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 사무직근로자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정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우울 및 건강관련 삶의 질 변화
Changes in job stress, self-efficacy,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gre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for white-collar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6, 2013년, pp.2935 - 2944  

고대식 (금호타이어 재활센터) ,  이동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고태성 (대원과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반 사무직근로자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정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우울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광주광역시 D보건소와 D구청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중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발적으로 조사에 응한 83명 중 응답이 불충분한 근로자 3명을 제외한 80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실험 결과 근골격계 자각증상 정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우울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을 제외한 우울,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일반 사무직 근로자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우울 및 건강관련 삶의 질 요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근골격계 장애에 따른 불안전한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우울 및 건강관련 삶의 질의 개선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evaluate job stress, self-efficacy,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musculoskeletal symptoms of the ordinary white-collar worke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3 workers who were working D Health Center and Dgu offic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무직근로자를 대상으로 근골격계 자각증상 정도에 따라 우울, 직무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변화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일반 사무직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외에서 업무상 질병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질환은 무엇인가? 근골격계 질환은 국내외에서 업무상 질병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각 국가에서는 근골격계 질환을 관리하기 위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동안 수행된 근골격계 질환은 대부분 업무와 관련된 직업적 요인이 유발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에 집중되어 왔다[1].
지금까지 수행된 근골격계 질환은 무엇에 집중되어 왔는가? 근골격계 질환은 국내외에서 업무상 질병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각 국가에서는 근골격계 질환을 관리하기 위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동안 수행된 근골격계 질환은 대부분 업무와 관련된 직업적 요인이 유발하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에 집중되어 왔다[1]. 그러나 최근 직무스트레스, 우울 등의 심리적 요인이 근골격계 질환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이 발표되면서 심리적 요인과 근골격계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2].
우울증을 가진 근로자가 근골격계 질환 증상을 더 심하게 인지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할 수 있는 우울증은 흔히 신체장애를 동반하므로 우울증을 가진 근로자는 근골격계질환 증상을 더 심하게 인지할 수 있다[6]. 근골격계 질환은 근육, 뼈, 신경, 인대, 관절, 연골 등에서 발생하는 만성적 손상 또는 장애로 작업 때문에 발생되거나 악화되며, 우리나라의 작업과 관련된 질환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NRC(National Research Counci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 review of the evidenc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998. 

  2. W. F. Stewart, J. A. Ricci, E. Chee, S. R. Hahn, & D. Morganstein, "Cost of lost productive work time among US workers with depression", JAMA, Vol.289, No.23, pp.3135-3144, 2003. DOI: http://dx.doi.org/10.1001/jama.289.23.3135 

  3. G. E. Simon, C. Barber, H. G. Birnbaum, R. G. Frank, P. E. Greenberg, R. M. Rose, P. S. Wang, & R. C. Kessler, "Depression and work productivity: the comparative costs of treatment versus nontreatment", J Occup Environ Med, Vol.43, No.1, pp.2-9, 2001. DOI: http://dx.doi.org/10.1097/00043764-200101000-00002 

  4. J. M Woo, "The effectiveness of employee assistance program", Abstract on 2005 spring meeting for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stress. Seoul, Korea, pp.32-37, 2005. 

  5. W. F. Stewart, J. A. Ricci, E. Chee, S. R. Hahn, & D. Morganstein, "Lost productive work time costs from health condition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American Productivity Audit", J Occup Environ Med, Vol.45, No.12, pp.1234-1246, 2003. DOI: http://dx.doi.org/10.1097/01.jom.0000099999.27348.78 

  6. E. Haukka, P. Leino-Arjas, A. Ojajarvi, E. P. Takala, E. V. Juntura, & H. Riihimaki, "Mental stress and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in relation to multiple-site musculoskeletal pain: A longitudinal study of kitchen workers", Eur J Pain, Vol.15, No.4, pp.432-438, 2011. DOI: http://dx.doi.org/10.1016/j.ejpain.2010.09.005 

  7. A. L. Cohen, C. C. Gjessing, L. J. Fine, B. P. Bernard, & J. D. McGlothlin, "Elements of ergonomics programs: a primer based on workplace evaluation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Cincinnati(O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pp.3-4, 1997. 

