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흙댐 제체의 보강재 설치에 따른 월류붕괴 지연효과
Retardation Effect on the Breach of the Earth Filled Embankment Using the Stiffener During Overtopping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4, 2013년, pp.1377 - 1387  

주요한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 ,  여창건 (서울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 ,  이승오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국내 저수지의 대부분(99.1 %)은 흙댐으로 이러한 형식은 건설비용이 저렴하고 다른 시공보다 시공성이 용이하여 많은 저수지 건설에 채택되었다. 그러나 흙댐은 월류 침투 현상에 취약하여 설계 홍수량을 초과한 홍수 발생 시 붕괴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실험을 통해 이러한 흙댐 제체에 월류 붕괴가 발생할 경우에 대하여 제체 사면에 설치한 L형 T형 $L^*$형의 보강재 형태에 따른 붕괴 양상 변화를 분석하고, 무보강 제체에 비하여 보강재 설치 제체에서 붕괴지연으로 인한 피해감소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붕괴부에서 발생하는 흐름이 보강재와 충돌하여 분산됨으로 인해 에너지 감세효과를 갖게 되어 토사의 침식속도가 감소하고 이에 따른 붕괴발달 속도가 지연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보강재의 붕괴지연효과를 무보강 제체와 비교할 경우, 붕괴 발생에서 붕괴종료까지 약 1.73~2.29 배의 시간지연이 발생하였으며 첨두 유출량의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저수지 제체 붕괴는 붕괴부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이를 긴급히 보수하는 시간이 부족하여 큰 피해로 이어지게 된다. 사면에 보강재를 설치한 경우 제체 붕괴 지연효과로 인하여 긴급보수시간 및 인명구조시간의 확보가 가능하며, 첨두유출량 감소로 댐 하류부의 피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저수지 붕괴에 대한 비상대처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embankment of the reservoirs (99.1 %)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earth filled type in Korea because the construction of this type is less expensive and simpler than others such as concrete one. However, it has to be reinforced the slope to prevent the breach due to overtopping or piping und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사면 보강재 형상에 따라 제체 월류 시 보강재 설치에 따른 붕괴형상 및 수위변화를 수리실험을 통한 분석으로 보강재의 붕괴지연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보강재 형상에 따른 붕괴시간 및 유출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L형이 붕괴 발달이 가장 완만한 경사로 진행되어 붕괴 이후에도 첨두유출량이 절반 수준으로 저감되었고 발생시간 또한 가장 늦게 나타나므로 가장 붕괴지연 효과가 큰 보강재 형상으로 분석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흙댐 제체 붕괴지연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월류시 보강재 형상별 붕괴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의 목적은 보강재설치에 따른 붕괴지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보강재는 L형, T형, L*형 총 3가지 종류가 사용되었다.
