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주간 복합 운동치료가 유방암 림프부종 중년여성의 통증, 견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4 wks Complex Therapeutic Exercises on Visual Analog Scale of Pain and Range of Motion for Middle-Aged Women with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8 no.2, 2013년, pp.153 - 161  

이병기 (대원대학교 물리치료과) ,  이재섭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물리치료실) ,  김태수 (고려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plex theraputic exercise on visual analog scale of pain, shoulder' range of motion for middle-aged women with breast cancer related lymphedema. METHODS: The 14 middle-aged women involved voluntary in this study an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단 림프부종이 발생하게 되면 완치되는 것이 아니므로 더 이상 악화를 방지하고 부종의 상태를 극소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Roh, 200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림프부종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고전 물리치료를 포함한 복합 운동치료가 통증, ROM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또한 국내의 경우에도 대다수의 림프부종 환자들이 병원에 내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특별한 운동을 하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으로 유발된 상지 림프부종 환자를 대상으로 복합 부종감소 물리치료를 포함한 복합 운동치료가 림프부종 중년여성에게 통증, 관절가동범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 하여, 다양한 림프부종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논리적 근거와 지식을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유방암 치료 후에 예견되어지는 손상에 대하여, 초기 평가와 치료적 중재 활동을 통하여 통증, 유연성과 근력, 활동 제약의 감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Smoot 등, 2010). 본 연구에서는 고전적 부종감소 물리치료 외에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운동에 대한 림프부종 환자의 견관절 ROM 증가와 통증 감소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는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고전적 림프부종 치료와 함께 복합 운동을 환자에게 적용 했을 때 통증의 감소와 ROM의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아직 림프부종에 대한 운동치료 관련 연구의 역사가 시작 단계에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림프부종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고전적 부종감소 물리치료를 포함한 복합 운동치료가 상지 림프부종 중년여성의 통증, 견관절 가동범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림프 부종에 대한 치료로는 무엇이 있나? 유방암 림프 부종에 대한 치료는 거상, 압박법, 붕대법, 마사지, 고전⋅복합 부종 감소 물리치료, 약물 치료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주목할 만한 운동의 사후 처치 효과를 보여주는데, 신체활동은 암 생존자들을 위한 특별하고 적절한 중재가 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Brown 등, 2011).
림프부종 환자의 기능 손실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는 무엇인가? 림프부종 환자의 경우, 통증이 원인이 되어 기능 손실이 유발 될 수도 있다(Korpan 등, 2011). 기능 손실을 평가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임상에서는 ROM을 측정한다. 선행 연구에서 상지부종이 없는 사람들에 비하여 상지부종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에 유의하게 낮은 ROM(Smoot 등, 2010)과 견관절 경직(Ashikaga 등, 2010)이 보고되었다.
유방암 림프부종의 경증 정도는 무엇으로 결정되는가? 림프 부종은 유방암 치료 후에 흔하게 발생되는 합병증으로, 유방암 환자의 50%가 이에 해당된다(Jemal 등, 2010). 유방암 림프부종(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의 경증 정도는 유방 수술의 진행, 감시림프절(Sentinel lymph node) 생검과 액와절 절개와 같은 액와 수술, 방사선 보조 치료의 정도, 화학 보조와 같은 공격적인 치료의 예후로 결정된다(Shah 등, 2012). 유방암 림프부종은 팔 긴장도(tightness), 통증(Gautam 등, 2011), 움직임의 크기와 관절 움직임의 감소를 포함한 제한, 상지 무게의 증가(Pereira de Godoy과 Guerreiro Godoy, 2012), 일일 업무 수행의 곤란(Stanton 등, 2009), 일상에서의 기능적인 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Kilbreath 등,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hmed RL, Thomas W, Yee D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weight training and lymphedema in breast cancer survivors. J Clin Oncol. 2006;24(18):2765-72. 

  2.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Guides to the Evaluation Of Permanent Impairment. 4th ed. Chicago.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3. 