  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statistics of industrial accidents, Gwacheon: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09. 

  9. L. Korpinen, R. Paakkonen, & F. Gobba, "White-collar workers' self-reported physical symptoms associated with using computers", Int J Occup Saf Ergon, Vol.18, No.2, pp.137-147, 2012. 

  10. M. S. Kerr, J. W. Frank, H. S. Shannon, R. W. Norman, R. P. Wells, W. P. Neumann, & C. Bombardier, "Biomechan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low back pain at work", Am J Public Health, Vol.91, No.7, pp.1069-1075, 2001. DOI: http://dx.doi.org/10.2105/AJPH.91.7.1069 

  11. L. M. Hannan, C. P. Monteilh, F. Gerr, D. G. Kleinbaum, & M. Marcus, "Job strain and risk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a prospective cohort of occupational computer us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Vol.31, No.5, pp.375-386, 2005. DOI: http://dx.doi.org/10.5271/sjweh.921 

  12. P. Leino, & G. Magni, "Depressive and distress symptoms as predictors of low back pain, neck-shoulder pain, and other musculoskeletal morbidity: a 10-year follow-up of metal industry employees", Pain, Vol.53, No.1, pp.89-94, 1993. DOI: http://dx.doi.org/10.1016/0304-3959(93)90060-3 

  13. A. Iacovides, K. N. Fountoulakis, S. Kaprinis, & G. Kaprini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clinical depression", J Affect Disord, Vol.75, No.3, pp.209-221,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165-0327(02)00101-5 

  14.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 Rev, Vol.84, No.2, pp.191-215, 1977. DOI: http://dx.doi.org/10.1037/0033-295X.84.2.191 

  15. G. Hackett, & R. W. Lent, Theoretical advances and current inquiry in career psychology,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New York: Wiley, pp.419-452, 1992. 

  16. J. Stanislavoviene, B. Pajarskiene, R. Jankauskas, & M. Veniute, "The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related to depression among female white-collar workers in Vilnius (Lithuania)", Int J Occup Med Environ Health, Vol.24, No.2, pp.166-176, 2011. DOI: http://dx.doi.org/10.2478/s13382-011-0018-y 

  17. C. S. McPhee, & H. J. Lipscomb, "Upper-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physic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employed in poultry processing and other low-wage jobs in northeastern North Carolina", Am J Ind Med, Vol.52, No.4, pp.331-340, 2009. DOI: http://dx.doi.org/10.1002/ajim.20687 

  18. D. T. Fullerton, R. F. Harrey, M. H. Klein, & T. Howell, "Psychiatric disorders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Arch Gen Psychiatry, Vol.38, No.12, pp.1369-1371, 1981. DOI: http://dx.doi.org/10.1001/archpsyc.1981.01780370071010 

  19. E. H. Lee, H. C. Kim, D. Y. Jung, D. H, Kim, J. H. Leem, S. G. Park, "Association between job-stress and VDT work,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neck and shoulder among white-collar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9, No.3, pp.187-195, 2007. 

  20. S. G. Park, H. J. Chae, J. Y. Shin, D. Y. Jung, Y. K. Kim, T. J. Jung, J. H. Leem, H. C. Kim, Y. C. Lee, "lationship of burdened work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mall-to-medium-sized enterpris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8, No.1, pp.59-66, 2006. 

  21. Ministry of Labor (MOL). Notification No. 2003-24, Rang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MOL, 2003. Available: http://www.kosha.net/shdb/law/view.jsp [cited 20 May 2006]. 

  22.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health hazard National Research Counci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Reports. workshop summary and workshop paper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evaluation report. NIOSH report No. PB 93-188-456, 1993. 

  23. Y. C. Kim, & C. H. Bae,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Job Stress in Heavy Industry",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21, No.4, pp.108-113, 2006. 

  24. S. J. Jang, S. B. Koh, D. M. Kang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Korean J Occup Eviron Med, Vol.17, No.4, pp.297-317, 2005. 

