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주시 우수비오톱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ies Based on Habitat Types of Superb Biotope in Wonju City,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7 no.2, 2013년, pp.209 - 218  

김지석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  곽정인 (도시생태학연구센터) ,  노태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병인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식처 유형에 따른 잠자리군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원주시에 위치한 묵논습지, 자연형 저수지, 자연하천, 산림계곡의 4개 대표 비오톱 유형에 33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2010년 6월, 8월, 10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잠자리는 총 9과 38종이 확인되었다. TWINSPAN 분석을 통하여 4개 서식처 유형별 종 조성을 비교한 결과, 3개 서식처(묵논습지, 자연형 저수지, 산림계곡)는 뚜렷한 종 조성 차이를 보였으나, 자연하천은 뚜렷한 종 조성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식처 유형별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고추좀잠자리와 깃동잠자리가 대부분이었으나 등줄실잠자리, 산잠자리, 왕잠자리 등은 서식처 차이를 보였다. 서식처 유형별 종다양성지수는 묵논습지, 자연하천, 자연형 저수지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산림계곡은 낮았다.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 산란유형은 묵논습지가 가장 다양하였으며, 식물체에 산란하는 잠자리 종류가 가장 많아 습생식물이 잠자리 풍부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종간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추잠자리와 밀잠자리, 고추잠자리와 방울실잠자리, 배치레잠자리와 애기좀잠자리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관관계가 높은 종간에도 선호하는 서식처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ies as habitat types in Wonju City, Korea. The 33 plots were installed at 4 types of biotope like abandoned paddy fields, natural type reservoir, natural type river and forest valley in Wonju city. From the survey, the 9 fa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원주시 전 지역을 대상으로 대분류 성격의 비오톱유형에 따라 서식처를 구분하고 서식특성을 분석하여 잠자리 군집이 서식처 유형에 따라 종 구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대분류 성격의 비오톱 유형과 세분화된 비오톱 유형에서 나타나는 서식처 차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식처 유형에 따른 잠자리군집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원주시의 대표비오톱을 대상으로 종다양성지수, 산란유형, 종 조성 차이, 종간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여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군집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 군집이란 무엇이고, 어떠한 기능을 가지는가? 생물 군집이란 어떤 지역이나 서식처에서 생활하고 있는 개체군의 집합체로, 개체군의 합병에 따른 물질대사의 재편성을 통해 단위로서의 기능을 가진다(Choi, 1981). 군집에 대한 연구는 식물사회학에서 크게 발전하여 동물생태학에서도 야생조류, 곤충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다.
잠자리 군집 특성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잠자리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처 특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잠자리 군집 연구의 경우, 군집분류(Bulankova, 1997; Oppel, 2005b)를 통하여 서식처 특성을 규명하거나 주변환경과의 관계를 분석하기도 하였다. 잠자리 군집에 영향을 미치는 서식처 특성으로는 지속적으로 흐르는 강과 하천, 일시적으로 흐르는 시내, 웅덩이, 지속적으로 괴어 있는 물 등과 관련이 있다(Oppel, 2005b). 잠자리 군집 분류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그늘(Oppel, 2005b; Kim, 2008), 유속,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물(Oppel, 2005a)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생물의 서식처의 변형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군집에 대한 연구는 식물사회학에서 크게 발전하여 동물생태학에서도 야생조류, 곤충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다. 생물의 서식처는 생물이 살아가는 공간 또는 환경으로 서식처의 변형은 생물 군집에 큰 영향을 미치고, 특정 지역에서의 종다양성 증가나 감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Owen, 1971; Clausnitzer, 2003; Cleary et al., 2004; Hill and Hamer,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iological Resources Research Department(2010) Management of biological organisms and biological resources against climate change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03pp. (in Korean) 

  2. Bulankova, E.(1997) Dragonflies(Odonata) as bioindicators of environment quality. Biologia 52: 177-180. 

  3. Choi, K.C.(1981) Basis Ecology. Hyangmunsa, Seoul, 251pp. (in Korean) 

  4. Clark, T.E. and M.J. Samways(1996) Dragonflies(Odonata) as indicators of biotope quality in th Kruger National Park, South Africa. Journal of Applied Ecology 33: 1001-1012. 

  5. Clausnitzer, V.(2003) Dragonfly communities in coastal habitats of Kenya: indication of biotope quality and the need of conservation measure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12: 333-356. 

