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EMAR 마네킹을 이용한 단이 보청기용 FDSI 빔포밍 알고리즘의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Monaural FDSI Beamforming Algorithm using a KEMAR Mannequin 원문보기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v.34 no.1, 2013년, pp.24 - 33  

조경원 (한양대학교 의용생체공학과) ,  남경원 (한양대학교 의용생체공학과) ,  한종희 (삼성종합기술원 바이오헬스 연구실) ,  이상민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동욱 (삼성종합기술원 바이오헬스 연구실) ,  홍성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교실) ,  장동표 (한양대학교 의용생체공학과) ,  김인영 (한양대학교 의용생체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nhance the speech perception of hearing aid users in noisy environment, most hearing aid devices adopt various beamforming algorithms such as the first-order differential microphone (DM1) and the two-stage directional microphone (DM2) algorithms that maintain sounds from the direction of the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양한 광대역 빔포머(broadband beamformer,BBF)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었으나[11,12], 이들 광대역 빔포머 알고리즘들의 경우 마이크로폰의 하드웨어적 특성의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극 패턴(polar pattern)의 방향성이 감쇄하거나, 단이형 보청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두 마이크로폰 간의 간격을 수 mm 정도로 짧게 설정하면 200Hz 이하의 저주파 대역에서 방향성 성능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었다. 기존의 이러한 방향성 알고리즘들의 문제점들을극복하고, 잡음 환경 하에서 보청기 사용자들의 대화 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연구 그룹에서는 2채널 디지털보청기에 적용 가능한 fractional cross-correlation을 적용한 방향성 잡음 제거 알고리즘(FDSI algorithm) 을 제안한바 있다[13]. 하지만, 과거 연구에서는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였으나, 이 경우 보청기 알고리즘 연구에서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 두영효과(headshadowing effect) 를 반영할 수 없었으므로, 보다 정확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서는 두영효과가 반영된 상태에서의 정량적인 알고리즘 성능 평가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의 빔포밍 알고리즘들의 잡음 감쇄성능 및 신호 왜곡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KEMAR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서 FDSI알고리즘이 높은 잡음 감쇄 효과를 나타냈으며, 또한 가장 낮은 신호 왜곡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비교 대상 빔포밍 알고리즘들의 자체적인잡음 감쇄 및 신호 왜곡 효과만을 비교할 수 있도록 무반향실 내에서 평가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실제 생활 환경에서는 보청기 착용자가 사방이 둘러싸인 실내에 있거나, 그 주위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그로 인한 음향 반향 효과가 발생하여 보청기 착용자들의 음성 인지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된다.

가설 설정

  •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알고리즘들의 구현 단계에서,구현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무방향성 마이크로폰들과 음원이 모두 동일한 수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두 마이크로폰들 간의 수평 및 수직 위치 편차가 0 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즉, 두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입력 시간차가 0° 일 때 최대, 90° 일 때 최소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 즉, 두 마이크로폰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의 입력 시간차가 0° 일 때 최대, 90° 일 때 최소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irst-order differential microphone 알고리즘과 two-stage directional microphone 알고리즘의 단점은 무엇인가? 기존의 다양한방향성 알고리즘들 가운데, 보청기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적인 방향성 구현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것이 first-order differential microphone (DM1) 알고리즘[7] 과 two-stage directional microphone (DM2) 알고리즘[8] 이다. 하지만, 이들 알고리즘들의 경우 출력 신호단에서 저주파 대역의 신호 요소들이 감쇄되어 원 신호의 파형이 일부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이러한 신호 왜곡을 보상하기 위해 보통 추가적인 저주파 증폭기를 후단에 사용하지만, 이 증폭기로 인해 저주파 대역에 존재하는 환경 잡음 성분들이 함께 증폭되게 되어 결과적으로 보청기 사용자들이 잡음 환경 하에서 음성신호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었다[3,9,10].
디지털 보청기에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통해 마이크로폰의 방향성을구현하는 방식의 장점은 무엇인가? 초기 보청기들의경우에는 하드웨어적인 방향성을 가지는 방향성(directional)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환경 잡음을 감쇄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대다수의 최근 디지털 보청기들은 복수 개의 무방향성(omnidirectional)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방향성을 구현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1]. 이처럼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통해 마이크로폰의 방향성을구현하는 방식의 장점은: 1) 보청기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음향적 방향성의 부여/비부여 여부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으며, 2) 대화 상대의 위치 변화에 맞게 방향성 알고리즘의목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3-6]. 기존의 다양한방향성 알고리즘들 가운데, 보청기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적인 방향성 구현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것이 first-order differential microphone (DM1) 알고리즘[7] 과 two-stage directional microphone (DM2) 알고리즘[8] 이다.
보청기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적인 방향성 구현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은 무엇인가? 이처럼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을 통해 마이크로폰의 방향성을구현하는 방식의 장점은: 1) 보청기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음향적 방향성의 부여/비부여 여부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으며, 2) 대화 상대의 위치 변화에 맞게 방향성 알고리즘의목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3-6]. 기존의 다양한방향성 알고리즘들 가운데, 보청기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적인 방향성 구현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것이 first-order differential microphone (DM1) 알고리즘[7] 과 two-stage directional microphone (DM2) 알고리즘[8] 이다. 하지만, 이들 알고리즘들의 경우 출력 신호단에서 저주파 대역의 신호 요소들이 감쇄되어 원 신호의 파형이 일부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 Dillon, Hearing aids. Sydney: Boomerang Press, 2001. 

