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노유체 액적의 증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Evaporation of Nanofluid Droplet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B, v.37 no.7 = no.334, 2013년, pp.647 - 653  

김영찬 (안동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화구리(CuO) 나노분말과 순수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나노유체를 이용하여 가열된 고체표면에 있어서 나노유체 액적의 증발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가열된 표면에서 나노유체 액적의 증발속도는 순수 물 액적보다 증발속도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나노유체에 포함된 나노입자가 유체의 열전도도를 향상시켜 고체 표면에서 액적으로의 열전달이 촉진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체의 표면조도가 커질수록 액적의 증발속도가 약간 증가하였으며, 이는 고체의 표면조도가 커질수록 고체-액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열전달이 촉진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vaporation characteristics of nanofluid droplets on a heated solid surface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using pure water and a nanofluid of water mixed with CuO nanoparticles, and the solid surface was made of a copper block heated by a nine cartridge hea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단일액적(single droplet)에 대한 증발실험을 수행하여 분무냉각 열전달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분무냉각 열전달은 아주 작은 크기로 미립화한 액적을 이용하여 물체를 냉각시키는 기술이기 때문에 단일 액적의 증발거동(evaporation behavior)에 대한 정보가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순수 물과 나노유체의 단일액적(single droplet)에 대한 증발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냉각면의 표면조도와 접촉각 등이 액적의 증발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등과 상변화의 차이는 무엇인가? 증발을 이용한 냉각기술은 표면온도가 낮은 냉각물체에 적용할 수는 있지만 열전달계수가 비교적 낮아 강력하고 적극적인 냉각수단으로 활용할 수 없다. 비등(boiling)은 액체의 온도가 포화온도 이상에서 발생하며, 상변화는 주로 액체와 고온물체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핵비등영역에서는 고온물체로부터 큰 열유속(heat flux)을 얻을 수 있어 강력한 냉각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성능 전자장비에 요구되는 강력하고 효과적인 냉각기술로 만족되는 기술은 무엇인가? 최근 고성능 전자장비는 매년 성능과 속도가 빠르게 향상되고 있으나 이와는 반대로 장치의 부피와 크기는 점차 작아지고 있어 이와 같은 전자장비에 대한 강력하고 효과적인 냉각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액체의 증발 또는 비등과 같은 상변화 현상을 이용한 냉각기술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3) 특히 액체를 200㎛ 이하의 아주 작은 크기로 미립화하여 물체를 냉각시키는 분무냉각기술은 종래의 재료가공, 식품냉동, 소형열교환기 등의 분야는 물론이고 고밀도 전자장비, 생체용 극저온장치의 냉각 등 새로운 분야에의 적용을 목표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증발이란? 일반적으로 증발(evaporation)은 온도가 비교적 낮은 액체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상변화(phase change) 현상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증발을 이용한 냉각기술은 표면온도가 낮은 냉각물체에 적용할 수는 있지만 열전달계수가 비교적 낮아 강력하고 적극적인 냉각수단으로 활용할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Qu, W. and Mudawar, I., 2003, "Flow Boiling Heat Transfer in Two-Phase Micro-Channel Heat Sink," Int. J. of Heat & Mass Transfer, Vol. 46, pp. 2755-2771. 

  2. Kim, J. H., You, S. M. and Choi, U. S., 2004, "Evaporative Spray Cooling of Plain and Microporous Coated Surfaces," Int. J. of Heat & Mass Transfer, Vol. 47, pp. 3307-3315. 

  3. Hsieh, C. C. and Yao, S. C., 2006, "Evaporativ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 Water Spray on Micro-Structured Silicon Surfaces," Int. J. of Heat & Mass Transfer, Vol. 49, pp. 962-974. 

  4. Silk, Eric C., Kim, J. and Kiger, K., 2006, "Spray Cooling of Enhanced Surfaces (Impact of Structured Surface Geometry and Spray Axis Inclination)," Int. J. of Heat & Mass Transfer, Vol. 49, pp. 4910-4920. 

  5. Kim, Y. C. and Yun, S. M., 2007, "Study on Correlation of Droplet Flow rate and Film Boiling Heat Transfer in Spray Cooling," Trans. Korean Soc. Mech. Eng. B, Vol. 31-4, pp. 335-340. 

  6. Kim, Y. C., 2010, "Effects of Micro-fin structure on Spray Cooling Heat Transfer in Forced Convection and Nucleate Boiling Region," Trans. Korean Soc. Mech. Eng. B, Vol. 34-11, pp. 983-990. 

  7. Kim, Y. C., 2013, "Effects of Surface Roughness on Contact Angle of Nano-fluid Droplet," Trans. Korean Soc. Mech. Eng. B, Vol. 37-6, pp. 559-566. 

  8. Choi, U. S., 1995, "Enhancing Thermal Conductivity of Fluid with Nanoparticles," ASME FED, Vol. 231, pp. 99-1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