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마감재의 친환경성능 판정기법 및 성능등급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A newly-established evaluation methodology of the sustainable performance degree of interior architectural finishes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13 no.2, 2013년, pp.141 - 149  

이지순 ((주)플랜잇,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윤정숙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provide pragmatic application guidelines of the interior finish materials for apartment houses with newly-established evaluation methodology of the sustainable degree of interior products. With reference to the standards and criteria of domestic eco-labeling accreditation schem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인증제도의 성능기준과 실내마감재의 친환경 성능기준요소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기존의 친환경 인증라벨링제도를 실내마감재의 친환경 성능수준을 판정하는데 적용하고자 한다. 실내마감재의 차원에서 정의되는 친환경성능을 구성하는 요소는 건강성, 재활용성, 장수명성, 에너지절약성이다.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국내외 친환경 인증 제도의 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실내마감재의 친환경 성능수준을 효과적으로 판정하기 위한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현재 생산되는 친환경 제품은 기존의 재품 보다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고, 지나친 광고로 소비자들의 선택이 쉽지가 않다. 이에 가장 쉽게 친환경 마감재를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친환경 건축자재를 선별해주는 다양한 환경라벨링(environmental labelling)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내공기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현대인들은 생활의 대부분인 80% 이상을 실내에서 활동 하고 있어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환경이 중요하며 최근 들 어 건축자재의 유해한 화학물질 방출에 따른 ‘새집증후군’ 등의 문제로 실내공기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건축자재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가장 원천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건축자재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가장 원천적인 방법은 친환경 건축자재, 특히 Eco-Safe 자재1)를 사용하는 것이 다. 그러나 최근 들어 시중에 다양한 친환경 재료들이 출시 되면서 선택의 폭을 점차 넓히고 있다.
현재 환경라벨링제도가 가지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무분별한 인증제도의 시행과 소비자의 인식 부족 등으로 현재의 인증제도는 계속해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제도의 보완과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arland Edward, Eco-Renovation / The Ecological Home Improvement Guid, Chelsea Green Publishing Company, 1999. 

  2. M. K. Kumaran2000. Low-permeance materials in building envelopes, 2000. 

  3. Bjorn Berge, Ecology of Building Materials. Architectural Press, 2000 

  4. J. L. NIU J.Burnett, Setting up the criteria and credit-awarding scheme for building interior material selection to achieve better indoor air quality. Environment international 26, 2001 

  5. Elliott Jenifer A, An Introduc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Routledge, 2002 

  6. 김자경, 자연과 함께하는 건축, Spacetime, 2004 

  7. 김준연, 컨템포러리 그린디자인, 생태건축 강습회 자료집, 2005 

  8. 대한주택공사, 환경오염부하저감을 위한 실내건축용 접착제 및 도료의 종합성능개선방안,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연구개발실, 2006 

  9. 대한주택공사,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실현방안 연구 : 실내공기 질 개선과 친환경건축자재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사)지속가능발전진흥원 환경경제연구소, 대한주택공사 주택도시연구원, 2006 

  10. 환경부, 오염물질방출 건축자재 선정관련연구, 2003 

  11. 이옥화, 건강한 주거공간의 환경친화적 실내디자인요소 적용 방안,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2. 박철수 외, 초고층 아파트의 의학적 병리현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통권79호, 1993 

  13. 강승모, 권자인, 실내건축재료의 환경친화에 관한 의미론적 고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NO.28, 2001 

  14. 김윤선, 박지윤, 김형우, 주택실내공간 마감재료의 생태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제2권, 2002 

  15. 유호천 외, 친환경 건축물 자재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23권 4호, 2003 

  16. 한경희, 김자경, 생태학적 관점에 의한 환경친화적 건축 재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NO.41, 2003 

  17. 강승모, 실내디자인에 있어 환경친화성 재료사용의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NO.40, 2003 

  18. 이강희, [특집] 건축자재와 재료의 환경친화성 평가 프로세스, 대한건축학회, 2003 

  19. 이상협, 김문덕, 현대 실내디자인에 있어 재료와 공간의 상호 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회, 2003 

  20. 강승모, 박기덕, 공동주택에 있어 친환경 실내디자인의 국내 추이에 관한 연구-아파트의 새집증후군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집, 제14권 1호, 2005 

  21. 곽재훈, 한혜련,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실내 마감재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5년 5월 

  22. 하미경, 임보련, 웰빙트렌드에 따른 아파트의 건강 관련 실내 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14 n.3(통권 50호), 2005 

  23. 이은정, 초고층아파트 단위주공간의 지속가능성 평가요소 분석, 한국생태환경 건축학회 논문집, 제6권 제3호, 2006 

  24. 고태원, 환경표지제도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 방향, 한국환경산업기술원, Special Issues GGGP(Global Green Growth Policy) 제47호, 2011. 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