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급여 장기요양인정 노인들의 신체기능 상태 및 관련요인
Physical Functioning and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People Admitted Long-term Home Care Insura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5, 2013년, pp.2338 - 2348  

윤석한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이광성 (대전보건대학 방사선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가급여 장기요양인정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적 기능 상태를 평가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으면서 재가급여 요양자로 등록되어 있는 65세 이상 노인 618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12월 1일부터 2012년 3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ADL에 대한 기능장애군의 분포는 45.6%로 나타났으며, IADL에 대한 기능장애군의 분포는 48.4%로 나타나 ADL보다 IADL에서의 기능장애 비율이 더 높았다. ADL과 IADL에서의 기능장애군에 속할 위험비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혼자 산다는 군보다 배우자나 자녀와 함께 산다는 군에서, 생활비조달을 자신이 한다는 군보다 자녀가 해 준다는 군에서, 의료보호군보다 건강보험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외출을 자주 한다는 군보다 거의 하지 않는 다는 군에서, 취미활동을 자주 한다는 군보다 거의 하지 않는 다는 군에서,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다는 군보다 좋지 않다는 군에서, 신체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눈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귀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치아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요실금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건망증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재가급여인정노인들의 신체적 기능 상태는 ADL보다 IADL 기능이 더 감소되어 있었으며, ADL과 IADL 모두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건강상태의 다양한 요인이 관련되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physical functioning and to reveal its association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in the elderly people admitted long-term home care insurance. The interview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의해 장기요양인 정자로 판정받은 노인들 중 재가급여 인정 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적 기능 상태를 평가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인정자로 판정받은 노인들 중 재가급여인정노인들을 대상으로 ADL과 IADL을 측정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재가급여인정노인을 대상으로 선정한 것은 시설급여 대상 노인보다 재가급여노인은 상대적으로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장애가 심각하지 않아서 효율적인 건강관리 및 개호가 뒷받침될 경우 어느 정도 독립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요양부담을 줄일 수 있는 집단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언제부터 시행되었는가? 따라서 우리나라는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의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하면서 독립적인 일상생활수행이 어려운 노인을 위한 재가 및 시설요양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독립적인 생활 유지 및 회복을 돕는 삼차예방에 해당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제도는 65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 노인성질환자로서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자는 장기요양인정 신청이 가능하며, 노인장기요양보험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장기요양인정 신청을 하여 등급판정을 받아야 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따라 장기요양인정 신청이 가능한 자는 누구인가? 따라서 우리나라는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의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하면서 독립적인 일상생활수행이 어려운 노인을 위한 재가 및 시설요양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독립적인 생활 유지 및 회복을 돕는 삼차예방에 해당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제도는 65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 노인성질환자로서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자는 장기요양인정 신청이 가능하며, 노인장기요양보험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장기요양인정 신청을 하여 등급판정을 받아야 한다. 등급판정조사 결과 1등급은 심신의 기능장애로 일상생활에서 전적으로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이고, 2등급은 일상생활에서 상당부분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이며, 3등급은 일상생활에서 부분적으로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2].
우리나라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하면서 무엇을 실시 및 제공하고 있는가? 따라서 우리나라는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의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하면서 독립적인 일상생활수행이 어려운 노인을 위한 재가 및 시설요양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독립적인 생활 유지 및 회복을 돕는 삼차예방에 해당하는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제도는 65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 노인성질환자로서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자는 장기요양인정 신청이 가능하며, 노인장기요양보험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장기요양인정 신청을 하여 등급판정을 받아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http://kosis.kr/common/meta_onedepth.jsp?vwcdMT_CTITLE&listidMT_CTITLE_E. 2011. 

  2.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o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s. 2008. 

