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삽교천유역의 용존산소 추세
Dissolved Oxygen Trend in Sapgyo Stream Watershed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6 no.6, 2013년, pp.667 - 681  

임창수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삽교천유역에 위치한 19개 수질관측지점의 16년간(1995~2010) 월별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자료를 이용하여 월별 및 계절별 용존산소 추세를 분석하였다. 추세분석을 위해 Mann-Kendall 추세분석과 Sen's slope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삽교천 유역을 4개 구역(삽교호, 삽교천본류, 무한천 및 곡교천)으로 구분하여 카이스퀘어 동질성 검정(chi-square homogeneity test)을 실시하여 각 구역의 월별, 그리고 계절별 용존산소추세의 동질성 유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 수질관측지점의 월별, 계절별 용존산소는 증가추세를 보이거나 혹은 유의한 추세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삽교천 유역 수질관측지점들의 계절별 용존산소추세는 서로 동질성을 보인 반면에 월별 용존산소추세는 수질관측지점이 저수지에 위치한 지점의 경우 동질성을 보이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삽교천 유역 수질관측지점의 용존산소 추세는 각 수질관측지점의 위치와 계절에 따라서 다른 양상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monthly and seasonal dissolved oxygen trends of 19 water quality measurement stations in Sapgyo stream watershed were analyzed using monthly dissolved oxygen (DO) data measured for 16 years (1995~2010). Mann-Kendall trend test and Sen's slope estimator were carried out for trend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Cases 1∼5의 경우 삽교천본류 최상류에 위치한 S1지점과 각 소지류에 위치한 지점(M1, K21, K22, K23, K11)의 DO추세의 동질성을 분석하였다.
  • Cases 6∼10의 경우 삽교호로 유입되기 전인 삽교천본류 최하류지점 S3와 무한천 하류지점(M5), 온양천(K31) 그리고 풍세천(K11)의 DO추세 동질성을 분석하였다.
  • 각 수질관측지점의 용존산소 추세가 계절적(월별 및 계절별)으로 동질적인 추세를 보이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각 관측지점의 월별 및 계절별 용존산소추세의 동질성 분석(van Belle and Hughes, 1984)을 실시하였다. van Belle and Hughes의 동질성분석의 경우 국외에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서 적용된 바 있다(Kahya and Kalayci, 2004).
  • 본 연구를 위해 19곳의 수질관측 지점들을 선정하였다(Table 1). 계절별 분석을 위해 12월, 1월, 2월은 겨울철, 3월, 4월, 5월은 봄철, 6월, 7월, 8월은 여름철 그리고 9월, 10월, 11월은 가을철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삽교천유역의 본류 및 지류에 위치한 19곳의 수질관측지점의 월별 그리고 계절별 용존산소 추세분석을 위해 Mann-Kendall 추세분석과 Sen's slope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수질관측지점의 용존산소추세가 지점별 그리고 계절별로 동질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수질관측지점 용존산소추세의 지점별 및 계절별 동질성 유무에 따른 그 원인을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월 및 계절별 삽교천유역 각 지류의 토지이용변화와 오염원분포를 동시에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삽교천유역의 본류 및 지류에 위치한 19곳의 수질관측지점의 월별 그리고 계절별 용존산소 추세분석을 위해 Mann-Kendall 추세분석과 Sen's slope 분석을 수행하였다.
  • 삽교천 유역에 위치한 19개 수질관측지점의 월별 그리고 계절별 용존산소의 비모수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16년간(1995~2010)의 용존산소 자료를 월별(1, 2, 3, 4, 5, 6, 7, 8, 9, 10, 11, 12월) 및 계절별(봄, 여름, 가을, 겨울)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 삽교천 유역에 위치한 각 수질관측지점의 용존산소 추세에 계절적 동질성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분석(van Belle and Hughes, 1984)을 실시하였다(Tables 4 and 5). 월별 용존산소추세를 분석한 바에 의하면 삽교천 본류 구간에 해당하는 S1, S2, S3지점의 경우 수질관측지점 모두에서 90% 신뢰수준에서 월별 용존산소 추세의 동질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 삽교천유역 내 각 수질관측지점의 월별 및 계절별 16년간(1995~2010)의 용존산소농도의 통계치를 비교하였다(Figs. 2 and 3).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월별 용존산소 농도의 경우 19개 수질관측지점 중에서 곡교천 수계의 지류인 온천천에 위치한 Station K31이 5월을 제외한 대부분의 월에서 16년 동안 가장 낮은 용존산소 평균농도를 보였다.
  • 삽교천유역 본류 및 지류에 위치한 수질관측지점의 월별, 계절별 용존산소추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삽교천 본류구간에 위치한 수질관측지점(S1, S2, S3)들의 용존산소는 증가하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 삽교천유역에 위치한 수질관측지점간에 용존산소추세의 동질성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각 수질관측지점을 21개 case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6). Cases 1∼5의 경우 삽교천본류 최상류에 위치한 S1지점과 각 소지류에 위치한 지점(M1, K21, K22, K23, K11)의 DO추세의 동질성을 분석하였다.
  • 월별 용존산소포화도(%)를 비교분석하였다(Table 2). 분석결과 특히 K24지점과 K31지점이 다른 월과 비교하여 5월과 6월에 용존산소 불포화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를 위해 각 월별, 계절별 용존산소의 연평균 변화량을 산정하고 이를 전체 분석기간(16년) 용존산소 변화량으로 환산하였다. 월별, 계절별 16년간의 평균 용존산소에 대한 용존산소 변화량의 비를 비교분석하였다(Table 3). 각 월별로 16년간의 용존산소변화량을 분석한 바에 의하면 삽교천 본류 전 구간에 걸쳐서 16년 동안 1월의 용존산소가 가장 크게 감소(-1.
  • 삽교천 유역에 위치한 19개 수질관측지점의 월별 그리고 계절별 용존산소의 비모수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16년간(1995~2010)의 용존산소 자료를 월별(1, 2, 3, 4, 5, 6, 7, 8, 9, 10, 11, 12월) 및 계절별(봄, 여름, 가을, 겨울)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추세분석을 위하여 Mann-Kendall (Mann, 1945; Kendall, 1975)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 삽교천유역 내 각 수질관측지점의 월별 및 계절별 16년간의 용존산소 변화량을 파악하기 위해 Sen (1968)에 의해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각 월별, 계절별 용존산소의 연평균 변화량을 산정하고 이를 전체 분석기간(16년) 용존산소 변화량으로 환산하였다. 월별, 계절별 16년간의 평균 용존산소에 대한 용존산소 변화량의 비를 비교분석하였다(Table 3).

