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규모 수도시설의 역삼투(RO), 나노여과(NF), 전기흡착(EA), 전기응집(EC) 공정의 질산성 질소 및 불소 이온 제거 성능 비교
Comparison of Nitrate and Fluoride Removals between Reverse-Osmosis, Nano-Flitration, Electro-Adsorption, Elecero-Coagulation in Small Water Treatment Pla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4, 2013년, pp.2027 - 2036  

한송희 (호서대학교 대학원 BK21 반도체디스플레이공학과) ,  장인성 (호서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규모수도시설에서 수질기준을 자주 초과하는 질산성질소(NO3-N)와 불소(F-)를 제거하기 위해 역삼투(RO), 나노여과(NF), 전기흡착(EA), 전기응집(EC) 공정을 비교평가 하였다. RO는 질산성질소 72~92%, 불소 74~85%의 제거율을 나타내었고 NF는 질산성질소 5~15%, 불소는 1%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MWCNT를 코팅한 전극을 이용한 EA의 질산성질소는 99%, 불소는 44% 제거율을 보였다. 구리와 MWCNT 복합물 소결전극을 이용한 EA의 질산성질소는 82%, 불소는 77%의 제거율을 보였으나 구리가 용출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EC의 질산성질소는 11~46%, 불소는 69~99%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RO는 질산성질소와 불소의 높은 제거율이 가능하나 에너지 비용이 부담된다. EC는 질산성질소와 불소의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나 슬러지 발생 부담이 있다. 반면 MWCNT를 활용한 EA는 전극 제조방법에 따라 제거율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전극의 지속적 사용을 위한 안전성 확보가 시급한 개선점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arison of removal performance between reverse osmosis(RO), nanofiltration(NF), electrocoagulation(EC) and electroadsorption(EA) for removal of nitrate and fluoride often exceeded the limits of water quality in small water treatment plants. Removals of nitrate and fluoride were 72-92% and 74-85%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온성 물질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공정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막 여과 공정 중역삼투, 나노여과와 전기화학적 공정 중 전기응집 및 전기흡착 공정을 이용하여 소규모 수도시설에서 문제되고 있는 이온성 물질 중 질산성질소 및 불소의 제거효율을 살펴봄으로써 각 공정의 장단점을 비교 평가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역삼투(RO), 나노여과(NF)와 전기응집 (EC), 전기흡착(EA) 공정을 이용하여 중 소규모 수도시설에서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질산성질소와 불소의 제거에 제거율을 살펴봄으로써 각 공정의 장단점을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각 항목의 분석방법과 사용된 분석기기는 아래의 Table 3에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산성질소와 불소의 농도를 분석하여 각 공정에 따른 이온제거 효율을 살펴보았다. 전기전도도는 conductivity 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외의 분석항목은 standard method[17]에 준하여 분광광도법으로 분석하였다.
  • 48mg/L로 유출수 4000ml의 전량 여과 후에 약 74%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전기전도도는 수중의 이온성 물질을 알아볼 수 있는 지표로 질산성질소와 불소의 제거효율과 비교하여 평가해 보기 위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질산성질소와 불소의 농도 변화와 유사한 감소 경향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삼투(RO), 나노여과(NF)와 전기응집 (EC), 전기흡착(EA) 공정을 이용하여 중 소규모 수도시설에서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질산성질소와 불소의 제거에 제거율을 살펴봄으로써 각 공정의 장단점을 비교 평가한 결과는? 1) 분리막을 이용하여 여과실험을 진행한 결과 역삼투 (RO), 나노여과(NF) 모두 플럭스의 변화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질산성질소와 불소의 농도 범위 내에서는 막오염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역삼투(RO)의 경우 질산성질소 72~92%, 불소 74~85%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나노여과(NF) 는 질산성질소 5~15%, 불소 최대 1%의 제거율을 나타냄에 따라 역삼투(RO) 공정이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3) 전기흡착은 코팅전극과 소결전극을 이용하여 오염 물질의 제거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코팅전극을 이용한 전기흡착의 경우 반응시간 5분 후 질산성질소는 99.9%의 제거효율을 보인 반면, 불소는 44%만이 제거되었다. 소결전극을 사용하여 반응시간 60 분 경과한 후에 질산성질소는 82%의 제거효율을 보였고 불소는 77%의 제거율을 보였으나 전극에서 구리가 용출되어 나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4) 전기응집공정의 경우 질산성질소는 11~46%, 불소는 69~99%의 제거율을 보였으며, 전기흡착과는 반대로 질산성질소보다는 불소가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RO 공정은 질산성질소와 불소의 비교적 높은 제거 율을 기대할 수 있으나 높은 에너지 비용이 부담되며, 전기응집 공정은 질산성질소와 불소를 효과적 으로 제거가 가능하나 슬러지 발생에 대한 부담이 있다. MWCNT를 활용한 전기흡착은 전극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거율에 큰 차이를 보이며 전극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안전성이 문제시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결론적으로 각 공정의 운전조건이나 변수들을 고려하지 않고 처리효율에만 기반하여 도출한 이상의 결론에 공학적인 의미를 부여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지만 각 공정의 처리효율 비교를 통하여 소규모 수도시설의 질산성질소와 불소가 어느 정도 제거될수 있는지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자료로 활용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이온성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 공정은? 이온성 물질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 공정으로는 막분리 공정 (membrane separation processes)이 있다. 나노여과(NF, nanofiltration) 및 역삼투(RO, reverse osmosis)를 이용하여 불소 및 비소 등의 오염물질 제거 연구[7,8], 지하수의 의약품 잔류물 처리를 위한 연구[9] 등이 보고되고 있다.
전기흡착에 사용된 전극은 어떻게 제작되었는가? 전기흡착에 사용된 전극은 다중벽탄소나노튜브 (multi-wall carbon nanotube, 이하 MWCNT)를 이용하여 코팅과 소결 두 가지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코팅전극의 경우 티타늄 기판과 유기바인더를 이용하여 제작하였고 (전극 1), 소결전극의 경우 기판을 따로 사용하지 않아 무르게 소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Cu-MWCNT composite을 사용하여 1000℃에서 소결하여 제작하였다 (전극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Statistics of waterworks, 2011. 

