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버스 그라비아 옵셋 또는 그라비아 옵셋 프린팅을 이용한 조명용 OLED 소자 보조전극 형성 공정 연구
A Study on Processing of Auxiliary Electrodes for OLED Lighting Devices Using a Reverse Gravure-Offset or Gravure-Offset Printing 원문보기

한국정밀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30 no.6, 2013년, pp.578 - 583  

배성우 (동국대학교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  곽선우 (한국기계연구원 인쇄공정장비연구실) ,  김인영 (한국기계연구원 인쇄공정장비연구실) ,  노용영 (동국대학교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ighting device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are actively researched because of the various advantages such as high power efficiency and 2-dimensitonal lighting emitting. To commercialize those OLED lighting devices, the manufacturing cost must be downed to comparable price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증착 공정을 대신하여 저가격, 대량생산이 가능한 롤투롤 방식의 프린팅 기술을 이용, 미세 패턴의 구현에 제약이 따르지 않고 구현 가능한 선폭을 이용한 소자 제작에 대한 기초 실험을 위하여 OLED 보조전극 인쇄를 위한 연구를 Reverse Gravure-Offset 인쇄와 Gravure Offset인쇄가 동시에 가능한 복합 프린팅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 따라서 Ag 나노 알갱이 분산 용액의 적정 농도를 실험적으로 맞추어나가 인쇄 과정에서 적정 점도를 가지게 하여 점도가 너무 옅어서 잉크가 기판 위에 너무 퍼지거나 반대로 점도가 너무 높아 롤러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쇄 공정의 최적의 조건을 맞추어 나가기 위해 반복적인 공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OLED 보조전극 형성을 위한 기초 공정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용된 잉크는 ANP사의 Ag paste를 이용하였고, 기존의 증착공정을 대체하고자 저가격, 대량 생산이 가능한 Reverse Gravure-Offset 인쇄 공정 장비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 범위 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없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oll-to-roll 방식을 이용한 프린팅 기술의 장점은? 이러한 Roll-to-roll 방식을 이용한 프린팅 기술은 유연한 기판위에 공정이 가능하여 유연한 전자 소자 제작 및 신문을 찍어내듯 인쇄가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 향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Roll-to-roll 방식의 프린팅 기술의 경우, 지금까지 구현 가능한 선폭은 20㎛ 정도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Kim5은 그라비어 옵셋 인쇄 기술을 이용해 Ag 나노 잉크를 전이시켜 인쇄하는 방식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7~8㎛ 선폭 인쇄를 성공한 사례를 발표하였다.
Roll-to-roll 방식의 한계는? 하지만 이러한 Roll-to-roll 방식의 프린팅 기술의 경우, 지금까지 구현 가능한 선폭은 20㎛ 정도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Kim5은 그라비어 옵셋 인쇄 기술을 이용해 Ag 나노 잉크를 전이시켜 인쇄하는 방식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7~8㎛ 선폭 인쇄를 성공한 사례를 발표하였다. 하지만 아직까지 반복적인 재현성이 부족하고 이를 이용한 소자 제작에 대한 결과는 보고된 바 없다.
OLED란?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 재료에 전기를 주입하여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는 소자로써, 자체발광, 고속응답, 고화질, 넓은 온도 범위 등 TV, 모니터, 휴대폰 등의 디스플레이로서 필요한 요소를 갖추고 있어 이를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및 상용화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2 또한, OLED를 면광원 형태로 구현한다면 두께를 아주 얇게 할 수 있고, 특히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여 구현한다면 다양한 모양의 조명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어 기존 조명기기를 대체할 수 있고 새로운 형태의 조명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Shinar, J.,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 Survey," AIP press, 2004. 

  2. Kalinowski, J.,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Principles, Processes," Marcel Dekker, New York, 2005. 

  3. Park, J. W., Lee, J. W., Shin, D. C., Park, S. H., and Park, D. H., "Technical Development Trend in OLED Lighting,"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Summer Meeting 2008, pp. 315-316, 2008. 

  4. Crawford, G. P., "Flexible Flat Panel Displays," John Wiley & Sons, pp. 409-445, 2005. 

  5.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1&no461571.html 

  6. Lee, T. M., Noh, J. H., Kim, I. Y., Kim, D. S., and Chun, S. K., "Reliability of gravure offset printing under various printing conditions,"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108, No. 10, Paper No. 10280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