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사찰벽화 채색층 고착처리제 적용 연구
A Study on Painting Layer Fixative Processing of Mural Paintings of Buddhist Temples in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9 no.1, 2013년, pp.81 - 92  

이화수 (건국대학교) ,  한경순 (건국대학교) ,  이상진 ((주)세영씨앤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 국내 사찰벽화 보존처리는 유공성과 친수성의 특성을 고려한 재료선정이나 적합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유럽의 재료 및 공법이 적용되었다. 그리고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채색층 고착처리가 이루어진 벽화들은 현재까지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존처리 효과를 규명하고자 사찰벽화 채색층 보강에 사용되는 고착제를 선별하여 고착처리 적용연구를 실시하였다. 고착제의 점도와 접착력 그리고 침투상태의 관계성을 파악한 결과 대부분 점도가 높은 시료에서 접착력이 증가하였고, 저점도의 시료에서는 접착력이 낮게 측정되었다. 시료별 고착제의 침투상태는 유사하지만 채색층과 토양 마감면의 상응 및 결합반응은 큰 차이점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동물성 아교와 MC의 경우, 채색층을 포함하여 토양과의 고착반응이 우수한 것으로 보이며, 토양과 견고하게 결속되어 안정적인 고착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합성수지계인 PVAc와 아크릴수지는 침투는 원활하지만, 토양과의 고착반응은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ast, European material and method were applied to conservation of Buddhist mural paintings in Korea. At that time, there were inadequate to selection of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porosity and hydrophilicity, therefore insufficiency to assessing their suitability for materials. The treat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실시된 사찰벽화의 보존처리는 대부분이 이론적 배경에 의한 일부 적용실험을 바탕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기술적 검사 및 적용 연구는 전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찰벽화 채색층 보강에 사용되는 고착제의 특성을 파악하고, 과학적 검증을 통해 보존처리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사찰벽화 벽체제작 당시 첨가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혼합 풀은 고착제와 같은 유기물이다. 본 연구는 결속력을 잃은 채색층에 대한 고착제의 적용 실험에 대한 것으로써, 혼합풀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벽체 제작에 풀을 첨가하지 않았다. 벽체는 실험을 실시하기 6개월 전에 제작한 다음 기건 양생하며 보관한 후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조선시대 사찰 벽화에서 채색층에 매제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아교는 유기물이므로 실험을 위해 아교를 사용할 경우 본 연구의 실험 대상인 고착제와 유사한 거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교 성분이 분해되었을 것으로 가정하고 안료와 물만 혼합하여 채색층을 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착제가 고점도일 경우, 대부분이 표면 1.5㎜ 깊이까지 침투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지만 접착력에 있어서는 각기 다른 결과들을 나타내는 것이 시사하는 결론은 무엇인가? 5㎜ 정도 깊이까지 침투되는 것과 같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지만 접착력에 있어서는 각기 다른 결과들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침투된 깊이 보다는 고착제가 침투된 후 채색층과 인접한 토양면의 상응 및 결합하는 반응에서의 효과가 큰 것으로 보인다. 즉, 침투 깊이는 시료별로 유사할 수 있으나, 고착제가 채색층을 투과 후 내부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의 차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과거 국내 사찰벽화 보존처리에는 어떤 방법이 적용되었는가? 과거 국내 사찰벽화 보존처리는 유공성과 친수성의 특성을 고려한 재료선정이나 적합성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유럽의 재료 및 공법이 적용되었다. 그리고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채색층 고착처리가 이루어진 벽화들은 현재까지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사찰벽화에 고농도의 합성수지로 고착 처리한 경우 발생하는 2차 손상의 원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역시 토벽화 고착처리에 대한 기술적 검사와 재료 적용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1980년대 유럽의 합성수지가 유입되어(Lee, 2001) 다양하게 적용되었다. 친수성과 유공성의 특성을 지닌 사찰벽화에 대해 고농도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고착처리가 이루어진 경우 2차 손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합성수지 고착제의 물리적 저항력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외부 환경에 노출된 벽화들은 그 손상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i, S.Y., 1990, Principle and Theory of Adhesiv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Rubber Industry, 25, 291-3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Han, K.S. and Lee, H.S., 2007, Conservation of Murals of Amitadha Hall at Muwi-sa Temple of Gangjin, The 26th National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8, (in Korean) 

  3. Han, K.S., 2003,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the Buddhist Mural Paintings of Kore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Herzen State Pedagogical, 4. 

  4. Han, K.S., Lee, S.J. and Lee, H.S., 2010, A Study on the Analysis of Outside Mural Paintings treated in Maitreya Hall of Geumsan-sa Buddhist Temple,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 445-4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uang. K., 1996, A Review of the Grotto Conservation Methods in China. The 19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y, Nara, Feb 1-3, 125-134. 

  6.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Kyongju University, 2002, Conservation Report of Wall Painting in the Hall of Great Light at Shinheung Temple in Yangsan, 23-24, (in Korean) 

  7. Kwon, D.Y., Ahn, J.K., Kwon, D.I. and Lee, S.L., 1994, Mechanical Analysis Approach for Estimating Adhesion Strength at Hard Thin Film Interfaces, The 8th Symposium on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357-373. (in Korean) 

  8. Lee, K.M., Han, K.S. and Lee, H.S., 2008, Assessing the Effects of Acrylic Resin (Paraloid B-72) on Buddhist Mural Painting conservation, Conservation Studies, 29, 66-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S.J., 2001, A Study of the Conservation of Korean Buddhist Wall Paintings. Master's Thesis in Dongkuk University, 60-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Masuda, K., 1996, Reinforcing Materials for Wall Paintings of Dunhuang Mogao Grottoes. The 19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y, Nara, Feb 1-3, 189-198. 

  11. Mora, P., Mora, L. and Philippot, P., 1984, Conservation of Wall Paintings. Butterworths, London, 217-222. 

  12. Nicolaus, K., 1999, The Restoration of Paintings. Konemann, Berlin, 124-1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