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물(de re) 문맥과 '-라고'의 몇 가지 의미론적 특성
De re context and some semantic traits of 'rago' 원문보기

논리연구= Korean journal of logic, v.16 no.1, 2013년, pp.61 - 85  

민찬홍 (한양대 정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언 믿음과 대물 믿음의 구별을 소개하고, 믿음 문맥과 양상 문맥에서 대언(de dicto)/대물(de re) 애매성이 동일하게 나타나는데, 양상 구문의 경우 한국어는 영어와 차별화되는 특징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지적한다. 부정문에서도 대언/대물 구문의 애매성이 나타나는 바, 이와 관련하여 한국어는 대물 부정문에 해당하는 통사 구조를 허용한다. 대물 구문은 지시적으로 투명한 구문이요 따라서 동일자 대입률을 허용하는 구문이며, 대언 구문은 지시적으로 불투명한 구문이요 동일자 대입률을 허용하지 않는 구문이다. 그런데, 인용 동사, 언어행위동사, 인지태도 동사들과 함께 사용되는 한국어의 인용 어미 '라고'는 특이하게도 영어와 평행하게 대언/대물 애매성을 갖는 문장 뿐 아니라 애매성 없는 대물 구문을 구성하는 문장도 제공한다. 또한, '라고' 구문은 내포절의 내용에 대한 화자의 공약에 있어서도 중립적이다. 한국어에서는 내포절의 내용에 대한 화자의 긍정적인 공약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음/임' 또는 '라는 것'이라는 어미를 사용한다. 이런 점 때문에 '앎이 진리를 전제한다'는 서구 인식론의 원칙은 인식 문장을 한국어 어미 '라고'를 사용하는 문장으로 표현하려고 할 때에는 어려움을 겪게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uthor, after introducing the concept of de re belief and discussing de re/de dicto ambiguity in belief context and modal context, concludes that modal sentences of Korean language does not show any distinctive traits against English. He, after discussing this ambiguity in negative sentence a l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물 구문이란 무엇인가? 부정문에서도 대언/대물 구문의 애매성이 나타나는 바, 이와 관련하여 한국어는 대물 부정문에 해당하는 통사 구조를 허용한다. 대물 구문은 지시적으로 투명한 구문이요 따라서 동일자 대입률을 허용하는 구문이며, 대언 구문은 지시적으로 불투명한 구문이요 동일자 대입률을 허용하지 않는 구문이다. 그런데, 인용 동사, 언어행위동사, 인지태도 동사들과 함께 사용되는 한국어의 인용 어미 '라고'는 특이하게도 영어와 평행하게 대언/대물 애매성을 갖는 문장 뿐 아니라 애매성 없는 대물 구문을 구성하는 문장도 제공한다.
구성적인 언어란 무엇인가? 과학방법론과 형이상학에서 ‘환원주의’라는 이름으로 천명되기도 하고 공격받기도 하는 이런 생각은 언어에서는 구성성(compositionality; 문맥에 따라 ‘구성률’)이라고 부른다. 구성적인 언어란 복합적 표현의 의미가 그것을 구성하는 요소 표현의 의미로부터 도출되는 언어이다.
'8은 7보다 필연적으로 크다'라는 양상 문맥에서 필연성에 대한 대언/대물의 구별은 어떻게 되는가? 8은 7보다 필연적으로 크다. 여기서 ‘필연적으로’는 “8은 7보다 크다.”는 문장이 필연적 진리라는 뜻으로 읽을 수 있다. 이때의 필연성은 문장의 속성, 진리의 속성이 된다. 이러한 필연성은 대언적 필연성(de dicto necessity)이다. 그러나, 이 문장에서 ‘필연적으로’를 8이 7에 대해서 갖는 속성을 한정하는 말로 읽을 수도 있다. 이렇게 읽으면 이 문장은 ‘필연적으로 7보다 더 큼’이라는 속성을 8에 부여하는 문장이 된다. 이러한 필연성은 대물적(de re) 필연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