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용암동굴 대섭이굴 미생물 막의 독특한 원핵미생물 군집
A Unique Prokaryotic Assemblage of Wall Biofilm of a Volcanic Cave (Daesubee) in Jeju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9 no.2, 2013년, pp.184 - 190  

문종근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정만영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김종걸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박수제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  김대신 (한라산 연구소) ,  김종식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  이성근 (충북대학교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굴환경은 표면 토양환경과는 다른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주도 용암동굴(대섭이굴)의 생물막(biofilm)으로부터 얻은 시료를 pyrosequencing 기술을 통해 16S rRNA 유전자를 증폭하여 세균과 고세균의 군집을 조사하였다. 생물막에 우점하는 세균은 Actinobacteria문(phylum)의 Pseudonocardia mongoliensis (전체 세균 reads수의 82.5%)와 깊은 근연관계가 있었으며, 동굴유래의 다양한 세균들과 같이 무리(cluster)를 형성하였다. 동굴 벽면에 빛을 조사하였을 때 반사되어 빛나는 것은 아마도 방선균의 균사(hypha)들로 이루어진 생물막이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우점하는 고세균은 Thaumarchaeota문의 I.1a-Associated group (전체 archaeal reads수의 약 66%)에 속한다. 이 고세균 염기서열은 산성 환경(약 pH 5.0)에서 암모니아를 산화하는 고세균으로 알려진 Candidatus Nitrosotalea devanaterra와 높은 근연관계에 있어 동굴환경에서의 질산화에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표층수가 용암토양을 투과하는 과정에서 침출(Leaching)되는 영양분이 대섭이굴 벽면에 다양성이 낮은 독특한 미생물 군집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ve environment provides special ecosystems for evolution of lives distant from surface environments. We investigated bacterial and archaeal communities of wall biofilm obtained from of a volcanic cave (Daesubee) in Jeju, Republic of Korea. Bacterial and archaeal 16S rRNA genes were PCR-amplifie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본 연구는 이러한 대섭이굴 표면에 형성 된 미생물 막의 특성을 관찰하고자 분자생태학적인 기법(16S rRNA 유전자의 PCR 증폭 및 pyrosequencing 기술)을 이용하여 세균 및 고세균의 군집조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대섭이굴은 비교적 지상으로부터 얕은 깊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강우에 의해 지상으로부터 각종 무기물과 유기물 등을 포함한 물질들이 침출을 통해 굴의 벽 안 쪽으로 스며들어 벽 표면까지 확산 될 것이라고 추정한다. 대섭이굴 탐사과정에서 동굴 벽면에 빛을 조사했을 때 특이하게도 백색의 생물막에서 빛이 반사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굴환경은 어떤 생태계인가? 동굴환경은 빛이 없는 환경이며 지상으로부터 격리되어 생명체의 진화가 일어나고 있는 독특한 육상 생태계이다. 국외에서는 동굴지역의 다양한 물리화학적 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독특한 미생물 생태계에 대해서 보고되고 있다(Chen et al.
동굴환경 중 환원된 황 및 질소 등이 존재하는 지역은 어떤 생태계를 이루는가? , 2013). 특히 미생물의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는 물질들인 환원된 황 및 질소(H2S, NH3) 등이 존재하는 지역은 화학무기영양(Chemolithotroph) 세균에 의해 생태계의 일차생산이 일어나는 독특한 미생물 생태계가 생성되기도 한다(Northup et al., 2011; Borsodi et al.
국내에 있는 동굴의 주류를 이루는 것은 어떤 형태인가? , 2013). 국내에도 다양한 요인에 의해 생성된 많은 형태의 동굴들이 존재하며, 그 중 대부분은 석회동굴이다. 하지만 제주도는 화산활동으로 인해 생성된 섬이며 용암의 작용으로 생성된 동굴들이 다수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ra, I., Tsetseg, B., Daram, D., Suto, M., and Ando, K. 2011. Pseudonocardia mongoliensis sp. nov. and Pseudonocardia khuvsgulensis sp. nov., isolated from soil. Int. J. Syst. Evol. Microbiol. 61, 747-756. 