  6. Cleary, D.F.R. and M.J. Genner(2004) Changes in rain forest butterfly diversity following major ENSO-induced fires in Borneo. Global Ecology & Biogeography 13: 129-136. 

  7. Craig, C.N., A.R. Bryan and N.E. McIntyre(2008) Nestedness in playa odonates as a function of area and surrounding land-use. WETLANDS 28(4): 995-1003. 

  8.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9. Hill, J.K. and K.C. Hamer(2004) Determining impacts of habitat modification on diversity of tropical forest fauna: the importance of spatial scale. Journal of Applied Ecology 41: 744-754. 

  10. Hill, M.O.(1979) TWINSPAN: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Cornell University, New York, USA, 99pp. 

  11. Jung, K.S.(2007) Odonata of Korea. Ilgongyuksa, Seoul, 512pp. (in Korean) 

  12. Kim, Y.H., Y.H. Lee and C.E. Lee(1990) Ultrastructal Studies on Spermatogenesis and mature Spermatozoa in Platycnemis foliacea sasakii(Zygoptera, Odonata). Nature and Life 20(1/2): 4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D.E.(2011) The Study on the Habitat Change of Nannophya pygmaea Ramber in the Abandoned Paddy Field Ulsan City and Its Management. Kor. J. Env. Eco. 25(6): 867-8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D.H., H.C. Park and C.E. Lee(1984) About the chromosome of a damselfly Calopteryx atrata SELYS(Zygoptera: Odonata). Nature & Life 14(1): 13-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J.S.(2008) An Ecological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Vegetation Structure and Animal Habitats of Nanjido Waste Landfill Biotope in Seoul, Korea.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Philosophy,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256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Kim, J.S., B.H. Han and J.W. Choi(2009) A Study on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Odonata according to Wetland Structure in City. Pro.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 20: 108-110. (in Korean) 

  17. Kim, J.S., K.S. Jung and J.M. Kim(2008) The Distribution of odonata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Odonata 1: 39-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J.H.(2008) The role of Siheung Gaetgol Ecological Park for Greenway system.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the Graduate School of the Dankook University, 45pp. (in Korean) 

  19. Lee, S.M.(2001) The Dragonflies of Korean Peninsula(Odonata). Junghaeng-Sa, 229pp. (in Korean) 

  20. Oppel, S.(2005a) Comparison of two Odonata communities from a natural and a modified rainforest in Papua New Guinea. International Journal of Odonataology 9(1): 89-102. 

  21. Oppel, S.(2005b) Habitat association of an Odonata community in a lower montane rainforest in Papua New Guinea. International Journal of Odonataology 8(2): 243-257. 

  22. Orr, A.G.(2004) Critical species of Odonata in Malaysia, Indonesia, Singapore, and Brunei. International Journal of Odonatology 7: 371-384. 

  23. Osada, M., S. Mori and S. Tabata(1993) A Preliminary Study on the Guideline for open Space Planning around Bodies of Water Based on the Variation of Odonata Species. Journal of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s 56: 151-156. (in Japanese) 

  24. Owen, D.F.(1971) Species diversity in butterflies in a tropical garden. biological Conservation 3: 191-198. 

  25. Paulson, D.R.(2002) Odonata records from Nayarit and Sinaloa, Mexico, with comments on natural history and biogeography. Odonatologica 31: 359-370. 

  26. Reece, B.A. and Nancy E.M.(2009) Community assemblage patterns of odonates inhabiting a wetland complex influenced by anthropogenic disturbance. Insect Conservation and Diversity 2: 73-80. 

  27. Rowe, R.J.(2004) Conservation of Odonata in the South Pacific and Australasia. International Journal of Odonatology 7: 139-147. 

  28. Samways, M.J. and N.S. Steytler(1996) Dragonfly(Odonata) distribution patterns in urban and forest landscapes, and recommendations for riparian management. 

  29. Schmidt, E.(1985) Habitat inventarization, characterization and bioindication by a 'Representative Spectrum of Odonata species (RSO)'. Odonatologica 14: 127-133. 

  30. Shannon, C.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31. Yoon, J.H., H.C. Park and C.E. Lee(1996) Morphological Taxonomy of the Genus Sympetrum from Korea(Libellalidae: Odonata). Nature and Life 26(1/2): 7-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Yum, J.H.(2000) Systematics of the Zygoptera(Odonata, Insecta) in Kore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the Graduate School of the Seoul Women's University, 81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