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Lysobacter capsici YS1215를 이용한 뿌리혹선충(Root-knot nematode)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by Lysobacter capsici YS1215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v.46 no.2, 2013년, pp.105 - 111  

이용성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박윤석 ((주)푸르네) ,  김선배 (담양군농업기술센터) ,  김길용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ysobacter capsici YS215의 특성 및 뿌리혹선충 방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YS1215의 생육은 배양 6일째 최고였으며, 생육에 따른 chitinase와 gelatinase의 활성은 각각 3일째와 5일째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YS1215 배양액이 선충 피해 방제와 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본 결과, 5주째 식물 지상부 생체중 및 건조중에서 배양액 반량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9주째에는 미생물 배양액, 미생물 배양액 반량구 및 배지액 처리구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9주째 미생물 배양액, 미생물 배양액 반량구 및 배지액 처리구가 물처리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상부 길이에서는 미생물 배양액 반량구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선충 피해 방제에 있어서 난낭수, 뿌리혹수 및 토양내 유충수에서 각각 농약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미생물 배양액 처리구와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미생물 배양액 처리구는 미생물 배양액 반량구 및 물 처리구와는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다양한 분해효소를 생성하는 L. capsici YS1215의 뿌리혹선충방제에 대한 충분한 가능성과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iocontrol potential of Lysobacter capsici YS1215 on root-knot nematode and to characterize its lytic enzyme activities. L. capsici YS1215 showed chitinase and gelatinase activities on the medium containing 0.5% chitin or 0.5% gelatin as substrat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게껍질이 풍부한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Lysobacter capsici YS1215의 생육 및 효소 활성 특성과 식물체 실험을 통한 L. capsici YS1215 배양액 처리 시 식물 생장 촉진 및 선충방제 효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 Lysobacter capsici YS215의 특성 및 뿌리혹선충 방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YS1215의 생육은 배양 6일째 최고였으며, 생육에 따른 chitinase와 gelatinase의 활성은 각각 3일째와 5일째에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뿌리혹선충이란? 뿌리혹선충 (Meloidogyne sp.)은 식물 기생선충으로써 식물 기생선충류 중에 가장 경제적 손실을 많이 가져다주는 해충이다. 기주 식물은 잔디에서부터 나무에 이르기까지 2000여종에 이른다 (Kim and Kang et al.
뿌리혹선충 중에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여 피해를 주는 뿌리혹선충은? , 2000; Sasser, 1980). 뿌리혹선충들 중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피해를 주고 있는 종은 고구마뿌리혹선충 (M. incognita)과 자바뿌리혹선충 (M. javanica), 땅콩뿌리혹선충 (M. arenaria), 당근뿌리혹선충 (M. hapla) 등이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도 시설재배지에서의 연작으로 인해 이러한 뿌리혹선충 발생이 증가하고 있으며 피해액과 피해 대상작물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Lee, 2003; Lee et al., 2011).
뿌리혹선충 화학적 방제의 단점은? 지금까지 이러한 뿌리혹선충의 방제는 주로 화학적 방제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화학 살선충제는 고독성이며, 토양 잔류기간이 길며, 토양 미생물에 영향을 미쳐 토양생태계 불균형 뿐만 아니라 지하수 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를 야기 시키며, 살선충제의 남용으로 인하여 뿌리혹선충의 약제 저항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Birch et al., 1993; Kim and Choi, 2001; Atkin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bo-Elyousr, K.A., Z. Khan, M.E. Award, and M.F. Abedel-Moneim. 2010. Evaluation of plant extracts and Pseudomonas spp. for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on tomato. Nematropica 40(2):289-299. 

  2. Atkins, S.D., L. Hidalgo-Diaz, H. Kalisz, T.H. Mauchline, P.R. Hirsch, and B.R. Kerry. 2003. Development of a new management strategy for the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p.) in organic vegetable production. Pest Manag Sci. 59:183-189. 

  3. Birch, A.N.E., W.M. Robertson, and L.E. Fellows. 1993. Plant products to control plant parasitic nematodes. Pestic. Sci. 39: 141-145. 

  4. Broadbent, P., K.F Baker, N. Franks, and J. Holland. 1977. Effect of Bacillus spp. on increased growth of seedling in steamed and in non treated soil. Phytopathology 67:10271034. 

  5. Chen, J., W.H. Moore, G.Y., Yuen, D. Kobayashi, and E.P. Caswell-Chen. 2006. Influence of Lysobacter enzymogenes Strain C3 on Nematodes. J Nematol 38(2):233-239. 

  6. Christensen, P. and D. Cook. 1978. Lysobacter, a new genus of non-fruiting, gliding bacteria with a high base ratio (soil and water organisms). Int. J. Syst. Bacteriol. 28:367-393. 

  7. Choi, Y.E. and Y.J. La. 1982. Plant nematology. pp.58-68. 

  8. Devidas, P. and L.A. Rehberger. 1992. The effects of exotoxin (thuringiensin) from Bacillus thuringiensis on Meloidogyne incognita and Caenorhabditis elegans. Plant Soil 145: 115-120. 

  9. Dicklow, M.B., N. Acosta, and B.M. Zuchkerman. 1993. A novel Streptomyces species for controlling plant-parasitic nematodes. J. Chem. Ecol. 19:159-173. 

