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새류의 계절별 적정 조사시간 선정 연구
Selecting the Optimal Research Time for Forest Birds Census in Each Seaso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7 no.2, 2013년, pp.219 - 229  

김미정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친환경건설공학과) ,  이수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조경학과) ,  김지석 (부산대학교 바이오환경에너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림을 기반으로 서식하는 야생조류의 효율적인 조사시간을 계절별로 제시하기 위하여 남해군 삼동면 물건리 방조어부림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적합성을 규명하기 위해 대상지 및 일대의 토지이용현황, 현존식생, 식생구조 등을 파악하였으며, 산림성 야생조류의 적정 조사시간을 제안하고자 계절별 3일간 일출 몰 시간을 기준하여 1시간 간격으로 반복 조사하였다. 방조어부림은 주변 산림과 연결되어 산림성 야생조류의 유입이 가능하고 숲 자체의 층위구조 발달, 대경목의 느티나무와 푸조나무가 분포하는 등 자연림과 유사하여 다양한 서식처 및 채이장소를 제공할 수 있어 야생조류를 연구하기에 적합한 장소이다. 관찰된 105종을 유형화하여 산새류를 구분하였고 각 계절별로 시간대별 최고값을 선정한 후 총 출현 종수 및 개체수에 대해 시간대별 종풍부도, 종다양도, 유사도지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봄철에는 8~9시까지가 최적의 조사시간이었고 여름철에는 전체 출현종과의 종구성이 유사한 6~9시의 시간대가 적정 조사시간이었다. 가을철에는 일출 후 30~60분 이후부터인 오전 7시부터 11시까지의 시간대에 야생조류의 움직임이 활발하여 관찰이 용이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중 8~9시에 종풍부도가 가장 높아 최적의 조사시간이었다. 겨울철은 7~12시의 시간대가 효율적이며 10~11시가 최적 시간이나 일몰 전 1시간을 제외하면 시간대별 편차가 크지 않아 유사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4계절 모두 일출 후 30~60분 후부터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대상지역의 야생조류 군집을 파악하기에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performed in order to suggest seasonal effective research time that is applied to wild birds research which lives in a forest. The subject area of this research is Mulgun-ri village forest in Samdong-Myeon, Namhe-gun. To investigate suitability of the project, existing land-use, ex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야생조류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조사 위치, 조사시기 및 시간에 따라 종구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Brian and Richard, 1990; Kim, 2008) 우리나라에 적합한 적정 조사시간 선정은 연구의 오류를 줄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을 기반으로 서식하는 야생조류를 대상으로 하루 중 적정 조사시간을 계절별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생조류 조사 시 완벽한 종수와 개체수를 산출하기 어렵기에 발생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 무엇이 달라져야 하는가? 특정 지역 내 야생조류의 개체수나 특정 계절의 서식지 평균밀도를 산정함에 있어 높이 이동하는 특성과 넓은 지역 분포, 이주의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완벽한 종수와 개체수를 산출하기는 어렵다고 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조사 목적에 따라 조사방법, 샘플링 개수, 하루 중 또는 연중 조사 시간 선정 등이 달라져야 한다고 하였다(Joseph, 1994; Bibby et al., 1997).
우리나라의 야생조류 연구는 언제 처음 시작하였는가? 야생조류는 먹이사슬의 상위단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조성된 녹지의 질적인 측면을 평가하는 척도로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으며 심미적 가치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질적 측면 및 복원의 정도를 평가하는 기준으로서 사전환경성 검토, 환경영향평가, 공원녹지기본계획 등 개발계획이나 기본계획 수립 시 야생조류 조사가 명문화되고 있는 등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야생조류 연구는 1970년대 기생충 감염에 관한 연구로 시작하여(Lee et al., 1977), 1990년대까지는 지역별 서식실태와 현황보고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Lee et al.
야생조류는 무엇의 척도로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는가? 야생조류는 먹이사슬의 상위단계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조성된 녹지의 질적인 측면을 평가하는 척도로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으며 심미적 가치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질적 측면 및 복원의 정도를 평가하는 기준으로서 사전환경성 검토, 환경영향평가, 공원녹지기본계획 등 개발계획이나 기본계획 수립 시 야생조류 조사가 명문화되고 있는 등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야생조류 연구는 1970년대 기생충 감염에 관한 연구로 시작하여(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ibby, C.J., N.P. Burgess and D.A. Hill(1997) Bird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257pp. 

  2. Brian, F.R. and H.Y. Richard(1990) Effects of Time of Day and Season on Winter Bird Counts. The Condor 92: 215-219. 

  3. Chae, J.H., J.S. Kim and T.H. Koo(2004) The Relation of the Species Number of Bird to the Urban Biotope Area in Seoul. Kor. J. Env. Eco. 17(4): 375-382. (in English with Korean abstract) 

  4. Choi, J.W.(2004) A Study on the Enhancement Methods for the Wildbird Migration and the Habitat Structure in Green Corridor. M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129pp. 