  2. Me-Ea Kang et al., "Cognition on Quality and Cost of Small Drinking Water Plants in Gyungbuk Reg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4(6), pp. 675-682, 2010. 

  3. Hong-Tae Kim et al., "The study on methods for effective improvement at the small water supply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15(4), pp. 65-76, 2007. 

  4. Young-Gyu Kim, "A study on the drinking water quality and problem of simple piped water supply system in a rural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18(2), pp. 39-51, 1992. 

  5. Ministry of Environment, Test results of the drinking water quality 2010. 

  6. Ministry of Environment, Test results of the drinking water quality 2008. 

  7. L.A. Richards et al., "Impact of speciation on fluoride, arsenic and magnesium retention by nanofiltration/reverse osmosis in remote Australian communities", Desalination, 248(1-3), pp. 177-183, 2009. DOI: http://dx.doi.org/10.1016/j.desal.2008.05.054 

  8. R.S. Harisha et al., "Arsenic removal from drinking water using thin film composite nanofiltration membrane", Desalination, 252(1-3), pp. 75-80, 2010. DOI: http://dx.doi.org/10.1016/j.desal.2009.10.022 

  9. J. Radjenovic et al., "Rejection of pharmaceuticals in nano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membrane drinking water treatment", Water Research, 42(14), pp. 3601-3610, 2008. DOI: http://dx.doi.org/10.1016/j.watres.2008.05.020 

  10. J.J. Schoeman et al., "Nitrate removal with reverse osmosis in a rural area in South Africa", Desalination, 155(1), pp. 15-26,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011-9164(03)00235-2 

  11. N. Sanjeev Kumar et al., "Factors influencing arsenic and nitrate removal from drinking water in a continuous flow electrocoagulation (EC) proces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73(1-3), pp. 528-533, 2010. DOI: http://dx.doi.org/10.1016/j.jhazmat.2009.08.117 

  12. Qianhai Zuo et al., "Combined electrocoagulation and electroflotation for removal of fluoride from drinking water",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59(2-3), pp. 452-457, 2008. DOI: http://dx.doi.org/10.1016/j.jhazmat.2008.02.039 

  13. Joo-Hyun Sim et 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itrate removal efficiency in multi-step electro-chemical proces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0(2), pp. 155-160, 2008. 

  14. Hyun-Chul Yu et al.,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fluorid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9(10), pp. 1126-1130, 2007. 

  15. Song-Hee Han et al., "Fluoride and nitrate removal in the decentralized water treatment plants by electroadsorption using carbon nano-tube electrod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12(6), pp. 2904-2912,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6.2904 

  16. Song-Hee Han et al., "Fluoride and nitrate removal in small water treatment plants using electro-coagul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25(5), pp. 767-775, 2011. 

  17. APHA, AWWA, WEF (1995)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i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