  10. Gautam, A., Z.A. Siddiqui, and I. Mahmood. 1995. Intergated management of Meloidogyne incognita on tomato. Nematologia Mediterranea 23:245-247. 

  11. Kang, S.J., Y.S. Lee, S.Y. Lee, G.Y. Yun, S.H. Hong, Y.S. Park, I.S. Kim, R.D. Park, and K.Y. Kim. 2010. Biological Control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by Lysobacter antibioticus HS124. Korean J. Soil Sci. Fert. 43(5):537-544 (2010) 

  12. Kim, D.J. and K.J. Choi. 2001. Effects of incorporation method of nematicides on reproduction of Meloidogyne arenaria. Kor. J. Appl. Entomol. 40:89-95. 

  13. Kim, J.I. and S.C. Han. 1988. Effect of solarization for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spp.) in vinyl house. Kor. J. Appl. Entomol. 27: 1-5. 

  14. Kim, S.S., S.I. Kang, J.S. Kim, Y.S. Lee, S.H. Hong, W.N. Kyaw, and K.Y. Kim. 2011. Biolog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by Streptomyces sampsonii KK1024. Korean J. Soil Sci. Fert. 44(6):1150-1157. 

  15. Ko, H.S., R.D. Jin, B.H. Krishnan, S.B. Lee, and K.Y. Kim. 2009. Biocontrol Ability of Lysobacter antibioticus HS124 Against Phytophthora Blight Is Mediated by the Production of 4-Hydroxyphenylacetic Acid and Several Lytic Enzymes. CurrMicrobiol 59:608-615. 

  16. Kwon, T.Y., K.C. Jung, S.D. Park, Y.G. Sim, and B.S. Choi. 1998. Cultural and chem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 on oriental melon in plastic film house. RDA J. Crop Prot. 40:96-101. 

  17. Lee, J.G. 2003. Occurrence, ecology and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under greenhouse cultivation system. Ph.D.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8. Lee, J.S., H.Y, Choo, and D.W. Lee. 2011. Nematicidal Efficacy of Herbal Extracts against Meloidogyne Hpala. Kor. J. Appl. Entomol. 50(4): 315-324. 

  19. Lingapa, Y. and J.L. Lockwood. 1962. Chitin media for selected isolation and culture of Actinomycetes. Phytopathology 52:317-323. 

  20. Li, W., D.P. Roberts, P.D. Derby, S.L.F. Meyer, S. Lohrke, R.D. Lumsden, and K.P. Hebbar. 2002. Broad spectrum anti-biotic activity and disease suppression by the potential biocontrol agent Burkholderia ambifaria BC-F. Crop Prot. 21:129-135. 

  21. Lim, S.H., Y.Z. Zhu, M.S. Kim, Y.S. Lee, J.S. Son, D.S. Park, J.H. Hur, H.Y. Kim, H.J. Choi, K.H. Kim, and S.M. Kim. 2004. Nemat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Kor. J. Pestic. Sci. 8:353-357. 

  22. Mandl, I., J.D. MacLennan, E.L. Howes, R.H. DeBellis, and A. Sohler. 195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inase and collagenase from Cl. histolyticum. J Clin Invest 32:1323-1329. 

  23. Moore, S. and W.H. Stein. 1948. Photometric ninhydrin method for use in the chromatography of amino acids. J. Biol. Chem. 176:367-388 

  24. Oka, Y., H. Koltai, M. Bar-Eyal, M. Mor, E. Sharon, I. Chet, and Y. Spiegel. 2000. New strategies for the control of plant-parasitic nemaotdes. Pest Manag Sci 56:983-988. 

  25. Park, M.H., J.K. Kim, W.H. Choi, and M.H. Yoon. 2001. Nematicida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Korean J. Soil Sci. Fert. 44(2):228-235. 

  26. Park, J.H., R. Kim, Z. Aslam, C.O. Jeon, and Y.R. Chung. 2008. Lysobacter capsici sp. nov., with antimicrobial activity, isolated from the rhizosphere of pepper, and emended description of the genus Lysobacter. Int J Syst Evol Microbiol 58:387-392. 

  27. Sasser, J.N. 1980. Root-knot nematode: a global menace to crop production. Plant Dis. 64:36-41. 

  28. Sela, S., H. Schickler, I. Chet, and Y. Spigel. 1998.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cereus collagenolytic/proteolytic enzyme and its effect on Meloidogyne javanica cuticular proteins. Eur. J. Plant. Pathol. 104:59-67. 

  29. Siddiqui, Z.A. and I. Mahmood. 1999. Role of bacteria in the management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a review. Bioresource Technol. 69:167-179. 

  30. Tunlid, A. and S. Janson. 1991. Proteases and their involvement in the infection and immobilization of nematode by the nematophagous fungus Arthrobotrys oligospora. App. Environ. Microbiol. 57:2868-2872. 

  31. Yoon, G.Y., Y.S. Lee, S.Y. Lee, R.D. Park, H.N. Hyun, Y. Nam, and K.Y. Kim. 2012. Effects on Meloidogyne incognita of chitinase, glucanase and a secondary metabolite from Streptomyces cacaoi GY525. Nematology 14(2): 175-184. 

  32. Zhu, Y.Z., D.S. Park, M.R. Cho, J.H. Hur, and C.K. Lim. 2005. Suppression of Meloidogyne arenaria by different treatments of Pasteuria penetrans. J. Pestic. Sci. 9(4):437-4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