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원마을조성사업에 의한 귀촌형 공동체마을의 주민참여 계획과정 특성 - 남원시 작은마을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Planning Process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Community Village Construction by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olicy - Focused on the Jagun Maul of Namwon-city in Jeonbuk-do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4 no.3, 2013년, pp.135 - 147  

박경옥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이상운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류현수 (충북대학교 대학원 주거환경학 전공, 자담건설 부설 대안건축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roposal for the planning of the back-to-farming community village. For this study of a community village designed by residents, the information on th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the role of a coordinator in the whole planning process of the community villag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귀농·귀촌가구 가구수의 통계적 추이는? 귀농·귀촌가구는 2000년 1,000여 가구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1년부터 10,000가구를 넘어서고 있다. 2012년 귀농가구는 11,220가구(19,657명)로 전년보다 11.4% 증가하였으며 귀촌가구는 15,788가구(27,665명)로나타났다(통계청 보도자료, 2012.3.
전원마을조성사업으로 입주가 완료된 마을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kr)에 불과하여 마을 형성은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주목할 만한 점은 입주완료된 마을들이 계획공동체로 코하우징계획개념으로 접근한 마을들이어서(Park et al., 2011; Park, Lee, & Ryu., 2012) 이러한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민간 또는 사회적 기업이 적용하고 있는 코하우 징계획개념은 공동체성을 강조하면서, 마을형성 초기단계 부터 주민참여계획을 하고, 공동시설을 설치하여 이웃과 상호부조의 생활을 하는 마을로 건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농림수산식품부의 전원마을조성사업이 시행된 이유는? 귀농·귀촌가구는 개별적으로 농촌으로 이주하기보다는 유사한 동기를 가진 사람들이 공동으로 마을을 이루어 이주하는 것에 심리적 안정감을 느낀다. 농림수산식품부의 전원마을조성사업은 귀농·귀촌자가 마을형태로 이주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시행되었다. 최소 20호 이상의 가구로 사업이 추진되면 일정비용으로 마을진입도로, 상하수도, 전기 등 기반시설을 시 혹은 한국농어촌공사가 설치하므 로써 마을조성을 위한 토대를 갖추게 된다(한국농어촌공사 http://www.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농림수산식품부 (2009.9.7.). 농어촌정비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령안 입법예고. 보도자료. 

  2. 대안건축연구소, 인드라망생명공동체 (2012.11.). 지리산 작은마을 [소책자]. 서울. 

  3. 이소영 (2009). 인드라망 지금 여기의 에코토피아. 서울: 이매진. 

  4. 주거학연구회 (2000). 더불어 사는 삶 세계의 코하우징. 서울: 교문사. 

  5. 통계청 보도자료 (2012.3.28). 2012 귀농 귀촌인 통계. 통계 청>새소식>보도자료. 자료검색일 2013.4.25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 aSeq274126 

  6. 長谷川あみ湖.末包伸吾.安田丑作.栗山尙子.三輪康 一.三島史路 (2006). コ一ポラティブハウスにおける事業 プロセスとコ一ディネ一タ一の役割に關する硏究: コ一ディ ネ一タ一の提案と '自由設計' 'コミュニティ形成' の關 係に着目して. 日本建築學會 近畿支部究報告集 計畵系, 46, 29-32. 

  7. Cho, J., Choi, J., & Lee, J. (2011). Residents' participation workshop for the design of community facility on Beakhwa village. Proceeding of Spring Annual Conference of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1, 81-86. 

  8. Choi, J. (2008). Actual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participation of intentional communit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9(5), 93-102. 

  9. Choi, J. (2010). A case study on residents' involvement in Skarkall ecovillage in Swed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8(6), 19-34. 

  10. Jeong, J., Kim, K., Kang, B., & Lee, S. (2010). A Study on results and improvement method of advance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2(2), 125-133. 

  11. Kim, Y., & Park, J. (2009). A study on the rural village planning; focused on Juklim rural village in Boryeong city.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31(1), 127-142. 

  12. Na, H., & Cheon, D. (2007).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alysis of planning index in the ecovillage; Focusing on Ansolgi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6), 15-23. 

  13. Park, K., Lee, S., Hong, O., Lee, Y., & Li, W. (2011). A basic study on developing the back-to farm community village. Journal of Human Ecology, 15(2), 165-175. 

  14. Park, K., Lee, S., & Ryu. H. (2012).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village development by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olicy: Focu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with company operativ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3), 597-609. 

  15. Song, J. & Lee, H. (2012). A study on space organization of planned-ecovillage. Journal of the KIEAE, 12(5), 11-20. 

  16. 한국농어촌공사 http://www.ekr.or.kr/Kkrpub/cms/index. krc?MENUMST_ID11203 자료검색일 2013.4.26. 

  17. 웰촌 포탈>웰촌사업>농어촌지역개발사업 http://www. welchon.com/business/develop1_list.jsp?menuId 20090902000042# 자료검색일 2013.4.20 

  18. 인드라망 생명공동체 http://www.indramang.org/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