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존 공법 적용을 위한 나노영가철의 대수층 내 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the Transport of Zero-Valent Iron Nanoparticles in an Aquifer for Application of Reactive Zone Technology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8 no.3, 2013년, pp.109 - 118  

김철용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안준영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휭 뚜안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김홍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자원순환연구단) ,  전성천 ((주)지오그린21) ,  황인성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 of zero-valent iron nanoparticles (nZVI) in an aquifer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an application of nZVI-based reactive zone technology. Main flow direction of groundwater was north. Preferential flow paths of the groundwater identified by natural gradient trac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나노영가철의 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실내 규모의 컬럼을 이용한 연구에 국한된 편이고, 특히 국내에서는 나노영가철의 현장 적용 사례가 미비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노영가철 슬러리를 오염 대수층에 주입하여 일정 구역 내에 분포시킴으로써 기존 오염물질과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인 반응존(reactive zone) 공법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실제 대수층에서의 나노영가철의 이동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충분한 범위의 반응존을 형성하기 위하여 위에서 언급한 나노영가철 중 PAA로 표면개질하여 안정성을 높인 주입 매질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나노영가철의 자연 대수층 내 이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추적자 시험과 나노영가철 주입 실험을 동일 연구지역에서 수행하였고, 두 결과를 비교하여 용존 물질에 대한 나노영가철의 이동 특성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여과이론을 적용하여 나노영가철의 이동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실제 오염 대수층의 지중처리 공법 적용 시 오염물질 저감이 가능한 영향반경을 산정하였다.
  • 사용된 나노영가철은 상업용으로 판매되는 Nanofer25S(Nanoiron, Czech)이며, 주입 직전 제조한 것을 구매하여 시효의 영향을 최소화하였다. 연구 지역의 지하수와 토양을 사용하여 기 수행한 실내 컬럼 실험에서 5 g/L의 나노영가철을 주입하였을 때 이송이 원활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실제 대수층임을 감안하여 2.5 g/L를 주입하여 이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Le, 2012). 연구 지역 인근의 상수도에서 300 L의 시험용수를 확보하였으며 저장조 하부에 설치된 산기관을 통해 질소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용수 내 용존산소를 제거하였다.

가설 설정

  • 4. (a) Estimated nZVI concentration distribution between IW and MW5, (b) Estimated time for degrading 99% of TCE at each point.
  • 여과이론이 1차원의 이류를 입자의 주요 이송요인으로 고려하여 이동 특성을 기술하기 때문에 이류에 의한 나노영가철의 이동이 가장 큰 것으로 관측되었던 MW5의 자료를 해석하였다. IW와 MW5를 잇는 직선을 하나의 컬럼으로 가정하고 Table 2의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부착효율을 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여러 컬럼 실험의 결과와 함께 Tabel 5에 제시하였다. 제시한 참고문헌의 실험은 서로 다른 조건에서 수행되었으며 각 매개변수의 변화에 따른 부착효율의 값을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 4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TCE를 한정반응물로 가정하였고 분해율은 99%로 계산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영가철의 표면 개질에 사용되는 유기물로는 어떤 것들이 제안되었는가? , 2009). 표면 개질에 사용되는 유기물로서 PAA(poly acrylic acid), CMC(carboxymethyl cellulose) 등의 고분자 유기물이 제안되었으며, 이와 같은 유기물들이 나노영 가철 입자간의 응집을 줄이고 토양입자와의 인력을 감소 시켜 토양 매질 내에서 쉽게 여과되지 않도록 한다(He et al., 2007; Jiemvarangkul et al.
본 논문에서 추적자 시험의 추적물질은 무엇을 사용하였는가? 추적자 시험은 강우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건기인 2012년 4월에 수행하였다. 추적물질은 브롬 이온으로 NaBr(99%+, Junsei Chemical)을 사용하였다. 검출 한계를 상회하는 농도이력곡선을 도출할 수 있으면서 고농도로 인한 밀도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농도라고 판단되는 1,200 mg/L를 주입 농도로 결정하여 시험 지역 인근에서 양수된 지하수로 총 65 L의 추적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나노영가철의 표면 개질은 어떤 방법인가? 이전 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순수 나노영가철 입자는 안정성과 이동성이 낮아 대수층 내에 원활하게 분포시키기 어려웠으므로, 입자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표면 개질한 나노영가철의 연구가 이루어졌다(Crane and Scott, 2012). 나노영가철의 표면 개질은 입자 표면을 유기물 등으로 코팅함으로써 electrosteric repulsion을 증가시켜 콜로이드 안정성을 개선하는 방법이다(He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nold, W.A. and Roberts, A.L., 2000, Pathways and kinetics of chlorinated ethylene and chlorinated acetylene reaction with Fe (0) particles, Environ. Sci. Technol., 34(9), 1794-1805. 

  2. Berge, N.D. and Ramsburg, C.A., 2009, Oil-in-water emulsions for encapsulated delivery of reactive iron particles, Environ. Sci. Technol., 43(13), 5060-5066. 

  3. Crane, R. and Scott, T., 2012, Nanoscale zero-valent iron: Future prospects for an emerging water treatment technology, J. Hazard. Mater., 211-212, 112-115. 

  4. Elliott, D.W. and Zhang, W., 2001, Field assessment of nanoscale bimetallic particles for groundwater treatment, Environ. Sci. Technol., 35(24), 4922-4926. 

  5. EPA, 2011, Toxicological Review of Trichloroethylene 

  6. Gelhar, L.W., Welty, C., and Rehfeldt, K.R., 1992, A critical review of data on field-scale dispersion in aquifers, Water Resour. Res., 28(7), 1955-1974. 