대상 데이터

  • 곡교천 5개 지류에 위치한 수질관측지점사이에 용존산소추세의 동질성분석을 위해 K21, K22, K23, K11 그리고 K31지점 등 7개 수질관측지점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Case 20). 월별 용존산소추세의 동질성분석에서 6월만이 90% 신뢰수준에서 동질성을 보이지 않았다.
  • 본 연구 대상유역인 삽교천 유역은 유역면적이 1,670 km2이고 유로연장 65 km이다. 삽교천유역은 크게 삽교천, 무한천, 곡교천수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역 내에는 예당저수지와 그 외 다수의 농업용 저수지가 있다.
  • 연구에 사용된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자료는 환경부에서 관리하는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로서 삽교천유역의 본류 및 지류에 위치한 19개 수질관측 지점의 월별자료이고, 자료기간은 1995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16년간의 자료이다. 본 연구를 위해 19곳의 수질관측 지점들을 선정하였다(Table 1). 계절별 분석을 위해 12월, 1월, 2월은 겨울철, 3월, 4월, 5월은 봄철, 6월, 7월, 8월은 여름철 그리고 9월, 10월, 11월은 가을철로 구분하였다.
  • 세 다른 지류(삽교천본류, 무한천, 곡교천) 사이에 용존산소추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삽교천본류 최하류에 위치한 S1지점, 무한천 최하류에 위치한 M5지점 그리고 곡교천 최하류에 위치한 K12지점을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Case 17). 수질관측지점간 월별 용존산소추세의 동질성분석에서 90% 신뢰수준에서 2월과 5월만이 동질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이외 다른 월에서는 동질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에 사용된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자료는 환경부에서 관리하는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로서 삽교천유역의 본류 및 지류에 위치한 19개 수질관측 지점의 월별자료이고, 자료기간은 1995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16년간의 자료이다. 본 연구를 위해 19곳의 수질관측 지점들을 선정하였다(Table 1).

