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Jaborandi extract와 Sorbitol이 구강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activity of jaborandi extract and sorbitol to oral microbe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3 no.3, 2013년, pp.517 - 523  

장종화 (한서대학교대학원 치위생학과) ,  유소연 (한서대학교대학원 치위생학과) ,  오태진 (선문대학교 제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jaborandi and sorbitol to various oral microbes. Methods : Jaborandi leaves contain pilocarpine. The conditions for extraction were optimized on the basis of substances, temperatures and pHs. Total pilocarpine cont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Jaborandi leaves에서 최적의 Pilocarpine 추출방법을 도출하고, 추출된 Pilocarpine과 Menthol 및 Sorbitol이 구강내 주요 세균 6종에 미치는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 즉, 현대인에게 흔히 발생되고 있는 치아우식병과 치주질환유발 세균뿐 만 아니라 고령화에 의해 구내염으로 불편감을 겪고 있는 환자에게서 발견되고 있는 Candida albicans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천연물 소재를 첨가한 구강용품 개발은 임상학적으로 의의가 깊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Jaborandi leaves을 이용하여 최적의 배합조건인 Pilocarpine 추출방법을 도출하고, Jaborandi extract인 Pilocarpine과 Menthol 및 Sorbitol이 구강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구강 용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기 위함이다.
  • 종합하면 본 연구는 구강건조증 치료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Pilocarpine을 천연물에서 얻기 위해 Jaborandi leaves을 여러 가지 조건으로 열수추출하여 최적의 조건을 파악하였고, 이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을 이용하여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구강용품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는데 의의가 깊다. 추후 연구에서는 현재 새롭게 소개되고 있는 초임계유출추출법이나 효소를 활용한 추출법을 시도해보고, 추출된 Pilocarpine을 껌이나 구강용품 개발에 활용하여 임상시험을 시도한 후 타액의 유동학적 특성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우식증의 가장 쉬운 예방법 중 하나는 무엇인가? 치아우식증은 인류에게서 가장 이환율이 높은 만성질환 중의 하나로 알려지고 있다. 이 질환의 가장 쉬운 예방법 중의 하나는 치아우식 원인 중의 주요 요인인 자당(Sucrose)의 섭취를 줄이는 것이지만, 현대의 식생활에서 Sucrose의 섭취를 막는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효를 거두지 못하는 실정이다. Sorbitol은 천연적으로 마가목(rowan), 배, 자두 등의 다양한 식물체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6탄당 당알코올로서18), Sorbitol의 감미도는 설탕의 60% 수준에 불과하나, 결정형의 경우 용해열이 –26.
구강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물질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현재 구강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물질로는 생리식염수, 중조수, 과산화수소수, 클로르헥시딘, 베타딘액, 니스타틴액 등을 이용하고 있으나, 비선호적인 맛, 치아와 혀의 착색, 희석 사용 시 유효기간 및 보관상 우려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1).
구강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물질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현재 구강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물질로는 생리식염수, 중조수, 과산화수소수, 클로르헥시딘, 베타딘액, 니스타틴액 등을 이용하고 있으나, 비선호적인 맛, 치아와 혀의 착색, 희석 사용 시 유효기간 및 보관상 우려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ung SH. The effects of essential oil mouthrinse on oral health in the community. J Dent Res 1986: 65; 162. 

  2. Berlin J. Biotechnology. Wikipedi: VCH; 1986: 629. 

  3. Chung HY, Kim HB. In vitro studies on the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m the cytotoxic and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thirteen kinds of herbal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0; 32(3): 699-705. 

  4. Masada Y. Peppermint oil. In Analysis of essential oils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ntry. Tokyo: Microkawa; 1975: 13. 

  5. Kim JH, Lee HJ. Production of monoterpenoid flavor compounds by suspension culture of peppermint cells. J Korean Agric Chem Soc 1992; 35(6): 443-8. 

