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칼륨 시비량에 따른 감나무 유목의 수체 부위별 무기원소 농도 및 과실 특성
Inorganic Element Concentrations in Different Organs of Young Persimmon Trees Received Different Levels of K Fertiliza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Fruit 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2 no.2, 2013년, pp.166 - 170  

최성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  박두상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  손지영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  박여옥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  홍광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단감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칼륨 시비방법이 감 재배 농업인들에 의해 시도되어 왔다. 본 시험은 칼륨 시비량이 단감나무의 부위별 무기원소 농도와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50 L 용기에서 재배한 6년생 '부유' 감나무에 7월부터 9월까지 3-4일 간격으로 염화칼륨을 사용하여 주당 K를 0(무시비구), 12, 25, 37, 66 g씩 관주하였는데, 무시비구는 시험 전 2년간도 K 비료를 공급하지 않았다. 11월에 잎, 과실, 신초 시료를 채취하여 조사하였다. 잎과 신초의 K 농도는 시비량 증가로 높아졌으며, 잎에서 변화가 특히 뚜렷하여 무시비구에서 0.49%였으나 37 g과 66 g 시비구에서 각각 3.09%과 3.11%로 높아졌다. 과실의 K 농도는 무시비구에서 현저히 낮았고 12 g 이상의 시비구들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무시비구의 나무는 6월부터 가장자리부터 잎맥이 검게 괴사하는 잎들이 나타났고 8월에는 일부 잎이 가장자리부터 말라서 말리기도 하였다. 과실 특성에 미치는 K 시비량의 가장 큰 효과는 과중에서 나타났는데, 무시비구에서 150 g이었으나 12 g 시비구에서 181g, 37 g 시비구에서는 203 g, 66 g 시비구에서는 206 g으로 증가하였다. 과실의 경도, 당도는 K 시비량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며 무시비구는 적색도가 특이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로 K 시비량에 대한 수체 부위별 반응이 다르며, K 시비량은 품질 요소 중 과실 크기에 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Persimmon growers have often tried various regimens of K fertilization to improve fruit quality.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K rates on concentration of inorganic elements in different tree organs and on fruit characteristics. METHODS AND RESULTS: Six-yea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감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칼륨 시비방법이 감 재배 농업인들에 의해 시도되어 왔다. 본 시험은 칼륨 시비량이 단감나무의 부위별 무기원소 농도와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50 L 용기에서 재배한 6년생 ‘부유’ 감나무에 7월부터 9월까지 3-4일 간격으로 염화칼륨을 사용하여 주당 K를 0(무시비구), 12, 25, 37, 66 g씩 관주하였는데, 무시비구는 시험 전 2년간도 K 비료를 공급하지 않았다.
  • 농촌진흥청에서는 K를 N 비료와 비슷한 양으로써 기비와 추비로 각각 50%씩 나누어 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NIAST, 1999), 시비 효과에 대한 근거가 없어 K 추비를 생략하거나 품질을 높이기 위해 과다하게 시용하는 농가가 드물지 않은 실정이다. 본 시험의 목적은 K 시비량이 수체 부위별 무기원소 농도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K 시비량 조절의 효과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나무의 안정된 수체 생장과 과실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환경 오염을 줄이는 방법은? 적절한 시비량 조절은 감나무의 안정된 수체 생장과 과실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환경 오염을 줄이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간주되어 왔다. 감 과원의 시비량은 수령 및 토양 분석 결과에 따라 달리하도록 제시되어 있으나(NIAST, 1999), 실제로는 나무의 세력, 착과량,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비량은 수령 및 토양 분석결과에 따라 달리하도록 제시되었지만,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것은? 적절한 시비량 조절은 감나무의 안정된 수체 생장과 과실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환경 오염을 줄이는 측면에서 중요하게 간주되어 왔다. 감 과원의 시비량은 수령 및 토양 분석 결과에 따라 달리하도록 제시되어 있으나(NIAST, 1999), 실제로는 나무의 세력, 착과량,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감은 떫은 감보다 과실 크기, 착색, 당도 등이 상품성을 크게 좌우하므로 이와 관련된 시비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 수확기에 서리 피해가 빈번한 만생종 ‘부유’ 과원에 추비로 시용하는 질소(N)와 칼륨(K) 시비량 조절에 대한 재배자들의 관심이 매우 높다.
단감이 떪은 감 보다 시비량 조절이 중요한 이유는? 감 과원의 시비량은 수령 및 토양 분석 결과에 따라 달리하도록 제시되어 있으나(NIAST, 1999), 실제로는 나무의 세력, 착과량,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단감은 떫은 감보다 과실 크기, 착색, 당도 등이 상품성을 크게 좌우하므로 이와 관련된 시비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 수확기에 서리 피해가 빈번한 만생종 ‘부유’ 과원에 추비로 시용하는 질소(N)와 칼륨(K) 시비량 조절에 대한 재배자들의 관심이 매우 높다. 질소 추비의 경우 시비량이 증가하면 감 과실은 성숙이 늦어져 착색과 당도가 낮아질 수 있고, 시비량이 적으면 과실 비대는 나쁘나 착색과 당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2002; Cho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ennett, W.F., 1993. Nutrient deficiencies and toxicities in crop plants, The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St. Paul, MN, USA. pp. 159-183. 