  5. Galli, A.E., C.F. Leck and R.T.T. Forman(1976) Avian distribution patterns in forest island of different sizes in Central New Jersey. Aug. 93: 356-382. 

  6. Geneletti, D.(2002) Ecological evaluation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Netherlands Geographical Studies, NGS 301. 

  7. Jansson, G.(2002) Scaling and habitat proportions in relation to bird diversity in managed boreal forest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57: 77-86. 

  8. Joseph, M.W.(1994) Census Methods for Caribbean Land Birds. Southerm Forest Experiment Station, 29pp. 

  9. Kang, H.C. and J.H. Lee(2007) The Analysis of Structure of Mulgeon-ri Forest - A Case of Distribution Trees and DBH Class -.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4): 93-1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ang, I.G.(1996)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y of Ecosystem.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5(2): 7-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D.W.(2006)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Wildbird Habitat by the Landuse Type of Hangang Riverside, Seoul, M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128pp. 

  12. Kim, J.K., S.K. Lee, H.K. Min and K.C. Oh(2002) A Study on Food Resource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Nest of Wild-birds in Urban Woodland. Korean J. Ecol 25(5): 275-282. 

  13. Kim, J.S.(1999)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 as Wildbirds' Habitats in Apartment Complex. M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116pp. 

  14. Kim, J.S.(2008)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Vegetation and Animals of Nanjido Waste Landfill Biotope in Seoul. Ph. D.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Korea, 256pp. 

  15. Kim, J.S.(2009) Characteristics of Wildbird Community and Appropriate Research Time Selection by TWINSPAN - A Case Study of Jingwandong Ecosystem Conservation Area in Seoul -. Pro. Kor. Soc. Env. Eco. Con. 19(1): 5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G.M.(1994) Dong-A New Korean language dictionary. Dong-A, 829pp. (in Korean) 

  17. Lee, S.K., J.K. Kim and H.K. Min(2002) A Study on Habitat for Multiplication of Wild-birds in Urban Woodland. Korean J. Ecol 25(5): 283-295. 

  18. Lee, S.S., Y.J. Lim and W.C. Lee(1977) Report on the Capillaria of Housed in wild birds(Pavo cristatus, Phasianus colchicus, Guinea Fowl).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17(2): 87-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W.S. and C.Y. Park (1995) Analysis of Changes on the Forest Environment and the Bird Community in Terms of Guild. Korean J. Ecol. 18(3): 397-4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W.S.(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Breeding Bird Community and Forest Structure at a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Hokkaido, Japan.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19(4): 353-361. 

  21. Lee, W.S., C.Y. Park and K.H. Cho(1995)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Wildbirds in Chuwang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8(2): 183-1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W.S., J.W. Lee and C.Y. Park(1993)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Sobae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6(2): 180-1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W.S., T.H. Koo and J.Y. Park(2000)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LG Evergreen Foundation, 320pp. (in Korean) 

  24. Linehan, J., M. Gross and J. Finn(1995) Greenway planning: developing a landscape ecological network approac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179-193. 

  25. Park, C.R.(1994)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urban forests for the inhabitation of wild bird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on, Korea, 73pp. 

  26. Pielou, E.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165pp. 

  27. Robbins, C.S., D.K. Dawson and B.A. Dowell(1989) Habitat Area Requirements of Breeding Forest Birds Of the Middle Atlantic States. Wildlife Monographs 109: 1-34. 

  28. Shannon, C.E. and W. Weav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29. Sorensen, T.A.(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and its application to analyses of the vegetation on Danish commons. K dan Vidensk Selsk Biol Skr 5: 1-34. 

  30. Won, B.O.(1981) Illustrated Flora & Fauna of Korea vol. 25 Avifauna.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Development, 1,126pp. (in Korean) 

  31. Woo, H.J. and M.B. Yoon(1989) Colored Wildbird of Korea. Academi, 624pp. (in Korean) 

  32. Yoo S.H., K.S. Lee and J.C. Yoo(2008) Preference of the CCZ (Civilian Control Zone) in Cherwon Basin as a Wintering Site of Cranes -Wintering Season of 2002-2003-. Kor. J. Orni. 15(1): 39-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Yoo S.H., K.S. Lee, I.K. Kim, T.H. Kang and H.S. Lee(2009) Research on the Size, Formation and Tendency to Evade the Road of the Feeding Flocks of Crane Species -Centering on the Effect of Road vs. Traffic Condition-. Kor. J. Env. Eco. 23(1): 41-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Yoon, M.B.(1993) The Investigation for Wintering of Manchurian Crane in the Civilian Control Line Area, South Korea. Theses Collection, KyungHee Univ. 22: 145-1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http://www.kasi.re.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