하여 국내 H사의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AE 감수제를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콘크리트는 KS F 2425(실험실에서 콘크리트 시료를 만드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콘크리트의 배합시간은 MgO 분말의 균질성을 위해 4분으로 하였다. 공기량은 KS F 2421(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실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 동결융해 실험은 100 × 100 × 400mm 시편을 사용하여 KS F 2456(급속 동결 융해에 대한 콘크리트의 저항 실험 방법)의 방법 B(기중 급속 동결 후 수중 융해 실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 동결융해 실험은 100 × 100 × 400mm 시편을 사용하여 KS F 2456(급속 동결 융해에 대한 콘크리트의 저항 실험 방법)의 방법 B(기중 급속 동결 후 수중 융해 실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KS F 2437(공명 진동에 의한 콘크리트의 동탄성 계수 및 푸아송비 실험 방법)에 의해 시편의 동탄성 계수를 측정하여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상대 동탄성 계수로 나타내었다.
  • 3N NaOH을 사용하였고 음극용액은 10% NaCl을 사용하였다. 염소 이온의 침투 깊이는 KS F 2737(지시약에 의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깊이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의 식에 대입하여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산정하였다.
  • 콘크리트는 KS F 2425(실험실에서 콘크리트 시료를 만드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콘크리트의 배합시간은 MgO 분말의 균질성을 위해 4분으로 하였다. 공기량은 KS F 2421(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실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 탄산화 실험용 시편은 Φ 100 × 200mm의 공시체를 Φ 100 ×100mm 크기로 절단하여 만들었으며, 실험은 KS F 2584(콘크리트의 촉진 탄산화 실험방법)를 따라 수행하였다.
  • 황산염 저항성 실험에 대한 규격은 국내에 아직 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본 건재실험센터에서 제정한 JSTM C 7401(콘크리트의 용액침지에 의한 내약품성 실험방법)에 의하여 황산염 침투 저항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질량변화는 100 × 100 × 400mm의 시편을 사용하였으며, 압축강도 변화는 φ 100 × 200mm 크기의 시편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크리트의 탄산화는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콘크리트의 탄산화는 물-결합재비, 혼화재 등에 영향을 받으며, W/B가 클수록 공극률 및 세공용액이 증가하여 탄산화에 취약 하게 된다(Choi et al., 2009; Oh et al.
염소이온 확산계수는 무엇에 영향을 많이 받는가? 염소이온 확산계수는 콘크리트 내부 미세구조 및 공극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W/B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실험결과 W/B가 큰 저강도에서 W/B가 작은 고강도로 갈수록 염소이온 확산계수가 현저히 작아졌으며, 목표 강도및 양생온도와 무관하게 모든 MgO-5가 MgO-0에 비해 낮은 염소 이온 확산계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MgO 분말 치환에 따라 염해 저항성이 다소 향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저온 소성한 MgO가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인 댐에 주로 적용된 이유는 무엇인가? 저온에서 소성된 산화마그네슘(MgO) 분말을 치환한 콘크리트는 MgO의 수화반응을 통해 생성되는 수산화마그네슘(Mg(OH)2) 이 MgO와 H2O보다 큰 부피를 가지기 때문에 팽창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MgO의 수화반응이 느린 속도로 장기재령까지 일어나기 때문에 그 팽창효과가 4년 이상 지속되어 매스콘크리트의 온도 수축을 효과적으로 보상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Du, 2005; Mo et al., 2010; Li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maral, L. F., Oliveira, I. R., Salomao, R., Frollini, E., Randolfelli, V. C. (2010). "Temperature and common-ion effect on magnesium oxide (MgO) hydration." Ceramics International, Vol. 36, No. 3, pp. 1047-1054. 

  2. Bae, S. H., Park, J. I., Lee, K. M. (2010). "Influence of mineral admixture on the resistance to sulfuric acid and sulfate attack in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2, No. 2, pp. 219-228 (in Korean). 

