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방연석 제련실험을 통한 납 추출과정 및 물리화학적 거동변화 연구
Extraction Process of Lead and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using the Smelting Experiment of Galen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9 no.1, 2013년, pp.69 - 79  

한우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은우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황진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김수기 (용인대학교 문화재학과) ,  한민수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납을 획득하는 방법과 처리과정에서 일어나는 물리 화학적 거동변화를 확인함으로써 납이 함유된 고대 금속유물의 제작기법 연구에 활용하고자 방연석을 현재 가행 중인 광산에서 채취하여 세척 및 선광 등의 전처리 공정을 거쳐 제련 및 정련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납은 배소-화학반응에 의해 추출되며, $1,000^{\circ}C$이상의 고온에서도 방연석이 matte 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 잔존하고 있는 방연석을 제거하기 위해 정련실험을 실시한 결과, 약 $11.1g/cm^3$의 비중을 갖는 금속 납이 추출되었으며 방연석 내 미량으로 존재하고 있던 Ag가 입계 내에 응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고순도의 납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번 이상의 정련 과정과 은을 제거하기 위한 회취법 등이 시행되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vari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galena ore in order to use it in understanding of manufacturing techniques in terms of metallurgical method and smelting or refining process for obtaining lead. The ores in the study obtained from the operating mine hav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련․정련실험을 통해 납의 획득 공정을 추정하고자 하며, 이때 일어나는 물리․화학적 거동변화를 과학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납을 포함한 본 연구는 방연석을 이용한 제련․정련실험을 통해 온도에 따른 방연석의 물리‧화학적 거동변화를 확인하여 납 제련기술에 대해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연석은 어디에 이용되고 있는가? 납은 청동기시대부터 구리와 주석과 합금하여 청동을 제작하였으며, 유리나 안료 등에도 사용되었다. 이때 사용 되는 납은 대부분 방연석을 제련하여 얻게 되는데, 방연석은 납의 광석광물로 중요한 원료이면서 납 동위원소비의 조성이 변하지 않는 특성과 분석의 용이성, 그리고 광산마다 고유한 동위원소비 조성으로 인해 산지추정에도 이용된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납이 포함된 청동이나 유리, 안료 등을 분석하면 고대 유물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납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산지 추정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납이 포함된 청동이나 유리, 안료 등을 분석하면 고대 유물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된다. 납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산지 추정은 1986년 최주 박사에 의해 시작되어 1990년대 초부터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 조선통보, 익산 미륵사지 출토 동경, 안동 옥동 유적 출토 청동시, 포항 오어사 동종 등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Kang et al., 2003; Kang et al.
본 연구에서 방연석을 이용한 제련․정련실험을 통해 납의 획득 공정을 추정한 결과는 어떠한가? 1. 납의 제련 실험결과, 따로 배소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황화납은 일부 산화된 황산납 및 산화납과 반응하여 납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1,000℃∼1,200℃의 고온 에서도 방연석(PbS)이 matte에 잔존해 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는 실제 광석에는 슬래그 조성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고, 기체 중에 질소가 많으므로 평형상태도에 따르는 안정한 물질만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금속 Pb뿐만 아니라 PbS나 PbSO4, PbO 등이 동시에 형성되었을 것이다. 2. 납 제련 및 정련 실험 결과, 입계 내에 은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존재하는 은은 『천공개물』 이나 『오주서종박물고변』에 언급된 회취법 등의 은 제거방법을 추가적으로 실시해 준다면 고순도의 납이 형성될 것으로 생각된다. 3. 방연석을 이용한 정련실험 결과, 미량의 아연(Zn)과은(Ag) 및 철(Fe)이 검출되었는데, 이는 방연석 내 미량으로 Zn과 Ag, Fe가 원래 존재하였기 때문이라 추정된다. 또한 800℃ 1시간에서 정련 결과, 약 96%의 고순도 납을 얻을 수 있었다. 4. 700℃∼800℃에서 정련을 시행한 결과, 완전히 용융된 금속 납이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중 분석결과 정련과정에서 얻어진 금속 납의 비중은 약 11.1g/cm3 로 순납의 비중인 11.36g/cm3과 유사하였다. 또한 정련작업을한 납의 비중은 제련작업을 한 납의 비중보다 더 높은 증가 율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고순도의 납을 만들기 위해서는 적어도 1번 이상의 정련과정이 시행되었을 것이라 추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akrabartl, D.J. and Lughlin, D.E., 1984, The Cu-Pb (copper-lead) system. Journal of Phase Equilibria. 5, 503-510. 

  2. Cho, M.H. and Lee, J.H., 1993, Extractive metallurgy of non-ferrous metal. Hanyang University, Korea. (in Korean) 

  3. Encyclopedia Britannica Online, 2012, Korea. 

  4. Heo, I.K., Jo, N.C. and Kang, H.T., 2007, Provenance and metallugical study on bronze mirrors excavated from Mireuksaji temple site, Iksan.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0, 23-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ermann Schumann and Heinrich Oette, 1996, Metallografie, Node Media. 

  6. Jeong, K.Y. and Lee, J.H., 2009, A study of the microstructure and provenance area of bronze spoons excavated from the Ok-dong site in Andong,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 411-4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o, N.C. and Kang, H.T., 2008,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of Oeosa (temple) bronze bell (Treasure No.1280) in Pohang-city. Korean Ancient Historial Society Journal, 61, 85-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o, S.M., 2012, Investigation of metallurgical characteristics on the reproducer of slim bronze dagger excavated at Gardong remains in Wanju, Korea.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ung, Y.D. and Jung, W.S., 2007, Research papers: microstructure and component analysis of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hilla Wang-kyoung and the estimation of the forging technology. Korean Journal of Metals and Materials, 45, 36-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ang, H.T., Jeong, K.Y., Jo, S.K. and Lee, M.H., 2003, Scientific analysis of bronze artifacts from Wonbuk-ni site, Nonsan. Korean Ancient Historial Society Journal, 39, 19-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ang, H.T., Kim, K.H. and Jeong, K.Y., 2005, Raw material and provenance of coin minted in Goryo Dynasty(I).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7, 33-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ang, T., Kim, K.W., Lee, C.K. and Son, H.J., 2011, Recycling and using of zinc and lead. Korea Metal Journa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H.S., Chae, S.C., Kim, J.Y., Sohn, J.S. and Kim, S.B., 2008, Gracity separation characteristic for the gold.silver ores on the Philippine Mankayan district.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1, 383-3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K.K. and Choi, J., 2008, Ojuseojongbakmulgobeon. Hakyoun, Korea. (in Korean) 

  15. Lee, S.I. and Seo, C.J., 1999, Extractive Metallurgy of Non-ferrous Metal. Munundang, Korea. (in Korean) 

  16. Rosenqvist, T., Kang, T. and Son, H.J., 1987, Principles of extractive metallurgy, Heejungdang, Korea. (in Korean) 

  17. Scott, D.A., 1991, Metallorgaphy and Microstructure of ancient and Historic metals.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1-155, Los Angeles. 

  18. Shin, I.C., Shin, D.H., Yi, H.I. and Han. S.J., 1998, A special issue on sea level and paleoenvironmental applications of foraminiferal studies. 53th Annual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Abstract), 60. 

  19. Sung, E.S. and Choi, B.K., 2009, Chon Gong Gaemul. Bumwoosa. (in Korean) 

  20. Tylecote, R.F., 1986, The prehistory of Metallurgy in the British lsles. Institute of Metals, 1-257, London.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