  2. Borsodi, A.K., Knab, M., Krett, G., Makk, J., Marialigeti, K., Eross, A., and Madl-Szonyi, J. 2012. Biofilm bacterial communities inhabiting the cave walls of the buda thermal karst system, hungary. Geomicrobiol. J. 29, 611-627. 

  3. Brochier-Armanet, C., Boussau, B., Gribaldo, S., and Forterre, P. 2008. Mesophilic Crenarchaeota: proposal for a third archaeal phylum, the Thaumarchaeota. Nat. Rev. Microbiol. 6, 245-252. 

  4. Canveras, J.C., Sanchez-Moral, S., Soler, V., and Saiz-Jimenez, C. 2001. Microorganisms and microbially induced fabrics in cave walls. Geomicrobiol. J. 18, 223-240. 

  5. Chelius, M.K. and Moore, J.C. 2004.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Archaea and Bacteria in wind cave, South Dakota. Geomicrobiol. J. 21, 123-134. 

  6. Chen, Y., Wu, L., Boden, R., Hillebrand, A., Kumaresan, D., Moussard, H., Baciu, M., Lu, Y., and Colin Murrell, J. 2009. Life without light: microbial diversity and evidence of sulfur- and ammonium-based chemolithotrophy in Movile Cave. ISME J. 3, 1093-1104. 

  7. Clark, W.B., Lane, M.D., Beem, J.E., Bragg, S.L., and Wheeler, T.T. 1985. Relative hydrophobicities of Actinomyces viscosus and Actinomyces naeslundii strains and their adsorption to saliva-treated hydroxyapatite. Infect. Immun. 47, 730-736. 

  8. Cole, J.R., Chai, B., Farris, R.J., Wang, Q., Kulam-Syed-Mohideen, A.S., McGarrell, D.M., Bandela, A.M., Cardenas, E., Garrity, G.M., and Tiedje, J.M. 2007. The ribosomal database project (RDP-II): introducing myRDP space and quality controlled public data. Nucleic Acids Res. 35, D169-172. 

  9. Ding, H. and Lammler, C. 1992. Cell surface hydrophobicity of Actinomyces pyogenes determined by hexadecane adherence- and salt aggregation studies. Zentralb.l Veterinarmed. B 39, 132-138. 

  10. Edgar, R.C., Haas, B.J., Clemente, J.C., Quince, C., and Knight, R. 2011. UCHIME improves sensitivity and speed of chimera detection. Bioinformatics 27, 2194-2200. 

  11. Gonzalez, J., Portillo, M.C., and Saiz-Jimenez, C. 2006. Metabolically active Crenarchaeota in Altamira Cave. Naturwissenschaften 93, 42-45. 

  12. Good, I.J. 1953. The population frequencies of species and the estimation of population parameters. Biometrika 40, 237-264. 

  13. Groth, I., Schumann, P., Laiz, L., Sanchez-Moral, S., Canaveras, J.C., and Saiz-Jimenez, C. 2001. Geomicrobiological study of the Grotta dei Cervi, Porto Badisco, Italy. Geomicrobiol. J. 18, 241-258. 

  14. Jung, M.Y., Park, S.J., Min, D., Kim, J.S., Rijpstra, W.I., Sinninghe Damste, J.S., Kim, G.J., Madsen, E.L., and Rhee, S.K. 2011. Enric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n autotrophic ammonia-oxidizing archaeon of mesophilic crenarchaeal group I.1a from an agricultural soil. Appl. Environ. Microbiol. 77, 8635-8647. 

  15. Kim, J.G., Jung, M.Y., Park, S.J., Rijpstra, W.I., Sinninghe Damste, J.S., Madsen, E.L., Min, D., Kim, J.S., Kim, G.J., and Rhee, S.K. 2012. Cultivation of a highly enriched ammonia-oxidizing archaeon of thaumarchaeotal group I.1b from an agricultural soil. Environ. Microbiol. 14, 1528-1543. 

  16. Kim, G.J., Park, S.J., Cha, I.T., Kim, S.J., Kim, K.H., Yang, E.J., Kim, Y.N., Lee, S.H., and Rhee, S.K. 2013. Unveiling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planktonic bacteria and archaea in a Polynya in Amundsen Sea, Antarctica. in review. 