  3. Choi, S., Lee, K. M., Jung, S. H., Kim, J. H. (2009). "A study on the carbonation characteristics of fly ash concrete by accelerated carbonation tes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1, No. 4, pp. 449-455 (in Korean). 

  4. Choi, S. W., Kim, J. H., Lee, K. M., Kwon, Y. G., Jang, B. S. (2011). "Durability characteristics of concrete containing lightly burnt MgO powder."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3, No. 5, pp. 609-615 (in Korean). 

  5. Du, C. (2005). "A Review of magnesium oxide in concrete." Concrete International, Vol. 27, No. 12, pp. 45-50. 

  6. Gao, P., Wu, S., Lu, X., Deng, M., Lin, P., Wu, Z., Tang, M. (2007). "Soundness evaluation of concrete with MgO."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1, Vol. 21, No. 1, pp. 132-138. 

  7. Gao, P., Geng, F., Hou, J., Li, X., Lin, H., Lu, X., Shi, N. (2008). "Production of MgO-type expansive agent in dam concrete by use of industrial by-products."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43, No. 4, pp. 453-457. 

  8. Jang, B. S., Kwon, Y. G., Choi, S. W., Lee. K. M. (2011). "Fundermental peoperties of cement composites containing lightly burnt MgO powder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3, No. 2, pp. 225-233 (in Korean). 

  9. Kim, J. K., Moon, Y. H., Eo, S. H., Choi, E. K. (1998). "The effect of different curing time and temperature on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0, No.3, pp. 143-152 (in Korean). 

  10. Kim, J. K., Park, Y. D., Sung, K. Y. (1991). "The long-term strength and the workability of high-strength fly ash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3, No. 4, pp. 107-115 (in Korean). 

  11. Kim, N. W., Yeo, D. G., Song, J. J., Bae, J. S. (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capillary pore and chloride diffusivity by electrical difference of high-strength concrete using metakaolin."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9, No. 4, pp. 499- 506 (in Korean). 

  12. Lee, C. Y., Choi, S. H., Kang, S. H., Lee, K. M. (1999). "Influence of fly ash content with respect to the fresh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1, No. 6, pp. 25-33 (in Korean). 

  13. Li, C. M. (1997). "Effect of fly ashes on deformation and mechanic properties of MgO concrete." Study on Hydroelectric Engineering, pp. 1-9 (in Chinese). 

  14. Li, C.M. (1998). "Long-term self-volume deformation of concrete with MgO." Hydro power Generation, pp. 53-57 (in Chinese). 

  15. Lingling, X., Deng, M. (2005) "Dolomite used as raw material to produce MgO-based expansive ag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5, No. 8, pp. 1480-1485. 

  16. Liu Z., Cui X., Tang M. (1991). "MgO-type delayed expansive c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1, No. 6, pp. 1049-1057. 

  17. Mo, L., Deng, M., Tang, M. (2010). "Effects of calcination condition on expansion property of MgO-type expansive agent used in cement-based material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40, No. 3, pp. 437-446. 

  18. Mo, L., Panesar, D. K. (2012). "Effects of accelerated carbonation on the microstructure of Portland cement pastes containing reactive MgO."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42, No. 6, pp. 769-777. 

  19. Naik, T. R., Singh, S. S., Hossain, M. M. (1994). "Permeability of concrete containing large amount of fly ash."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4, No. 5, 1994, pp. 913-922. 

  20. Oh, B. H., Jung, S. H., Lee, M. K. (2003). "Influence of porosity on the CO2 diffusion characteristic in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5, No. 3, pp. 443-453 (in Korean). 

  21. Salomao, R., Bittencourt L. R. M., Pandolfelli, V. C. (2007). "A novel approach for magnesia hydration assessment in refractory castables." Ceramics International, Vol. 33, No. 5, pp. 803-810. 

  22. Yoon, E.S., Lee, T. W., Park, S. B. (2005).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void ratio and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of concrete using various kinds of cemen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7, No. 5, pp. 735-74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