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전송 구간에서 개인정보노출 취약점과 대응방안
Countermeasures of Privacy Disclosure Vulnerability in Data Transfer Section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2 no.1, 2013년, pp.163 - 171  

허건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 ,  강지원 (경기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박원형 (극동대학교 사이버안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kind of IT service on the internet is more and more diversifying and increasing, IT service's adverse effects also consistently occurring. Among them the incident of private information exposure is becoming social issues, especially the exposure of private information entered on-line resum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논문은 학력, 경력, 그리고 가족 사항 등가장 정확하고 민감한 개인정보를 필요로 하는 국내 주요 인력 사이트들을 선별하고 해당 사이트에서 발생되는 패킷들을 분석하여 암호화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암호화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개인정보노출 방지 방안에 대해서 연구한다.
  • 본 장에서는 데이터 송수신 구간에서의 데이터 노출 취약점과 관련된 정보통신망법, 스니핑과 스푸핑 기술에 대해 알아본다.
  • 이에 본 논문은 국내 주요 인력 사이트 6곳을 선정하고 해당 사이트에 로그인시, 그리고 특정 서비스 이용 시에 오고가는 패킷을 분석하여 암호화 여부를 조사하였다. 분석을 통해 ID, PW, 데이터 암호화여부 및 로그인 외 트랜잭션에서의 계정 정보의 노출여부, 키교환 알고리즘, 데이터암호화 알고리즘, 키 길이, Hash 함수 등에 대해 알아본 결과 전반적으로 데이터 전송 구간의 암호화율이 저조함을 알 수 있었다.
  • 이것은 공격자가 네트워크 단에서의 스니핑 또는 스푸핑을 통해 임의의 사용자의 데이터를 훔쳐 보거나 변조할 가능성이 존재함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학력, 경력, 그리고 가족 사항 등가장 정확하고 민감한 개인정보를 필요로 하는 국내 주요 인력 사이트들을 선별하고 해당 사이트에서 발생되는 패킷들을 분석하여 암호화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암호화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 대비하여 개인정보노출 방지 방안에 대해서 연구한다.

가설 설정

  • 이때 IP스푸핑은 신뢰관계에 있는 두 시스템사이에서 해커의 호스트를 마치 하나의 신뢰관계에 있는 호스트인 것처럼 속이는 것이다. TCP와 UDP 서비스는 호스트의 IP 주소가 유효하다고 가정하고 주소를 신뢰한다. 이때 해커의 호스트는 IP 소스 라우팅을 사용하여 신뢰받는 호스트나 클라이언트로 변장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통신망법은 언제부터 시행되었는가? 최근 개인정보유출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에서는 개인정보보호의 강화를 위해 웹서버에서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할 수 없게 하는 정보통신망법을 지난 2012년 8월 18일부터 시행하였고, 이에 대한 준비 기간으로 2013년 2월 18일까지 계도기간을 주었다[4]. 특히, 이 법에 따르면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데이터 전송구간 및 보안서버에서 암호화를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한다[5].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의무적으로 적용해야하는 사안은 무엇인가? 최근 개인정보유출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에서는 개인정보보호의 강화를 위해 웹서버에서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할 수 없게 하는 정보통신망법을 지난 2012년 8월 18일부터 시행하였고, 이에 대한 준비 기간으로 2013년 2월 18일까지 계도기간을 주었다[4]. 특히, 이 법에 따르면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데이터 전송구간 및 보안서버에서 암호화를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한다[5].
정보통신망법의 계도기간은 언제였는가? 최근 개인정보유출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에서는 개인정보보호의 강화를 위해 웹서버에서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할 수 없게 하는 정보통신망법을 지난 2012년 8월 18일부터 시행하였고, 이에 대한 준비 기간으로 2013년 2월 18일까지 계도기간을 주었다[4]. 특히, 이 법에 따르면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데이터 전송구간 및 보안서버에서 암호화를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김원 외 7명, "2011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최종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2. 

  2. 랭키닷컴, http://www.rankey.com/ 

  3. 와이어샤크, http://www.wireshark.org/about.html. 

  4. 정보통신망법 개정에 따른 주민등록번호 수집 제한, http://urin79.com/blog/13590884. 

  5.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 kr/lsInfoP.do?lsiSeq 123210&efYd 201208 18#0000. 

  6. 카인과아벨, http://www.oxid.it/cain.html. 

  7. 한국인터넷진흥원, http://seed.kisa.or.kr/kor/smart/smartPhoneB.jsp. 

  8. Freier, A. O., "The SSL Protocol version3.0", internet draft, 1996 

  9. Sherif, M. H., A. Rhrouchni, A. Y. Gaid, and F. Farazmandnia, "SET and SSL: electronic payments on the Inte Sernet", ISCC Proceedings, Third IEEE Symposium, (1998) pp.353-358. 

  10. Thomas, S., "SSL and TLS essential", John Wiley and Sons, inc,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