  17. Lee, J.H., Yi, H., Jeon, Y.S., Won, S., and Chun, J. 2012. TBC: a clustering algorithm based on prokaryotic taxonomy. J. Microbiol. 50, 181-185. 

  18. Lehtovirta, L.E., Prosser, J.I., and Nicol, G.W. 2009. Soil pH regulates the abundance and diversity of Group 1.1c Crenarchaeota. FEMS Microbiol. Ecol. 70, 367-376. 

  19. Lehtovirta-Morley, L.E., Stoecker, K., Vilcinskas, A., Prosser, J.I., and Nicol, G.W. 2011. Cultivation of an obligate acidophilic ammonia oxidizer from a nitrifying acid soil. Proc. Natl. Acad. Sci. USA 108, 15892-15897. 

  20. Leininger, S., Urich, T., Schloter, M., Schwark, L., Qi, J., Nicol, G.W., Prosser, J.I., Schuster, S.C., and Schleper, C. 2006. Archaea predominate among ammonia-oxidizing prokaryotes in soils. Nature 442, 806-809. 

  21. Northup, D.E., Melim, L.A., Spilde, M.N., Hathaway, J.J., Garcia, M.G., Moya, M., Stone, F.D., Boston, P.J., Dapkevicius, M.L., and Riquelme, C. 2011. Lava cave microbial communities within mats and secondary mineral deposits: implications for life detection on other planets. Astrobiology 11, 601-618. 

  22. Ovreas, L., Forney, L., Daae, F.L., and Torsvik, V. 1997. Distribution of bacterioplankton in meromictic Lake Saelenvannet, as determin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of PCR-amplified gene fragments coding for 16S rRNA. Appl. Environ. Microbiol. 63, 3367 -3373. 

  23. Oyvind, H., Harper, D.A.T., and Ryan, P.D. 2001. Past: paleontological statistics software package for education and data analysis. Palaeontologia Electronica. 4, 9. 

  24. Park, S.-J., Park, B.-J., and Rhee, S.-K.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archaeal 16S rRNA and amoA genes to estimate the abundance and diversity of ammonia-oxidizing archaea in marine sediments. Extremophiles 12, 605-615. 

  25. Pasic, L., Kovce, B., Sket, B., and Herzog-Velikonja, B. 2010. Diversity of microbial communities colonizing the walls of a Karstic cave in Slovenia. FEMS Microbiol. Ecol. 71, 50-60. 

  26. Portillo, M.C., Gonzalez, J.M., and Saiz-Jimenez, C. 2008. Metabolically active microbial communities of yellow and grey colonizations on the walls of Altamira Cave, Spain. J. Appl. Microbiol. 104, 681-691. 

  27. Qian, P.Y., Wang, Y., Lee, O.O., Lau, S.C., Yang, J., Lafi, F.F., Al-Suwailem, A., and Wong, T.Y. 2011. Vertical stratific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Red Sea revealed by 16S rDNA pyrosequencing. ISME J. 5, 507-518. 

  28. Rhee, S.K., Liu, X., Wu, L., Chong, S.C., Wan, X., and Zhou, J. 2004. Detection of genes involved in biodegradation and biotransformation in microbial communities by using 50-mer oligonucleotide microarrays. Appl. Environ. Microbiol. 70, 4303-4317. 

  29. Schloss, P.D., Westcott, S.L., Ryabin, T., Hall, J.R., Hartmann, M., Hollister, E.B., Lesniewski, R.A., Oakley, B.B., Parks, D.H., Robinson, C.J., and et al. 2009. Introducing mothur: open-source, platform-independent, community-supported software for describing and comparing microbial communities. Appl. Environ. Microbiol. 75, 7537-7541. 

  30.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and Kumar, S. 2011.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31. Tetu, S.G., Breakwell, K., Elbourne, L.D., Holmes, A.J., Gillings, M.R., and Paulsen, I.T. 2013. Life in the dark: metagenomic evidence that a microbial slime community is driven by inorganic nitrogen metabolism. ISME J. 7, 1227-1236. 

  32. Vickerman, M.M., Brossard, K.A., Funk, D.B., Jesionowski, A.M., and Gill, S.R. 2007. Phylogenetic analysis of bacterial and archaeal species i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endodontic infections. J. Med. Microbiol. 56, 110-1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