  3. Stein RK, Gortmaker SL, Perrin EC, Perrin MJ, Pless IB, Walker DK, Wertzman. Severity of illness: concept and measurements. Lancet, 12;1506, 1987.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87)92633-X 

  4. Katz, S.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85;914-919, 1963. DOI: http://dx.doi.org/10.1001/jama.1963.03060120024016 

  5. Duke University, Center for the Study of Aging and Humam Development, Multidimensional functional assessment: the OARS methodology. A manual. 2nd ed. Durham, North Carolina, 1978. 

  6. Pfeiffer E. Multidimensional functional assessment: the OARS methodology. A manual. Durham, North Carolina: Duke University, Center for the Study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1975. 

  7. Donaldson LJ, Clyton DG, Clarke M. The elderly in residential care : mortality in relation to functional capacit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34;96-10, 1980. DOI: http://dx.doi.org/10.1136/jech.34.2.96 

  8. Guralnik JM, Siminsick EM. Physical disability in older Americans. J Gerontol, 48(Spec No):3-10, 1993. DOI: http://dx.doi.org/10.1093/geronj/48.Special_Issue.3 

  9. Chong KH, Cho YJ, Oh YH, Byeon JK, Byeon YC, Moon HS. A national wide survey on living condition and welfare need of old ages in 1998.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98 

  10. Park JY. Assessment of instrumental ability of daily living in the urban elderly.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1. 

  11. Kim JS. A Study on Self-Esteem, IADL,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J Korean Acad of Nurs, 28(1):148-158, 1998. 

  12. Kim CH, Lee JS, Shin SC, Lee HY, Yoo KJ. A Sociopsychiatric stud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ental Health Among the Elderly in a Korean Rural Commun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1(6);1063-1071, 1992. 

  13. Park KH, Lee YH. Association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with physical functioning in older persons. J Prev Med Public Health, 40(2):137-144, 2007. DOI: http://dx.doi.org/10.3961/jpmph.2007.40.2.137 

  14. Lee YH, Choi KS.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functioning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Korean J Prev Med 32(3):325-322, 1999. 

  15. Everard KM, Lach HW, Fisher EB, Baum MC, Relationship of activity and social support to functional health of older adults. J Gerontol B psychol SciSoc Sci 55(4);S208-S212. 2000. DOI: http://dx.doi.org/10.1093/geronb/55.4.S208 

  16. Mendes de Leon CF, Glass TA, Berkman LF. Social engagement and disability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adults. Am J Epidemiol, 157(7):633-642, 2003. DOI: http://dx.doi.org/10.1093/aje/kwg028 

  17. Jingu S, Egami Y, Kinukawa N, Sano S, Takei H. Factors related to functional capacity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people. Japan J Publ Hlth, 50(2):92-105, 2003. 

  18. Salive ME, Guralnik JM. Disability outcomes of chronic disease and their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In: Hicket T. Speers MA, Prohaska TR (ed). Public health and Aging.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87-1-6, 1997. 

  19. Kivinen P, Sulkava R, Halonen P, Nissinen A. Self-reported and performance-based functional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elderly men: the Finnish cohorts of the Seven Countries Study. J Clin Epidemiol, 51:1243-1252, 1998. DOI: http://dx.doi.org/10.1016/S0895-4356(98)00115-2 

  20. Woo J, Ho SC, Yu LM, Yuen YK. Impact of chronic disease on functional limitations in elderly Chinese aged 70 years and over: a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urvey. J Gerontol: Med Sci, 53A:M102-M106, 1998. DOI: http://dx.doi.org/10.1093/gerona/53A.2.M102 

  21. Kim HS, Bae NK, Kwon I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status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eople admitted from long-term care insurance.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43(4):319-329, 2010. DOI: http://dx.doi.org/10.3961/jpmph.2010.43.4.319 

  22. Fugita T, Hatano S. Prevalence of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ts correlatives among the elderly at home.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36(2);76-87, 1989. 

  23. Kobayashi Y, Kai I, OHi G, Kiuchi M. A study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its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in the farming community.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36(4);243-249,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