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엘니뇨/라니냐 정의에 대한 제언
A Suggestion for Definition of El Niño/La Niñ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3 no.1, 2013년, pp.63 - 71  

손혜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국종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예상욱 (한양대학교) ,  김현경 (기상청) ,  박이형 (기상청)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MA is operationally monitoring El Ni$\tilde{n}$o and La Ni$\tilde{n}$a events, which have tremendous impacts on global climate. Many scientific studies have used to define onset of El Ni$\tilde{n}$o and La Ni$\tilde{n}$a events based on the moving aver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5개월 이동평균과 지속 기간의 정의 때문에, 현업에서는 엘니뇨가 이미 시작하고 몇 달 후에 엘니뇨가 시작되었다고 선언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NINO3.4 지수를 사용하여 좀 더 정확하고 신속하게 엘니뇨 진단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엘니뇨, 라니냐를 해수면 온도에 기반하여 정의하였다. 하지만, 엘니뇨, 라니냐의 진행 경향은 해수면 온도보다는 혼합층 아래의 해수온도 변화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현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엘니뇨/라니냐 시작과 종료 시점의 진단을 보완하기 위하여 NINO3.4 SST 아노말리 자료를 사용하여 1950-2011년 기간의 엘니뇨/라니냐 시작의 새로운 정의로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조건을 사용하여 엘니뇨(라니냐) 시작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정리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현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엘니뇨 진단에서 나올 수 있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업에 적합한 새로운 엘니뇨 시작과 종료의 진단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엘니뇨/라니냐 란? 엘니뇨/라니냐는 대기-해양의 상호작용에 의해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2-7년 주기로 변동하는 현상이다. 엘니뇨/라니냐는 열대 태평양 기후뿐만 아니라 전지구 기후 시스템을 변동시키는 가장 강력한 기후 현상이다 (Horel and Wallace, 1981, many others).
엘니뇨는 정성적인 정의는 무엇인가? 엘니뇨는 정성적으로는 ‘중·동부 적도 태평양의 해면수온이 평년보다 높아져서 그 상태가 계속되는 현상’이라고 정의할 수 있지만 어느 정도로 해수면온도가 상승하였을 때를 엘니뇨라고 정의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객관적인 기준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고 있다. 현재까지, 여러 연구자나 연구기관에 따라 엘니뇨 지수 지역 (El Niño index area)과 엘니뇨 발생해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차은정 등,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인식, 1998: 엘니뇨와 한반도 기후변동의 관련성. 한국기상학회지, 34(3), 390-395. 

  2. 안중배, 류정희, 조익현, 박주영, 류강범, 1997: 한반도 기온 및 강수량과 적도 태평양 해면온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3, 487-495. 

  3. 차은정, 전종갑, 정효상, 1999: 엘니뇨/라니냐 해의 우리나라 기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5(1), 98-117. 

  4. An, S.-I. and B. Wang, 2001: Mechanisms of locking the El Nino and La Nina mature phases to boreal winter. J. Climate, 14, 2164-2176. 

  5. Ashok, K., S. K. Behera, S. A. Rao, H. Weng, and T. Yamagata, 2007: El Nino Modoki and its possible teleconnection, J. Geophys. Res., 112, C11007, doi:10.1029/2006JC003798. 

  6. Galanti, E. and E. Tziperman, 2000: ENSO's Phase Locking to the Seasonal Cycle in the Fast-SST, Fast-Wave, and Mixed-Mode Regimes. J. Atmos. Sci., 57, 2936-2950. 

  7. Ham, Y.-G., J.-S. Kug, D. Kim, Y.-H. Kim, and D.-H. Kim, 2012: What controls phase locking of ENSO to boreal winter in coupled GCMs?. Climate Dyn., doi:10.1007/ s00382-012-1420-2. 

  8. Horel, J. D. and J. M. Wallace, 1981: Planertary scale atmospheric phenomena associated with the Southern Oscillation. Mon. Wea. Rev., 125, 773-788. 

  9. Jin, F.-F., D. Neelin, and M. Ghil, 1994: ENSO on the devil's staircase. Science, 264, 70-72. 

  10. Kao, H.-Y. and J.-Y. Yu, 2009: Contrasting eastern-Pacific and central-Pacific types of ENSO. J. Climate, 22, 615-632. 

  11. Kug, J.-S., F.-F. Jin, and S.-I. An, 2009: Two-types of El Nino events: Cold tongue El Nino and warm pool El Nino. J. Climate, 22, 1499-1515. 

  12. Kug, J.-S., M.-S. Ahn, M.-K. Sung, S.-W. Yeh, H.-S. Min, and Y.-H. Kim, 2010: Satatistical Relatinoship between two types of El NINO events and climate vari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Asia Pacific J. Atmos. Sci., 46(4), 467-474. 

  13. Rasmusson, E. M. and T. H. Carpenter, 1982: Variations in tropical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urface wind fields associated with the Southern Oscillation/El Nino. Mon. Wea. Rev., 110, 354-384. 

  14. Sooraj, K.-P., J.-S. Kug, T. Li, and I.-S. Kang, 2009: Impact of El Nino onset timing on the Indian Ocean-Pacific coupling and subsequent El Nino evolution. Theor. Appl. Climatol., 97, 17-27. 

  15. Trenberth, K. E., 1997: The Definition of El Nino. Bull. Amer. Meteor. Soc., 78, 2771-2777. 

  16. Tziperman, E., M. A. Cane, and S. Zebiak, 1995: Irregularity and locking to the seasonal cycle in an ENSO prediction model as explained by the quasi-periodicity route to chaos. J. Atmos. Sci., 52, 293-306. 

  17. Tziperman, E., M. A. Cane, and B. Blumenthal, 1998: Locking of El Nino peak time to the end of the calendar year in the delayed oscillator picture of ENSO. J. Climate, 11, 2191-2203. 

  18. Yasunari, T., 1990: Impact of Indian monsoon on the coupled atmosphere/ocean system in the tropical Pacific. Meteor. Atmos. Phys., 44, 29-41. 

  19. Wang, B. and J. Chan, 2001: How strong ENSO events affect tropical storm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J. Climate, 15, 1643-16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