  6. Sharafi SM, Rasooli I, Owlia P, Taghizadeh M, Astaneh SD. Chemical imposition of essential oils of Thymus and Mentha species and their antifungal activities. Molecules 2009; 14:238-49. 

  7. Schmidt E, Bail S, Buchbauer G, Stoilova I, Atanasova T, Stoyanova A, et al. Chemical composition, olfactory evaluation and antioxidant effects of essential oil from Mentha x piperita. Nat Prod Commun 2009; 4(8): 1107-12. 

  8. Sandhu SS, Abreu IN, Colombo CA, Mazzafera P. Pilocarpine content and molecular diversity in jaborandi. Sci Agric 2006; 63(5): 478-82. 

  9. Pinheiro CUB. Jaborandi (Pilocarpus sp., Rutaceae): a wild species and its rapid transformation into a crop. Econ Bot 1997; 51: 49-58. 

  10. Davies AN, Broadly K, Beighton D. Xerostomia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J Pain Symp Manag 2001; 22: 820-5. 

  11. Wiseman LR, Faulds D. Oral pilocarpine: a review of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clinical potential in xerostomia. Drugs 1885; 45: 143-55. 

  12. O'Connell AC, Pearson SK, Bowen WH. Pilocarpine alters caries development in partially-desalivated rats. J Dent Res 1994; 73:637-43. 

  13. Davies AN, Daniels C, Pugh R, Sharma K. A comparison of artificial saliva and pilocarpine in radiation induced xerostomia. J Laryngol Otol 1994; 108: 663-5. 

  14. Kim JH, Park JH, Kwon JS, Ahn HJ. Effect of pilocarpine mouthwash on xerostomia. Korean J Oral Medicin 2012; 36(1):21-4. 

  15. Park MH, Yoo YS. Pilocarpine mouth care for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6; 13(2):217-24. 

  16. Park MS, Lee SW, Chung SC, Kim YK, Yum KW. The effect of pilocarpine-containing chewing gum on anti-microbial components in whole saliva of xerostomic patients. Korean J Oral Medicine 1999; 24(4): 347-59. 

  17. Lee SK, Hyun KY, Lee SW.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ilocarpine in xerostimia accounting to the method of admistration. Korean J Oral Medicin 1999; 19(2):29-45. 

  18. Heaton K, Robinson F, Lewin M. Sorbitol. Int J Food Sci Technol 1980; 13: 157. 

  19. Baik SH. The effects of xylitol and sorbitol on oral health and xerostomia in Korean elderly[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 of Ewha Womans; 2004. 

  20. Cho GS, Jang JH. Clinical predictors related to oral health in elderly for visiting healthcare.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6): 983-90. 

  21. Groppo M, Pirani JR, Salatino MLF, Blanco SR. Phylogeny of Rutaceae based on two noncoding regions from cpDNA. Am J Bot 2008; 95: 985-1005. 

  22. Skorup LA. Revisa8o taxonoomica de Pilocarpus Vahl (Rutaceae) [Doctoral dissertation]. Institute of Biosciences(Sa8o Paulo): Univ. of Sa8o Paulo, 1996. 

  23. Joseph CJ. Revisao sistematica do genero pilocarpus (ssp. brasileiras). Mecanica Popular. Rio de Janeiro:Outubro; 1967;1-9. 

  24. Holmstedt B, Wassen SH, Schultes RE. Jaborandi: an interdisciplinary appraisal. J Ethnopharmacol 1979; 1(1): 3-21. 

  25. Abreu IN de, Sawaya ACHF, Eberlin MN, Mazzafera P. Production of pilocarpine in callus of jaborandi (Pilocarpus microphyllus Stapf). In Vitro Cell Dev Biol Plant 2005; 41(6):806-11. 

  26. Avancini G, Abreu IN, Saldana MDA, Mohamed RS, Mazzafera P. Induction of pilocarpine formation in Jaborandi leaves by salicylic acid and methyljasmonate. Phytochemistry 2003; 63:17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