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휴대전자기기용 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의 충방전 열화 기구 분석 및 모니터링
Evaluation and monitoring of degradation mechanism of Li-ion batter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원문보기

신뢰성응용연구 = Journal of the applied reliability, v.13 no.2 = no.42, 2013년, pp.129 - 140  

변재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fundamental experimental study for reliability improvement of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degradation mechanism was investigat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and acoustic emission monitoring. Microstructural observation of the decomposed battery after cycle test revealed mechanical and chem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리튬이온전지 신뢰성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전지의 충방전에 의한 구성 소재 열화를 관찰하여 열화 기구를 분석하고, 또한 충방전 과정중의 음향방출(acoustic emission, AE) 신호를 검출하여 열화 기구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온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구성부품 및 소재의 열화 기구를 평가하기 위해 충방전 후 전지를 분해하여 전자현미경 관찰을 수행하였고, 또한 충방전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음향방출 신호를 계측하여 열화기구를 모니터링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3) 충/방전 과정에서 각각 다수의 음향방출 신호를 검출하였으며, 충/방전 싸이클 수가 증가함에 따라 AE 누적카운트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음향방출 신호 특성을 분석하여 전극 부품 소재의 손상기구 분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본 논문은 리튬이온전지 신뢰성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전지의 충방전에 의한 구성 소재 열화를 관찰하여 열화 기구를 분석하고, 또한 충방전 과정중의 음향방출(acoustic emission, AE) 신호를 검출하여 열화 기구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외국산 소용량 리륨이온전지를 대상으로 충방전 시험과 동시에 음향방출 신호를 수집하였으며, 이후 전지를 분해하여 미세구조 관찰을 통해 열화 기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이온전지 열화는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리튬이온전지 열화는 마크로 손상부터 나노 손상까지 다양한 크기의 손상 기구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열화 메커니즘의 분석을 위해서는 특성에 맞는 다양한 분석방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전지의 충/방전 후 전지를 분해하여 구성 부품을 회수 한 후 육안관찰을 통한 마크로 손상 분석, 전자현미경 등을 이용한 마이크로/나노 손상 분석 등이 가능하다.
리튬이온전지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리튬이온전지는 전극(양극, 음극), 액체 전해질 및 고분자 분리막의 4가지 핵심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액체 전해질이 전지 내부를 가득 채우고 있는 구조를 갖는다.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된 전극은 일반적으로 두께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금속 박판에 전극 물질(양극: LiCoO2 세라믹 분말, 음극: 탄소 분말)이 코팅되어 있으며, 전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소재가 사용된다.
전지를 분해하지 않고 비파괴적인 기법을 사용해 전지 열화를 분석하는 방법 중 라만, 방사선 회절법, 중성자 투과법의 제한점은? 또 다른 분석방법으로 전지를 분해하지 않고 비파괴적인 기법을 사용해 전지 열화를 분석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최근 Morcrette et al(2002)과 Itoh et al(1997)은 라만, 방사선 회절법, 중성자 투과법을 이용하려는 연구를 보고한 바 있으나, 분석을 위해서는 상용전지가 아닌 실험용으로 제조된 특수한 전지만을 사용해야하는 제한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Goers, D., Holzapfel, M., Scheifele, W., Lehmann, E., Vontobel, P. and Nov, P.(2004), "In situ neutron radiography of lithium-ion batteries: the gas evolution on graphite electrodes during the charging", J. Power Sources, Vol. 130, 221-226 

  2. Itoh, T., Sato, H. Nishina, T., Matue, T. and Uchida, I.(1997), "In situ Raman spectroscopic study of LixCoO2 electrodes in propylene carbonate solvent systems", J. Power Sources, Vol. 68, 333-337 

  3. Komagata, S., Kuwata, N., Baskaran, R., Kawamura, J., Sato, K. and Mizusaki, J.(2010), "Detection of degradation of lithium-ion batteries with acoustic emission technique", Electrochem. Soc. Transactions, Vol. 25, 163-167 

  4. Morcrette, M., Chabre, Y., Vaughan, G., Amatucci, G., Leriche, J.B., Patoux, S., Masquelier, C. and Tarascon, J.M.(2002), "In situ X-ray diffraction techniques as a powerful tool to study battery electrode materials", Electrochimica Acta, Vol. 47, 3137-3149 

  5. Rhodes, K., Dudne, N., Lara-Curzio, E. and Daniel, C.(2010), "Understanding the degradation of silicon electr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using acoustic emission", J. Electrochem. Soc., Vol. 157, 1354-1360 

  6. Shin, J.S., Han, C.H., Jung, U.H., Lee, S.I., Kim, H.J. and Kim, K.(2002), "Effect of $Li_{2}CO_{3}$ additive on gas generation in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Vol. 109, 47-52 

  7. Vetter, J., Novak, P., Wagner, M.R., Veit, C., Moller, K.C., Besenhard, J.O., Winter, M., Wohlfahrt-Mehrens, M., Vogler, C. and Hammouche, A.(2005), "Ageing mechanisms in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Vol. 147, 269-281 

  8. Wang, H., Jang, Y.I., Huang, B., Sadoway D.R. and Chiang, Y.M.(1999), "TEM study of electrochemical cycling-Induced damage and disorder in LiCoO2 cathodes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 Electrochem. Soc., Vol. 146, 473-4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