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노점토가 연질 폴리우레탄/점토 다공성 나노복합체의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nocla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Porous Flexible Polyurethane/Clay Nanocomposite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3 no.7, 2013년, pp.366 - 372  

옥경민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김규헌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김경록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김동현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김춘환 (영신산업) ,  박홍채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윤석영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exible polyurethane/clay porous nanocomposite foams were synthesized using natural and organically modified montmorillonite clays such as bentonite, closite 10A and closite 30B. The content of nanoclays was varied from 1 to 5 wt% of polyol. Dispersion of clay in Polyurethane(PU) matrix was inv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나노점토(closite 10A, 30B, bentonite)를 첨가한 고분자/점토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Fig. 1). 제조방법은 monomer를 점토 층간으로 삽입시킨 후 점토층간에서 중합을 유도하는 In-situ polymeriza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 이는 분자량 크기가 고분자에 비해 작아 층간 침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렇게 제조된 나노복합체에서 첨가제의 첨가량 및 종류 등 첨가조건이 연질 폴리우레탄 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우레탄의 기계적, 열적 특성은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가? 이러한 열적거동은 폴리우레탄의 용융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가져오게 되었다. 폴리우레탄의 기계적, 열적 특성은 다양한 폴리우레탄의 화학적 구조,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개질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층상 실리케이트를 이용한 고분자 복합재는? 5-6) 층상 실리케이트를 이용한 고분자 복합재는 세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고분자가 실리케이트 층간에 삽입될 수 없어 고분자와 실리케이트 층간에 상이 분리된 복합재이다. 둘째, 고분자와 실리케이트의 조성 비율에 상관없이 실리케이트 층간에 고분자가 삽입된 형태로서 고분자와 실리케이트 층이 교대로 잘 정렬되어 있는 복합재이다. 셋째로는 각각의 실리케이트 층이 박리되어 고분자 매트릭스에 평균적인 거리로 분산되어 있는 복합재이다. 이러한 나노 복합체의 제조를 위해서는 강화제로 쓰이는 나노점토가 고분자 기지에 고르게 분산되어야하며, 이렇게 고르게 분산이 되었을 때 고분자 물질의 물성이 향상 될 수 있다.
연질 폴리우레탄폼은 어떤 특성에 의하여 의류, 신발, 자동차 시트에서 연질 쿠션제로 이용되는가? 경질 폼은 자체의 단열성, 경량성, 완충 등의 성질을 활용하여 단독 또는 타재료와 혼합하여 단열재, 경량 구조재, 완충재 등으로 많이 쓰인다.1-2) 연질 폴리우레탄폼은 다공성구조를 가지고 우수한 복원력으로 인하여 의류, 신발, 자동차 시트등과 같은 연질 쿠션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열에 취약한 단점을 지니고 있어 70~80 oC이상의 온도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며, 180 oC이상의 온도에서는 분해가 일어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J. Kim and B. C. Lee, Polym. Sci. Technol., 10(5), 589 (1999). 

  2. S. S. Kim and J. N. Park, Polym. Sci. Technol., 10(5), 614 (1999). 

  3. M. Alexandre and P. Dubois, Mater. Sci. Eng, R-Rep., 28(1), 1 (2000). 

  4. G. Oertel, Polyurethane Handbook, p. 404-405, Hanser Publisher, Munich, Germany (1985). 

  5. A. Usuki, M. Kawasumi, Y. Kojima, A. Okada, T. Kurauchi and O. Kamigaito, J. Mater. Res., 8(5), 1174 (1993). 

  6. A. Usuki, Y. Kojima, M. Kawasumi, A. Okada, Y. Fukushima, T. Kurauchi and O. Kaigaito, J. Mater. Res., 8(5), 1179 (1993). 

  7. Peter C. Lebaron, Zhen Wang and Thomas J. Pinnavaia, Appl. Clay Sci., 15, 11 (1999). 

  8. M. szycher, Handbook of Polyurethanes, p. 324-325, CRC Press, Washington. DC, USA (1999). 

  9. A. Usuki, A. Koiwai, Y. Kojima, M. Kawasumi, A. Okada, T. Kurauchi and O. Kamigaito, J. Appl. Polym. Sci., 55, 119 (1995). 

  10. Y. Imai, S. Nishimura, E. Abe, H. Tateyama, A. Abiko, A. Yamauchi, T. Aoyama and H. Taguchi, Chem. Mater., 14, 477 (2002). 

  11. M. A. Osman, V. Mittal, M. Morbidelli and U. W. Suter, Macromolecules, 36, 9851 (2003). 

  12. Y. Yang, M. C. Gupta, J. N. Zalameda and W. P. Winfree, Micro & Nano Letters, 3(2), 35 (2008). 

  13. Y. S. Choi and I. J. Chung, Korean Chem. Eng. Res., 46(10), 23 (2008). 

  14. C. K. Kim, ph. D. Theis (in Korea), p. 96-107,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Daejun (2008). 

  15. M. G. Kang, ph. D. Theis (in Korea), p. 28-35, Hanyang University, Seoul (2001). 

  16. K. Yasunaga, R. A. Neff, X. D. Zhang and C. W. Macosko, J. cell. Plast. 32, 427 (1996). 

  17. Z. Wang and T. J. Pinnavaia, Chem. Mater., 10(12), 3769 (1998). 

  18. M. H. Noh, L. W. Jang and D. C. Lee, J. Appl. Polym. Sci., 74(1), 179 (1994). 

  19. M. Zanetti, G. Camino, R. Thomann and R. Mulhaupt, Polymer, 42(10), 4501 (2001). 

  20. C. B. Kim, W. J. Seo, O. D. Kwon and S. B. Kim, Appl. Chem. Eng., 22(5), 540 (2011). 

  21. G. Harikrishnan, T. U. Patro and D. V. Khakhar, Carbon, 45, 531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