  2. P.C. Loizou, Speech enhancement : theory and practice. Boca Raton: CRC Press, 2007. 

  3. J.M. Kates, Digital hearing aids. San Diego: Plural Pub., 2008. 

  4. W. Soede, F.A. Bilsen, and A.J. Berkhout, "Assessment of a directional microphone array for hearing-impaired listener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94, pp. 799-808, 1993. 

  5. T. Ricketts and P. Henry, "Evaluation of an adaptive, directional-microphone hearing aid: Evaluacion de un auxiliar auditivo de microfono direccional adaptable,"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vol. 41, pp. 100-112, 2002. 

  6. A. Schaub, Digital hearing aids. New York: Thieme, 2008. 

  7. G.W. Elko and A.T.N. Pong, "A simple adaptive first-order differential microphone," 1995, pp. 169-172. 

  8. F.L. Luo, J. Yang, C. Pavlovic, and A. Nehorai, "Adaptive null-forming scheme in digital hearing aids," Signal Processing, IEEE Transactions on, vol. 50, pp. 1583-1590, 2002. 

  9. T. Ricketts and P. Henry, "Low-frequency gain compensation in directional hearing aids," American Journal of Audiology, vol. 11, pp. 29, 2002. 

  10. T.A. Ricketts, "How fitting, patient,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directional benefit," The Hearing Journal, vol. 56, pp. 31, 2003. 

  11. E. Mabande, A. Schad, and W. Kellermann, "Design of robust superdirective beamformers as a convex optimization problem," i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2009. ICASSP 2009.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2009, pp. 77-80. 

  12. S. Doclo and M. Moonen, "Design of broadband beamformers robust against gain and phase errors in the microphone array characteristics," IEEE Transactions on Signal Processing, vol. 51, pp. 2511-2526, Oct 2003. 

  13. J. Han, Y.S. Ji, H. Kim, S.H. Yook, S. Lee, D. Kim, S.H. Hong, I.Y. Kim, and S.I. Kim, "New directional noise reduction method utilizing fractional cross-correlation for dual microphone DHA," in Proc. 41th KOSOMBE Conference, Chuncheon, Korea, May. 2010 

  14. E. Rothauser, W. Chapman, N. Guttman, K. Nordby, H. Silbiger, G. Urbanek, and M. Weinstock,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speech quality measurements," IEEE Transactions on Audio Electroacoustics, vol. 17, pp. 227-246, 1969. 

  15. M. Buchler, S. Allegro, S. Launer, and N. Dillier, "Sound classification in hearing aids inspired by auditory scene analysis," EURASIP Journal on Applied Signal Processing, vol. 2005, pp. 2991-3002, 2005. 

  16. P.C. Loizou, Speech enhancement : theory and practice. Boca Raton: CRC Press,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