  7. Hara, S.O., Krug, T., Quinn, J., Clausen, C., and Geiger, C., 2006, Field and laboratory evaluation of the treatment of DNAPL source zones using emulsified zerovalent iron, Remediation Journal, 16(2), 35-56. 

  8. He, F., Zhang, M., Qian, T., and Zhao, D., 2009, Transport of carboxymethyl cellulose stabilized iron nanoparticles in porous media: Column experiments and modeling, J. Colloid Interface Sci., 334(1), 96-102. 

  9. He, F., Zhao, D., Liu, J., and Roberts, C.B., 2007, Stabilization of Fe-Pd nanoparticles with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for enhanced transport and dechlorination of trichloroethylene in soil and groundwater, Ind. Eng. Chem. Res., 46(1), 29-34. 

  10. Hong, Y., Honda, R.J., Myung, N.V., and Walker, S.L., 2009, Transport of iron-based nanoparticles: role of magnetic properties, Environ. Sci. Technol., 43(23), 8834-8839. 

  11. Jiemvarangkul, P., Zhang, W., and Lien, H., 2011, Enhanced transport of polyelectrolyte stabilized nanoscale zero-valent iron (nZVI) in porous media, Chem. Eng. J., 170(2), 482-491. 

  12. Johnson, R.L., Nurmi, J.T., O'Brien Johnson, G.S., Fan, D., O'Brien Johnson, R.L., Shi, Z., Salter-Blanc, A.J., Tratnyek, P.G., and Lowry, G.V., 2013, Field-scale transport and transformation of carboxymethylcellulose-stabilized nano zero-valent iron, Environ. Sci. Technol., 47(3), 1573-1580. 

  13. Kanel, S., Goswami, R., Clement, T., Barnett, M., and Zhao, D., 2007, Two dimensional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surface stabilized zero-valent iron nanoparticles in porous media, Environ. Sci. Technol., 42(3), 896-900. 

  14. Kim, T., Kim, H., Lee, J., Cheon, J., Lee, K., and Hwang, I., 2011, Effects of Dissolved Compounds in Groundwater on TCE Degradations Reaction by Nanoscale Zero-Valent Iron, Journal of KSEE, 33(6), 413-419. 

  15. Klimkova, S., Cernik, M., Lacinova, L., Filip, J., Jancik, D., and Zboril, R., 2011, Zero-valent iron nanoparticles in treatment of acid mine water from in situ uranium leaching, Chemosphere, 82(8), 1178-1184. 

  16. Kocur, C.M., O'Carroll, D.M. and Sleep, B.E., 2012, Impact of nZVI stability on mobility in porous media, J. Contam. Hydrol., 145, 17-25. 

  17.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Operating report of groundwater monitoring system in 2011. 

  18. Le, D.T., 2012, Mobility of organic-coated nanoscale zero valent iron particles in aquifer media, master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9. MacDonald, J.A. and Kavanaugh, M.C., 1994, Restoring contaminated groundwater: an achievable goal?, Environ. Sci. Technol., 28(8), 362A-368A. 

  20. O'Carroll, D., Sleep, B., Krol, M., Boparai, H., and Kocur, C., 2012, Nanoscale zero valent iron and bimetallic particles for contaminated site remediation, Adv. Water Resour., 51, 104-122. 

  21. Phenrat, T., Saleh, N., Sirk, K., Tilton, R.D., and Lowry, G.V., 2007, Aggregation and sedimentation of aqueous nanoscale zerovalent iron dispersions, Environ. Sci. Technol., 41(1), 284-290. 

  22. Priddle, M. and Jackson, R., 1991, Laboratory column measurement of VOC retardation factors and comparison with field values, Groundwater, 29(2), 260-266. 

  23. Roberts, P.V., McCarty, P.L., Reinhard, M., and Schreiner, J., 1980, Organic contaminant behavior during groundwater recharge, Journal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52(1), 161-172. 

  24. Sakulchaicharoen, N., O'Carroll, D.M., and Herrera, J.E., 2010, Enhanced stability and dechlorination activity of pre-synthesis stabilized nanoscale FePd particles, J. Contam. Hydrol., 118(3), 117-127. 

  25. Saleh, N., Kim, H., Phenrat, T., Matyjaszewski, K., Tilton, R.D., and Lowry, G.V., 2008, Ionic strength and composition affect the mobility of surface-modified Fe0 nanoparticles in water-saturated sand columns, Environ. Sci. Technol., 42(9), 3349-3355. 

  26. Sauty, J., Kinzelbach, W., and Voss, A., 1992, CATTI: computer aided tracer test interpretation, BRGM, Orlans. 

  27. Schrick, B., Hydutsky, B.W., Blough, J.L., and Mallouk, T.E., 2004, Delivery vehicles for zerovalent metal nanoparticles in soil and groundwater, Chemistry of Materials, 16(11), 2187-2193. 

  28. Tufenkji, N. and Elimelech, M., 2004, Correlation equation for predicting single-collector efficiency in physicochemical filtration in saturated porous media, Environ. Sci. Technol., 38(2), 529-536. 

  29. Wei, Y., Wu, S., Chou, C., Che, C., Tsai, S., and Lien, H., 2010, Influence of nanoscale zero-valent iron on geochemical properties of groundwater and vinyl chloride degradation: A field case study, Water Res., 44(1), 131-140. 

  30. Yang, G.C., Tu, H., and Hung, C., 2007, Stability of nanoiron slurries and their transport in the subsurface environment,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58(1), 166-1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