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경계 질환자 대상의 국내 음악중재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s on Music Intervention for Neurological Patient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5 no.2, 2013년, pp.65 - 73  

정성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music intervention for neurological patients in Korea and to explore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 on functional rehabilitation of neurological patients. Methods: This systematic review examined literature from 2005 to 2010. Th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경계 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음악중재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에서 최근 6년간 실시된 연구의 체계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재활간호분야에서 음악중재가 독자적 간호영역의 하나로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신경계 질환자에게 적용한 음악중재연구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을 검색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한 문헌고찰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6년간 국내에서 신경계 질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음악중재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연구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분석에 포함된 음악중재연구는 모두 유사실험연구였고 대다수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간호학 분야의 연구는 2편에 지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최근 6년간 국내에서 신경계 질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음악중재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을 종합하여, 신경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음악중재의 효과를 정리하고자 한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실시된 신경계 질환자 대상의 음악중재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해당 영역의 연구관련 특성과 중재의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연구의 효과를 정리해 보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술의 발달에도 증가하고 있는 문제는? 최근 우리나라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각종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줄어드는 반면, 각종 사고나 질병의 후유증인 신경계 문제를 지니고 살아가야 하는 인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이와 더불어 노인인구가 급작스럽게 증가추세를 보임에 따라 치매를 포함한 신경계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신경계 질환자의 재활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는 바, 재활간호 중재 영역에 대한 새로운 조망이 필요하게 되었다(Kim et al.
우리나라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무엇을 줄였나? 최근 우리나라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각종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줄어드는 반면, 각종 사고나 질병의 후유증인 신경계 문제를 지니고 살아가야 하는 인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이와 더불어 노인인구가 급작스럽게 증가추세를 보임에 따라 치매를 포함한 신경계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신경계 질환자의 재활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는 바, 재활간호 중재 영역에 대한 새로운 조망이 필요하게 되었다(Kim et al.
신경계 질환자의 재활에 대해 간호사의 다양한 관점의 접근이 동시에 요구되는 이유는? , 2005). 특히, 신경계 질환자의 문제는 감정이나 사고와 같은 대뇌기능장애를 비롯하여 인지기능 장애, 운동 및 감각기능의 장애와 반사기능장애 등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로 나타나므로, 재활간호사는 신경과적으로 나타나는 특정 건강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중심적인 접근과 더불어 전인적 관점으로 대상자에게 접근하는 자세가 동시에 요구된다. 특히, 재활의 결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장기간의 재활과정이 요구되는 신경계 재활 대상자들의 경우에는 동기를 부여하고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재활에 지속성을 유지하도록 돕는 간호 전략이 요구되는데(de Man-van, Gooskens, Schuurmans, Lindeman, and Hafsteinsdottir, 2010),이 때 유용한 중재로 음악을 고려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Cancer Society. (2008, November 11). Music therapy. Retrieved May 09, 2013, from http://www.cancer.org/treatment/treatmentsandsideEffects/complementaryandalternativemedicine/mindbodyandspirit/music-therapy 

  2. Bae, S. Y. (2005). Effects of discharge education program with music on resilience and stress responses in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buk National University, Daegu. 

  3. Byon, M. K. (2009).The effect of group music therapy on the loneliness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aged with stroke in the temporary nursing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4. Chang, J. Y. (2005).The effect of song psychotherapy on depression for elderly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5. Choi, S. B. (2008). Effects of MusicTherapy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Central Nervous System Injured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6. Choi, S. J. (2007).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Breath Effciency & Lung Capacity Improvement Using Recorder Playing Focused on Breath Training.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4(1), 32-46. 

  7. Clair, A. A., & O'Konski, M. (2006).The Effect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RAS) on gait characteristics of cadence, velocity, and stride length in persons with late stage dementia. Journal of MusicTherapy, 43(2), 154-163. 

  8. de Man-van, G. J. M., Gooskens, F., Schuurmans, M. J., Lindeman, E, & Hafsteinsdottir, T. B. (2010). A systematic review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poststroke depression and the role of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es, 19(23-24), 3274-3290. doi: 10.1111/j.1365-2702.2010.03402.x. 

  9. Ferrer, A. J. (2007).The Effect of live music on decreasing anxiety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treatment. Journal of MusicTherapy, 44, 242-255. 

  10. Gabrielsson, A. (1986). Rhythm in music. In Evans, J. R., & Clynes, M. (Eds.) Rhythm in psychological, linguistic and musical processes. Illinois: Springerfield. 

  11. Hong, M. S. (2006).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Upper Extremity Exercise Based on 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for Home-bound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2. Hove, M. J., Suzuki, K., Uchitomi, H., Orimo, S., & Miyake Y. (2012). Interactive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reinstates natural 1/f timing in gait of Parkinson's patients. 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7(3):e32600. doi: 10.1371/journal.pone.0032600. 

  13. Joun, E. M. (2007). Effect of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 on the cognition,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elderly with dementia. Daejeon University, Daejeon. 

  14. Kim, K. S., Lim, N. Y., Cho, B. H., So, H. Y., Chon, M. Y., Park, S. J., et al. (2005). Roles and functions of the rehabilitational nurse practitioner expected by nurses and doctors in rehabilitation hospital.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8(2), 85-93. 

  15. Kim, S. J., Kwak, E. E., Park, E. S., Cho, S. R. (2012). Differential Effects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and neurodevelopmental treatment/Bobath on gait patterns in adults with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26(10), 904-914. doi: 10.1177/0269215511434648. 

  16. Kim, T. Y. (2007).The Effects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RAS) on Hemiplegia Patients' Ga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17. Ko, N. Y. (2008). Effects of therapeutic song writing o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of stroke patient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18. Kwak, E. E. (2007). Effect of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gait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Journal of MusicTherapy, 44, 198-216. 

  19. Lee, I. K. (2009). The effect of playing-based music therapy on depressive mood and 'Ba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of elderly dementia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0. Lee, J. H. (2009). The effects of meditation music with nature sound on stroke patients stress redu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1. Lee, S. H. (2008). Effects of MusicTherapy on the Walk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with Hemipare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2. Pacchetti, C., Mancini, F., Aglieri, R., Fundaro, C., Martignoni, E., & Nappi, G. (2000). Active music therapy in Parkinsons disease: An integrative method for motor and emotional rehabilitation. Psychosomatic Medicine, 62(3), 386-393. 

  23. Prassas, S. G., ?aut, M. H., McIntosh, G. C., & Rice, R. R. (1997). Effects of auditory rhythmic cuing on gait parameters in hemiparetic gait of stroke patients. Gait and Posture, 6, 218-223. 

  24. Raglio, A., Bellandi, D., Baiardi, P., Gianotti, M., Ubezio, M. C., & Granieri, E. (2013). Listening to music and active music therapy in behavioral disturbances in dementia: a crossover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1(4), 645-647. doi: 10.1111/jgs.12187. 

  25.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2013, April 26). Methodology checklist 2: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etrieved May 09, 2013, from www.sign.ac.uk/methodology/checklists.html 

  26. Seo, D. O. (2008). The Influence of Song-Focused Program on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27. Thaut, M. H., McIntosh, G. C., Prassas, S., & Rice, R. R. (1993). Effect of rhythmic auditory cuing on temporal stride parameters and EMG patterns in hemiparetic gait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Neuro Rehabilitation, 7, 9-16. 

  28. Yang, H. K. (2010). Study on the Effect of music 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elderly with stroke. International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9, 12-19. 

  29. Zelanzy, C. M. (2001). 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laying in hand rehabilitation for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Four case studies. Journal of MusicTherapy, 38, 97-1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