  25. M. N. E. Sherer, B. Maddux, S. Mercandante, Prentice-Dunn, & B. Jacob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 Rep, Vol. 51, No.2, pp.663-671, 1982. DOI: http://dx.doi.org/10.2466/pr0.1982.51.2.663 

  26. H. Y. Hong, The Relationships of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Depression, Ewha Womans University, 1995. 

  27. L. S. Radloff,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 Psychol Meas, Vol.1, No.3, pp.385-401, 1977. DOI: http://dx.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8. M. J. Cho, K. H. Kim,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32, No.3, pp.381-399, 1993. 

  29. J. E. Ware Jr, & C. D. Sherbourne,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 care, Vol.30, No.6, pp.473-483, 1992. DOI: http://dx.doi.org/10.1097/00005650-199206000-00002 

  30. S. Y. Park, J. K. Kim,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Using SF-36", KSOT, Vol.16, No.2, pp.73-89, 2008. 

  31. J. J. Chung, "Condition of female clerical worker's health: the cas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J Korean Womens Stud, Vol.18, No.1, pp.143-66, 2002. 

  32. E. C. Lee, H. C. Kim, D. Y. Jung, D. H. Kim, J. H. Leem, & S. G. Park, "Association Between Job-Stress and VDT Work,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Neck and Shoulder Among White-Collar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9, No.3, pp.187-195, 2007. 

  33. C. J. Murray, & A. D. Lopez, "Alternative projections of mortality and disability by cause 1990-2020: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Lancet, Vol.349, No.9064, pp.1498-1504, 1997.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96)07492-2 

  34. K. Wada, T. Sairenchi, Y. Haruyama, H. Taneichi, Y. Ishikawa, & T. Muto, "Relationship between the Onset of Depression and Stress Response Measured by the Brief Job Stress Questionnaire among Japanese Employees: A Cohort Study", PLoS One, Vol.8, No.2, pp.1-7, 2013. DOI: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56319 

  35. M. O. Gu, "A Study of the Relationship among Self Efficacy, Self Regulation, Situational Barriers and Self Care Behavior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 Korean Acad Nurs, Vol.24, No.4, pp.635-651, 1994. 

  36. B. Resnick, "A Longitudinal Analysis of Efficacy Expectation and Excercise in Older Adults", Res Theory Nurs Pract, Vol.18, No.4, pp.331-343, 2004. DOI: http://dx.doi.org/10.1891/rtnp.18.4.331.64093 

  37. D. H. Jang, "Self-efficacy is an effect modifier on the association between Job-stress and Depression scores", Catholic University, 2007. 

  38. M. J. Kang, W. M. Jeong, & J. W. Koo, "The factor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of occupational therapists", J Korean Society Occup Ther, Vol.15, No.2, pp.117-128, 2007. 

  39. B. R. da Costa, & E. R. Vieira,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recent longitudinal studies", Am J Ind Med, Vol.53, No.3, pp.285-323, 2010. DOI: http://dx.doi.org/10.1002/ajim.20750 

  40. H. C. Kim, K. S. Kwon, D. H. Koh, J. H. Leem, S. G. Park, J. Y. Shin, Y. C. Lee, & Y. K.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18, No.1, pp.25-34, 2006. 

  41. K. Chikuji, M. Motoyama, H. Ohto, T. Morita, Y. Sunami, M. Tanaka, & M. Shindo, "The effects of low intensity aerobic training on the physiological indexes and the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hite collar workers", Sangyo Eiseigaku Zasshi, Vol.41, No.3, pp.63-71, 1999. 

  42. A. Ozcan, Z, Tulum, & A. K. Bacakoglu,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functional status measurements in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Acta Orthop Traumatol Turc, Vol.37, No.3, pp.219-225, 2003. 

  43. R. G. Robinson, S. K. Schultz, C. Castillo, T. Kopel, J. T. Kosier, R. M. Newman, K. Curdue, G. Petracca, & S. E. Starkstein, "Nortriptyline versus fluoxetine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nd in short-term recovery after stroke: a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study", Am J Psychiatry, Vol.157, No.3, pp.351-359, 2000. DOI: http://dx.doi.org/10.1176/appi.ajp.157.3.3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