  2. Burrell, A.B., Boynton, D., 1943. Response of apple trees to potash in the Champlain Valley III, Proc. Amer. Soc. Hort. Sci. 42, 61-64. 

  3. Choi, S.T., Park, D.S., Kang, S.M., Cho, Y.C., 2010. Effect of fruit-load on the growth, absorption, and partitioning of inorganic nutrients in young 'Fuyu' persimmon trees, Sci. Hort. 126, 408-412. 

  4. Choi, S.T., Park, D.S., Kang, S.M., Kang, S.K., 2012. Influence of leaf-fruit ratio and nitrogen rate on fruit characteristics, nitrogenous compounds,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s in young persimmon trees, HortScience 47, 410-413. 

  5. Faust, M, 1989. Physiology of temperate zone fruit trees, Wiley & Sons Inc., NY, USA, pp. 95-97. 

  6. Fisher, E.G., Parker, K.G., Luepschen, N.S., Kwong, S.S., 1959. The influence of phosphorus, potassium, mulch, and soil drainage on fruit size, yield and firmness of the 'Bartlett' pear and on development of the fire blight disease, Proc. Amer. Soc. Hort. Sci. 73, 78-90. 

  7. Forshey, C.G., 1969. Potassium nutrition of deciduous fruits, HortScience 4, 39-41. 

  8. Mengel, K., 2007. Potassium, in: Barker, A.V., Pilbeam, D.J. (Eds), Handbook of plant nutrition,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p. 91-105. 

  9.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999. Fertilizer application recommendation for crops, NIAST, RDA, Suwon, Korea. p. 113. 

  10. Pacheco, C., Calouro, F., Santos, F., Vieira, S., Neves, N., Curado, F., Rodrigues, S., 2010. Influence of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ation on mineral composition of kiwifruit, Acta Hort. 868, 319-325. 

  11. Park, S.J., 2002. Effect of irrigation and N levels on fruit quality and nutrient distribution in 'Fuyu' persimmon tree parts during the final stages of fruit growth, J. Korean Soc. Hort. Sci. 43, 321-325. 

  12.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1. Standard agricultural manual-persimmon growing, RDA, Suwon, Korea. p. 147. 

  13. Rene, D., 1995. Mineral nutrition and fruit quality, Acta Hort. 383, 219-226. 

  14. Tehranifar, A., Tabar, S.M., 2009. Foliar application of potassium and boron during pomegranate (Punica granatum) fruit development can improve fruit quality, Hort. Environ. Biotechnol. 50, 191-196. 

  15. Wilkinson, B.G., 1958. The effect of the orchard factor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pples. II. The relationship between potassium and titratable acidity, and between potassium and magnesium, in the fruit, J. Hort. Sci. 33, 49-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