  3. Ashikaga T, Krag DN, Land SR et al. Morbidity results from the NSABP B-32 trial comparing sentinel lymph node dissection versus axillary dissection. J Surg Oncol. 2010;102(2):111-8. 

  4. Bicego D, Brown K, Ruddick M et al. Exercise for women with or at risk for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Phys Ther. 2006;86(10):1398-405. 

  5. Brown JC, Huedo-Medina TB, Pescatello LS et al. Efficacy of exercise interventions in modulating cancer-related fatigue among adult cancer survivors: a metaanalysis.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11;20(1):123-33. 

  6. Campbell A, Mutrie N, White F et al. A pilot study of a supervised group exercise program as a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receiving adjuvant treatment. Eur J Oncol Nurs. 2005;9(1):56-63. 

  7. Chopra I, Kamal KM. A systematic review of quality of life instruments in long-term breast cancer survivors. Health Qual Life Outcomes. 2012;10:14. 

  8. Cole B, Finch E, Gowalnd C et al. Physical Rehabilitation Outcome Measures. Toronto : Canadian Physiotherapy Association. 1994. 

  9. Didem K, Ufuk YS, Serdar S, Zumer A. The comparison of two different physiotherapy methods in treatment of lymphedema after breast surgery.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05;93(1):49-54. 

  10. Ferlay J, Shin HR, Bray F et al. GLOBOCAN 2008,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Worldwide: IARC CancerBase No. 10. Lyon, Franc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Retrieved September, 18, 2012. from http://globocan.iarc.fr/. 

  11. Gurdal SO, Kostanoglu A, Cavdar I et al. Comparison of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with manual lymphatic drainage for treatment of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Lymphat Res Biol. 2012;10(3):129-35. 

  12. Gautam AP, Maiya AG, Vidyasagar MS. Effect of home-based exercise program on lymphedema and quality of life in female postmastectomy patients: pre-post intervention study. J Rehabil Res Dev. 2011;48(10):1261-8. 

  13. Jemal A, Center MM, Desantis C et al. Global patterns of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and trends.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10;19(8):1893-907. 

  14. Kaelin CM. Living through brest cancer. NY. McGraw-Hill. 2007. 

  15. Kilbreath SL, Refshauge KM, Beith JM et al. Upper limb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and stretching exercises following surgery for early breast canc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east Cancer Res Treat. 2012;133(2):667-76. 

  16. Kim MO, Jean CS, Cho, YJ et al. The Effects of Early Exercise Program on Shoulder Joint Funtion, Pa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fter Breast Surgery. The Korean Nurse. 2005;44(2):65-77. 

  17. Kim, MS. The Change of Physical Function in Accordance with Rehabilitation Exercise Frequency for the Breast Cancer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0;49(4):315-23. 

  18. King M, Deveaux A, White H et al. Compression garments versus compression bandaging in decongestive lymphatic therapy for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upport Care Cancer. 2012;20(5):1031-6. 

  19. Korpan MI, Crevenna R, Fialka-Moser V. Lymphedema: a therapeutic approach in th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cancer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2011;90(5 Suppl 1):S69-75. 

  20. Kwan ML, Cohn JC, Armer JM et al. Exercise in patients with lymphedema: a systematic review of the contemporary literature. J Cancer Surviv. 2011;5(4):320-36. 

  21. Laino C. New Guidelines for Cancer Patients from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Exercising During & After Treatment Brings Health Benefits. Oncology Times. 2010; 32(17):16-8. 

  22. Lee CM, Kim SM, Na SY et al.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for breast cancer Survivors in Health related fitness, Leptin and Insulin. Exercise Science. 2009;18(2):225-38. 

  23. Lee GW, Yi CH, Cho SH et al. The Therapeutic Effects of an Early Exercise Program After Mastectomy. KAUT PT. 2001;8(1):35-50. 

  24. Lim CH, Han JH. Effectiveness of Upper Extremity Exercise and Bandage on the Edema and ROM of Patients with Lymphedema. J.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1;6(1):31-8. 

  25. Martin ML, Hernandez MA, Avendano C et al. Manual lymphatic drainage therapy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related lymphoedema. BMC Cancer. 2011;11:94. 

