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안 연령에서 한글서체의 선호도와 가독성 평가
Preference and Readability of Hangul Fonts in the Presbyopic Age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8 no.2= no.51, 2013년, pp.149 - 156  

정신해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손정식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황해영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성근 (강원대학교 교양학부) ,  유동식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노안 연령층에서 인쇄물에 적합한 한글서체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오늘날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한글서체 기준하여 9-11포인트(pt)의 작은 서체 크기에서 함초롬바탕, 신문명조 및 신명조의 3가지 서체를 이용하였다. 대상자는 41세에서 85세 나이의 101명이었다. 원거리 교정 후 40 cm에서 0.5시력이 되도록 근거리시력을 보정하였다. 선호도 조사 후 10 pt크기의 88자로 구성된 단어를 대상자에게 읽게 하였다. 1분 동안 바르게 읽은 글자 수를 읽기속도(words per minute, wpm)로 계산하여 가독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작은 크기의 서체 크기에서 가장 선호한 서체는 신명조였다. 각 서체별 선호 크기는 달랐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서체보다 10 pt에서 신명조를 더 선호하였다. 함초롬바탕과 신명조는 신문명조보다 유의하게 더 빨리 가독하였다. 신명조에서 연령에 따른 가독성은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읽기속도 상위 10%와 하위 10% 간의 비교에서 상위 그룹이 하위 그룹보다 평균연령과 가입도가 낮았으나 서체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신명조에서 나이가 많을수록 가독성은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선호도와 가독성 관점에서 볼 때 노안 연령층 대상의 인쇄물 서체로 10 pt의 신명조체 사용을 권고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a suitable type and size of Hangul fonts for printed materials in the presbyopic age. Methods: Based on the most common Hangul fonts used today, three types of fonts were used Hamchrombatang, Sinmoonmyungjo and Sinmyungjo at small font sizes in the ran...

주제어

참고문헌 (27)

  1. Wikipedia. Readability, 2013. http://en.wikipedia.org/wiki/Readability (5 April 2013). 

  2. Lee HJ, Woo SH, Park EY, Suh HY, Baek SC. A study on the readability of web interface for the elderly user: focused on readability of typefa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007;20(3):315-324. 

  3. Rubin GS, Feely M, Perera S, Ekstrom K, Williamson E. The effect of font and line width on reading speed in people with mild to moderate vision loss. Ophthalmic Physiol Opt. 2006;26(6):545-554. 

  4. Tinker MA. Legibility of print. PhD Thesi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Iowa. 1963;5-7. 

  5. Akutsu H, Legge GE, Ross JA, Schuebel KJ. Psychophysics of reading: x. effects of age related changes in vision. Journal of Gerontology. 1991;46(6):325-331. 

  6. McMonnies CW. Chart construction and letter legibility/ readability. Ophthalmic Physiol Opt. 1999;19(6):498-506. 

  7. Schieber F. Vision and aging. In Birren JE, Schaie KW. Eds.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6th Ed. Amsterdam: Elsevier, 2006;129-161. 

  8. Oh SB, Park SH. Effects of background, underline, and color on readability of visually displayed text.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09;32(4):208-214. 

  9. Bak JH. A Study on the readability of Hangul implemented in video media: with a focu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2011;1-34. 

  10. Yoo JS. A Study on the change in the formative ele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ypography of digital dodum typeface in Hangul: focus on traditional square typeface.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and Art. 2010;11(1):267-280. 

  11. Park, JB. A study on analyzing calligraphic styles of Korean textbooks and changing course of calligraphic styles according to curriculla.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2011;14(2):59-68. 

  12. Lee JH. The legibility of Hangul and the typography of ko.TEX. The Asian Journal of TEX. 2008;2(2):69-113. 

  13. Laviers HR, Omar F, Jecha H, Kassim G, Gilbert C. Presbyopic spectacle coverage, willingness to pay for near correction, and the impact of correcting uncorrected presbyopia in adults in Zanzibar, East Africa.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0;51(2):1234-1241. 

  14. Antona B, Barra F, Barrio A, Gutierrez A, Piedrahita E, Martin Y. Comparing methods of determining addition in presbyopes. Clin Exp Optom. 2008;91(3):313-318. 

  15. Alotaibi AZ. The effect of font size and type on reading performance with Arabic words in normally sighted and simulated cataract subjects. Clin Exp Optom. 2007;90(3):203-206. 

  16. Griffin JR, Grisham JD. Binocular Anomalies: diagnosis and vision therapy, 4th E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2002;32. 

  17. Mah KC. Dictionary of optometry and visual science, 7th Ed. Seoul: Elsevier Korea, 2010;363. 

  18. Lee JK. A Study for the advanced direction of a textbook typeface : focus on the developed application of the exclusive typeface for a textbook.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 2006;51:437-477. 

  19. Yonhapnews. Popular Hangul font in internet //Myungjoche 13 pt//, 201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690202( 06 October 2010). 

  20. Mansfield JS, Legge GE, Bane MC. Psychophysics of reading. XV: Font effects in normal and low vis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6;37(8):1492-501. 

  21. Kong YK, Lee I, Jung MC, Song YW. The effects of age, viewing distance, display type, font type, colour contrast and number of syllables on the legibility of Korean characters. Ergonomics. 2011;54(5):453-465. 

  22. Park SJ, Lee JS, Kang DH, Lee HJ. Legibility evaluation for the letter sizing of an electronic. The conference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7;5:369-378. 

  23. Hwang WS, Lee DC, Lee SD, Lee JH. An experimental study on search speed and error rate according to korean letter size and font on search task with VDT.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997;16(2):29-38. 

  24. Tinker MA. Prolonged reading tasks in visual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55;39(6):444-446. 

  25. Fuchs J, Heyer T, Langenhan D, Hippius M. Influence of font sizes on the readability and comprehensibility of package inserts. Pharm Ind 2008;70(5):584-592. 

  26. Legge GE, Bigelow CA. Does print size matter for reading? A review of findings from vision science and typography. Journal of Vision. 2011;11(5);pii: 8. doi: 10.1167/11.5.8. 

  27. Darroch I, Goodman J, Brewster S, Gray P. The effect of age and font size on reading text on handheld computer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2005;253-2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