데이터처리

  • 따라서 특정 지역(혹은 유역) 수질관측지점들의 수질추세의 동질성을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수질관측지점에서 관측된 용존산소추세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chi-square 통계량을 적용하였다.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전체 분석기간 동안 용존산소의 변화량을 판단하기 위해 Sen (1968)에 의해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였다. Sen (1968)은 자료의 오류나 또는 특이 값에 영향을 받지 않는 추세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Eq.
  • 삽교천유역 내 각 수질관측지점의 월별 및 계절별 16년간의 용존산소 변화량을 파악하기 위해 Sen (1968)에 의해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각 월별, 계절별 용존산소의 연평균 변화량을 산정하고 이를 전체 분석기간(16년) 용존산소 변화량으로 환산하였다.
  • 이를 위해 16년간(1995~2010)의 용존산소 자료를 월별(1, 2, 3, 4, 5, 6, 7, 8, 9, 10, 11, 12월) 및 계절별(봄, 여름, 가을, 겨울)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추세분석을 위하여 Mann-Kendall (Mann, 1945; Kendall, 1975)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Mann-Kendall 추세분석의 경우 국내외에서 수질 자료의 추세분석을 위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서 적용된 바 있다(Lee, 1995; Kahya and Kalayci, 2004; Daugney and Reeves, 2006; Tabari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 수질은 어떤 이유로 오염도가 증가하는가? 하천 수질은 도시화에 따른 인구증가와 산업 발달로 인해 오염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연중 강수현상의 변화로 인해 하천유출 특성이 달라지고, 이는 하천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하천유역의 수질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지점별 수질변화 추세의 동질성을 파악하는 것은 효율적 유역 수질관리를 위해 필요하다.
하천 수질이 오염되면서 어떤 것들이 필요한가? 또한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연중 강수현상의 변화로 인해 하천유출 특성이 달라지고, 이는 하천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하천유역의 수질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지점별 수질변화 추세의 동질성을 파악하는 것은 효율적 유역 수질관리를 위해 필요하다. 국외의 경우 과거 다수의 연구자들이 하천수질 추세분석과 관련하여 비모수분석을 실시한 바 있다(Lee, 1995; Robson and Neal, 1996; Hamill and McBride, 2003; Ravichandran, 2003; Kahya and Kalayci, 2004; Daugney and Reeves, 2006; Tabari et al.
삽교천유역의 수질관측 지점은 얼마나 지정했는가? 연구에 사용된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자료는 환경부에서 관리하는 물환경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로서 삽교천유역의 본류 및 지류에 위치한 19개 수질관측 지점의 월별자료이고, 자료기간은 1995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16년간의 자료이다. 본 연구를 위해 19곳의 수질관측 지점들을 선정하였다(Table 1). 계절별 분석을 위해 12월, 1월, 2월은 겨울철, 3월, 4월, 5월은 봄철, 6월, 7월, 8월은 여름철 그리고 9월, 10월, 11월은 가을철로 구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ang, H.J. (2008).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trends in the Han River basin, South Korea." Water Research, Vol. 42, pp. 3285-3304. 

  2. Chang, S.H., Park, J.W., Kim, K.S., Lee, H.J., Kim, H.G., and Rhew, D.H. (2010). "The assesment of water quality in Nam-Hangang basin using long-term trend statistic analysis of comprehensive water quality index."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Fall Joint Conference, pp. 543-544. 

  3. Cheng, B.Y., Liu, T.C., Shyu, G.S., Chang, T.K., and Fang, W.T. (2011). "Analysis of trends in water quality: constructed wetlands in metropolitan Taipei." Water Sci. Technol., Vol. 64, No. 11, pp. 2143-2150. 