  26. McKenzie DC, Kalda AL. Effect of upper extremity exercise on secondary lymphedema in breast cancer patients: a pilot study. J Clin Oncol. 2003;21(3):463-6. 

  27. Michael O, Martin K, Wolfgang S et al. Chronic low back pain measurement with visual analogue scales in different setting. Pain. 1996:64:425-28. 

  28.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Incidence rate of Cancer between 2006 to 2007 in Korea. 2010. Retrieved from October 7, 2012. from http://www.cancer.go.kr/ncic/cics_g/cics_g02/cics_g027/1389217_6065.html 

  29.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Statistics to present cancer status in 2012. Retrieved from September 19, 2012. from http://www.cancer.go.kr/ncic/cics_g/cics_g02/cics_g027/1649336_6065.html. 

  30. Oliver GD, Sola M, Dougherty C, Huddleston S. Quantitative examination of upper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ation during common shoulder rehabilitation exercise using the bodyblade. J Strength Cond Res. 2012. 

  31. Pereira de Godoy JM, Guerreiro Godoy MD. Evaluation of a new approach to the treatment of lymphedema resulting from breast cancer therapy. Eur J Intern Med. 2012. 

  32. Portela AL, Santaella CL, Gomez CC et al. Feasibility of an exercise program for puerto rican women who are breast cancer survivors. Rehabil Oncol. 2008;26(2):20-31. 

  33. Roh KH. The Risk Factors of Lymphedema after Breast Cancer Surgery. Kosi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2. 

  34. Sander AP. A safe and effective upper extremity resistive exercise program for woman post breast cancer treatment. Rehabilitation Oncology. 2008;26(3):3-10. 

  35. Schmitz KH, Ahmed RL, Troxel AB et al. Weight lifting for women at risk for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a randomized trial. JAMA. 2010a;304(24):2699-705. 

  36. Schmitz KH, Courneya KS, Matthews C et al.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roundtable on exercise guidelines for cancer survivors. Med Sci Sports Exerc. 2010b;42(7):1409-26. 

  37. Schmitz KH, Troxel AB, Cheville A et al. Physical Activity and Lymphedema (the PAL trial): assessing the safety of progressive strength training in breast cancer survivors. Contemp Clin Trials. 2009;30(3):233-45. 

  38. Shah C, Arthur D, Riutta J et al. Breast-cancer related lymphedema: a review of procedure-specific incidence rates, clinical assessment aids, treatment paradigms, and risk reduction. Breast J. 2012;18(4):357-61. 

  39. Smoot B, Wong J, Cooper B et al. Upper extremity impairments in women with or without lymphedema following breast cancer treatment. J Cancer Surviv. 2010;4(2):167-78. 

  40. Stanton AW, Modi S, Mellor RH et al. Recent advances in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of the arm: lymphatic pump failure and predisposing factors. Lymphat Res Biol. 2009;7(1):29-45. 

  41. Statistics Korea. Social Indicators of Koreans in 2010. 2011. 

  42. Szolnoky G, Lakatos B, Keskeny T et al.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acts synergistically with manual lymphatic drainage in complex decongestive physiotherapy for breast cancer treatment-related lymphedema. Lymphology. 2009;42(4):188-94. 

  43. Tsauo JY, Hung HC, Tsai HJ et al. Can ICF model for patients with breast-cancer-related lymphedema predict quality of life?. Support Care Cancer. 2011;19(5):599-604. 

  44. Velanovich V, Szymanski W.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with lymphedema. Am J Surg. 1999;177(3):184-7. 

  45. Witte CL, Witte MH. Contrasting patterns of lymphatic and blood circulatory disorders. Lymphology. 1987;20(4):171-8. 

  46. Yoo YS. Effects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n the Shoulder Joint Function, Physical Symptom and Quality of Life in Postmastectomy Patients.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999;13(2):101-14. 

  47. Young-McCaughan S, Arzola SM. Exercise intervention research for patients with cancer on treatment. Semin Oncol Nurs. 2007;23(4):264-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