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시지역 미활용 에너지의 타당성에 관한 사례 분석: 기술·제도·인프라를 중심으로
The Feasibility Analysis of Urban Unused Energy: Focusing on Technology, Institution and Infrastructure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3 no.1, 2013년, pp.17 - 28  

진상현 (경북대학교 행정학부) ,  홍은정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governments have an interest in unused energy, because of high oil price and climate change. Particularly, it is very important to urban governments which have less renewable energy than other local governments. So Seoul, the capital of Korea, establishe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unused en...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활용에너지란? ‘미활용에너지(unused energy)’는 일상생활에서 이용할수 있을 만큼의 경제성을 아직까지는 확보하지 못한 에너지원을 가리킨다. 바꿔 말하면 활용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기술적 제도적 제약으로 인해 이용되지 못한 채 자연계로 배출되는 에너지로 정의될 수 있다(신현준, 1997).
국내에서 미활용에너지라는 개념이 처음사용되기 시작한 시기는? 바꿔 말하면 활용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기술적 제도적 제약으로 인해 이용되지 못한 채 자연계로 배출되는 에너지로 정의될 수 있다(신현준, 1997). 국내에서 미활용에너지라는 개념이 처음사용되기 시작한 시기는 1993년 상공자원부에서 정부주도연구사업으로 「미활용에너지 종합이용시스템」이라는 기획연구사업을 추진하면서 부터였다(박준택, 2003a). 한국보다 먼저 관심을 갖고 있었던 일본에서는 ‘미이용에너지’라는 개념으로 부존량 조사가 이뤄진 바 있지만, 이 역시도내용적으로는 동일한 개념이다(황광일, 2003).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법 법률에 의거해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재생에너지는? 정부는 2004년에 수립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이용 보급 촉진법」에 의거해 미활용에너지의 보급을 지원해오고 있다. 법률에 의거해 정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재생에너지로는 태양열,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폐기물에너지, 지열, 해양에너지, 소수력이 있으며, 신에너지에는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액화 및 가스화가 포함된다. 그렇지만 본 논문에서 관심 갖고 있는 미활용에너지중에서는 해수와 폐기물만이 신재생에너지3)로 분류될 뿐이지 나머지 하천수 호수 하수열은 제도적으로 지원을 받을 수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권태형(2008), "공공사업 타당성평가에서 다기준분석의 의의와 한계", 한국공공관리학보, 22(3), 31-51. 

  2. 김동식?김홍근?홍원화(2003), "대구광역시 미활용에너지 부존량 조사 및 활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3(2), 793-796. 

  3. 김시헌(2010), "하수열에너지 냉난방시스템 국내 도입과 해외사례", 국회 하수열에너지 기술세미나(2010.3.15). 

  4. 김호성?오명도(2002), "서울시 미활용에너지 부존량 분석 및 이용대책", 설비저널, 31(8), 40-49. 

  5. 박준택(2003a), "미활용에너지의 현황과 전망", 대한설비공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강연회. 

  6. 박준택(2003b), "해외 미활용 에너지 이용사례(1), 하천수 열이용에 의한 Hakozaki 지구의 지역냉난방", 한국설비기술협회지, 20(11), 118-124. 

  7. 박준택(2007), 미활용에너지 자원조사, 산업자원부. 

  8. 박준택(2010), "미활용 온도차 에너지 이용기술 현황 및 주요사례(5)", 미래환경, 11(8), 86-89. 

  9. 박준택?장기창(2002), "온도차에너지를 열원으로 하는 미활용에너지의 부존량과 이용가능성에 관한 조사연구", 에너지공학, 11(2), 106-113. 

  10. 산업자원부(2007), 미활용 에너지 자원조사. 

  11. 서울시특별시(2009), 서울 친환경에너지 기본계획 2030. 

  12. 신현준(1997), 도시 미활용에너지 이용 열펌프 시스템 개발에 관한 최종보고서, 통상산업부. 

  13. 양진우(1999), 부산지역 하수처리수의 미활용에너지 부존량 평가 및 이용방안, 부산발전연구원. 

  14. 유명진(2011), 하수처리장 에너지.자원화를 위한 잠재력 평가 및 활용기술 동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1-WP-13. 

  15. 지식경제부(2008), 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2009-2030). 

  16. 진상현(2009),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도입 관련 서울시의 대응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7. 진상현?한준(2009), "신재생에너지의 개념 및 정책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8(1), 187-208. 

  18. 진상현?황인창(2011),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의 지역별에너지원별 성과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1), 15-31. 

  19. 최석준?간형식(2008), "연구개발 분야 예비타당성 제도의 개선 방향", 기술혁신학회지, 11(2), 287-313. 

  20. 한국개발연구원(200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5판). 

  21. 황광일(2003), "서울시 아파트지구를 대상으로 한 저온 미이용 에너지 활용시스템 도입가능지구 선정에 관한 연구", 계획계, 19(11), 263-270. 

  22. Euroheat & Power(2006), District cooling-cooling mere with less (www.euroheat.org). 

  23. Eikeland, Per Ove(2006), "Renewable energy in Norway and the Nordic energy system", REN21 Workshop. 

  24. Fermback, Goren(1995), "District cooling in Stockholm using sea water", IDEA Cooling Conference. 

  25. FRIOTHERM(2005), Energy from sewage water: District heating and district cooling in Sandvika, with 2 Unitop 28C heat pump units (www.friotherm.com). 

  26. NUON(2005), District cooling in Amsterdam's Zuidas (www.nuon.com). 

  27. Taselaar, Frans(2008), The design and the construction of a public utility in the Zuidas, Amsterdam (www.thinkdeep.nl). 

  28. Zogg, Robert Kurt Roth and James Brodrick(2008), "Lake-source district cooling systems", ASHRAE Journal 50(2), 55-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