  4. Darken, P.F. (1993). Testing for changes in trend in water quality data. Ph.D. Dissertatio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Virginia, U.S.A. 

  5. Daughney, C.J., and Reeves, R.R. (2006). "Analysis of temporal trends in New Zeland's groundwater quality based on data from the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programme." Journal of Judrology(NewZeland), Vol. 45, No. 1, pp. 41-62. 

  6. Hamill, K.D., and McBride, G.B. (2003). "River water quality trends and increased dairying in Southland, New Zealand."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Vol. 37, pp. 323-332. 

  7. Kahya, E., and Kalayci, S. (2004). "Trend analysis of streamflow in Turkey." Journal of Hydrology, Vol. 289, pp. 128-144. 

  8. Kendall, M.G. (1975). Rank correlation methods. Griffin, London. 

  9. Kim, H.-J, Yoon, K.-S., An, Y., and Lee, K.-S. (2004).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quality in lake Sapkyo." KCID J ., Vol. 11, No. 2, pp. 32-46. 

  10. Lee, S.-H. (1995). "A study of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s to analyze trend in water quality dat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ol. 4, No. 2, pp. 93-103. 

  11. Mann, H.B. (1945). Nonparametric tests against trend. Econometrica, Vol. 13, pp. 46-59. 

  12. Monteith, D.T., Evans, C.D., and Patrick, S. (2001). "Monitoring acid waters in the UK: 1988-1998 trend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Vol. 130, pp. 1307-1312. 

  13. Ravichandran, S. (2003). "Hydrological influences on the water quality trends in Tamiraparani basin, South India."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Vol. 87, pp. 293-309. 

  14. Robson, A.J., and Neal, C. (1996). "Water quality trends at an upward site in Wales, UK, 1983-1993." Hydrological Processes, Vol. 10, pp. 183-203. 

  15. Sen, P.K. (1968). "Estimate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based on Kendall's tau."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 63, pp. 1379-1389. 

  16. Simeonov, V., Stratis, J.A., Samara, C., Zachariadis, G., Voutsa, D., Anthemidis, Sofoniou, M., and Kouimtzis, Th. (2003). "Assessment of the surface water quality in Northern Greece."Water Research, Vol. 37, pp. 4119-4124. 

  17. Smith, D.G., McBride, G.B., Bryers, G.G., Wisse, J., and Mink, D.F. (1996). "Trends in New Zealand's national river water quality network."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Vol. 30, pp. 485-500. 

  18. Soulsby, C., Malcolm, R., Gibbins, C., and Dilks, C. (2001). "Seasonality, water quality trends and biological responses in four streams in the Cairngorm Mountains." Scotland, Hydrology and Earth Syatem Sciences, Vol. 5, No. 3, pp. 443-450. 

  19. Tabari, H., Marofi, S., and Ahmadi, M. (2008).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in the Maroon River, Iran." Environ. Monit. Assess., Vol. 177, No. 1-4, pp. 273-287. 

  20. van Belle, G., and Hughes, J.P. (1984). "Nonparametric tests for trend in water qualit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0, pp. 127-136. 

  21. Vega, M., Pardo, R., Barrado, E., and Deban, L. (1998). "Assessment of seasonal and polluting effects on the quality of river water by exploratory data analysis." Wat. Res., Vol. 32, No. 12, pp. 3581-3592. 

  22. Yi, H.-S., and Park, S.-Y. (2005). "Analysis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ant loads from forest in Yongdam watershe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Fall Joint Conference, pp. 506-509. 

  23. Yoon, J.H., Yoo, Y.B., and Lee, J.W. (2007). "Statistical analysis about water quality characteristic of lakes and rivers in the Geum River basin."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Fall Joint Conference, pp. 673-681. 

  24. Yu, J.-J., Shin, S.-H., Yoon, Y.-S., and Song, J.-K. (2010). "Long-term water quality trend analysis with NTrend 1.0 program in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26, No. 6, pp. 895-9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