  • 하지만 월류 현상 발생시 제체의 침식과정에서 보강재의 붕괴지연 효과에 대한 연구는 크게 다뤄지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제체사면에 위치한 보강재는 주로 사면 토사의 급속한 침식현상을 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수리실험을 통하여 이러한 보강재가 제체의 붕괴시 제체의 붕괴를 지연시키는 효과와 첨두홍수량의 감소에 대해 연구하였다. 저수지 설계빈도 초과 홍수량 발생에 따른 월류 발생상황에서 저수지 사면에 보강재 설치 시 이에 따른 붕괴지연효과를 보강재의 형상에 따라 분석한 결과 보강재는 형상과 배치방향에 따라 침식에 대한 효과가 크게 다르며 이러한 침식의 특성이 첨두유출량의 발생크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흙댐의 단점은? 1 %)은 흙댐으로 이러한 형식은 건설비용이 저렴하고 다른 시공보다 시공성이 용이하여 많은 저수지 건설에 채택되었다. 그러나 흙댐은 월류 침투 현상에 취약하여 설계 홍수량을 초과한 홍수 발생 시 붕괴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실험을 통해 이러한 흙댐 제체에 월류 붕괴가 발생할 경우에 대하여 제체 사면에 설치한 L형 T형 $L^*$형의 보강재 형태에 따른 붕괴 양상 변화를 분석하고, 무보강 제체에 비하여 보강재 설치 제체에서 붕괴지연으로 인한 피해감소 효과를 분석하였다.
저수지 제체 붕괴는 왜 큰 피해로 이어지나? 29 배의 시간지연이 발생하였으며 첨두 유출량의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저수지 제체 붕괴는 붕괴부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이를 긴급히 보수하는 시간이 부족하여 큰 피해로 이어지게 된다. 사면에 보강재를 설치한 경우 제체 붕괴 지연효과로 인하여 긴급보수시간 및 인명구조시간의 확보가 가능하며, 첨두유출량 감소로 댐 하류부의 피해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저수지 붕괴에 대한 비상대처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면 보강재 형상에 따라 제체 월류 시 보강재설치에 따른 붕괴형상 및 수위변화를 수리실험을 통한 분석으로 보강재의 붕괴지연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사면 보강재 형상에 따라 제체 월류 시 보강재설치에 따른 붕괴형상 및 수위변화를 수리실험을 통한 분석으로 보강재의 붕괴지연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보강재 형상에 따른 붕괴시간 및 유출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L형이 붕괴 발달이 가장 완만한 경사로 진행되어 붕괴 이후에도 첨두유출량이 절반 수준으로 저감되었고 발생시간 또한 가장 늦게 나타나므로 가장 붕괴지연 효과가 큰 보강재 형상으로 분석되었다. 보강재의 제작형상은 월류수의 흐름에 좀 더 많은 토사용적을 보호할 수 있는 L형과 L*형이 붕괴지연에 효과적이었으며, L*형의 경우 초기 붕괴지연 효과가 매우 크게 나타났으나 이후 급격한 붕괴를 나타나 오히려 첨두유출량이 무보강 제체보다 크게 발생하여 하류부의 홍수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보강재 관입 제체의 붕괴실험을 통하여 붕괴실험을 실시한 결과 보강재 설치로 인하여 초기붕괴흐름의 발달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붕괴지연 효과가 발생하였고 월류 흐름에 의한 사면침식속도가 저감되어 급격한 제체붕괴를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하류단으로 유출되는 홍수파 전달 속도 및 첨두 유출량의 감소 등으로 홍수 피해경감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저수지 붕괴에 대한 비상대처계획(EAP, Emergency Action Plan)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보강재가 이탈하여 하류부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은 실험결과 대부분의 보강재가 토사에 매몰되어 구조물과의 충돌과 같은 피해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이는 실험조건에서 발생한 결과이며 실제 붕괴 시하류부에 보강재가 유입되어 인명이나 재산피해를 유발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저수지의 월류에 의한 제체붕괴 상황을 모의한 실험이므로 다른 붕괴원인에 대하여는 본 연구 결과를 직접적으로 적용할 수 없으며, 종합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다양한 붕괴원인에 대한 제체 보강재의 붕괴지연효과를 위한 추가적인 실험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저수지제체 붕괴실험은 현재 저수지에 설치된 사면보강재의 다양한 형태와 붕괴지연효과에 대한 검증실험으로 연구영역을 확대할 수 있으며, 기존 저수지 제체에 대한 노후화 및 안전성과 관련한 문제점을 보완하는 대책으로 저수지 설계에 적용한다면 위험상황 발생시 시‧공간적으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ristofano, E. A. (1965). Method of computing erosion rate for failure of earthfill dams, Denver, CO(U.S. Bureau of Reclamation). 

  2. Coleman, S. E., Andrews, D. P. and Webby, M. G. (2002). "Overtopping breaching of noncohesive homogeneous embank- ment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28, Issue 9, pp. 829-838. 

  3. Chinnarasri, C., Tingsanchali, T., Weesakul, S. and Wongwises, S. (2003). "Flow patterns and damage of dike overtopping."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Vol. 18, No. 4, pp. 301-309. 

  4. Darrel, T., Sherry, H. and Gregory, H. (2006). "Breach widening observations related to clay core earthen embankment tests." Proceedings of the Association of State Dam Safety Officials Annual Conference, pp. 608-621. 

  5. Federal Energy Regulatory Commission. (FERC). (1987). Engineering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hydropower projects, FERC 0119-1, Office of Hydropower Licensing, July 1987, p. 9. 

  6. Fread, D. L. (1984). DAMBRK: The NWS dam break flood forecasting model, National Weather Service, Office of Hydrology, Maryland. 

  7. Froehlich, D. C. (1995). "Embankment dam breach parameters revisitied." Proc., 1st Int. Conf. on Water Resources Engineering, ASCE, New York, pp. 887-891. 

  8. Froehlich, D. C. (2008). "Embankment dam breach parameters and their uncertaintie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34, Issue 12, pp. 1708-1721. 

  9. Han, K. Y., Lee, J. T. and Lee. W. H. (1985). "An analysis of outflow hydrograph resulting from an earth Dam-Brea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5, No. 2, pp. 41-50 (in Korean). 

  10.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HRFCO). (2011). Reservoir facility specification in Korea,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WAMIS), [http://www.wamis.go.kr/WKS/WKS_ARSSAS_ LST.ASPX] (in Korean). 

  11. Hahn, W., Hanson, G. J. and Cook, K. R. (2000). "Breach morphology observations of embankment overtopping tests." Proceedings of the 2000 Joint Conference on Water Resources Engineering and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July 30-Aug. 2, MN, USA. 

  12. Johnson, F. A. and Illes, P. (1976). A classification of dam failures, International Water Power and Dam Construction, December 1976, pp. 43-45. 

  13. Kim, J. H. (2001). "Analysis on embankment failure due to overflow." Chung-Ang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Construction Chung-Ang University, Vol. 12, No. 2, pp. 97-107 (in Korean). 

  14. Lee, D. W. and Noh, J. J. (2012). "Behavior of failure of agricultural reservoir embankment due to overtopping."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 39, No. 3, pp. 427-439 (in Korean). 

  15. Lee, S. T. and Lee, J. T. (2001).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llapse phase of a river levees(I) -effects of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cross sec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4, No. 2, pp. 141-154 (in Korean). 

  16. Morris, M. (2005) Impact final technical report, HR Wallingford, UK. 

  17. McDonald, T. and Langridge-Monopolis, J. (1984). "Breaching characteristics of dam failures." Journal of Hydraulics Engineering, Vol. 110, Issue 5, pp. 567-586. 

  18.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08). Yearbook of agricultural land and water development statistics, pp. 287-344 (in Korean). 

  19.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2009). Development of embankment protection method on overflowing reservoir by waterproof mat, KFI-2008-Mt-00018 (in Korean). 

  20. Oh, N. S. and Sonu, J. H. (1989). "A study on the radual reach of earth dam."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22, No. 2, pp. 213-221 (in Korean). 

  21. Rural Research Institute. (2004). Improving the hydraulic and structural safety of reservoir spillways for flood (in Korean). 

  22. Shim, J. H., Baek, M. H., Park, D. K., Lee, H. J., Park, B. C. and Kim, T. H. (2002). The field survey report of damages caused by the Typhoon RUSA in 2002, NIDP-2002-02,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Seoul, Korea (in Korean). 

  23. Singh, K. P. and Snorrason, A. (1982). Sensitivity of outflow peaks and flood stages to the selection of dam breach parameters and simulation models, State Water Survey (SWS) Contract Report 288, Illinois Deportment of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SWS Division, Surface Water at the University of Illinois, p. 179. 

  24. Singh, K. P. and Snorrason, A. (1984). "Sensitivity of outflow peaks and flood stages to the selection of dam breach parameters and simulation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68, pp. 295-310. 

  25. Singh, V. P. and Scarlatos, P. D. (1988). "Analysis of radual Earth-Dam failure." Journal of Hydraulics Engineering, Vol. 114, Issue 1, pp. 21-42. 

  26. SJBNEWS. (2011). [http://www.sjbnews.com/news/articleView. html?idxno375554] (in Korean). 

  27. Von Thun, J. L. and Gillette, D. R. (1990). "Guidance on breach parameters, unpublished internal document." U. S. Bureau of Reclamation, Denver, Colorado, March 13, 1990, p. 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